•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20-2024 연구원중장기 발전계획(최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2020-2024 연구원중장기 발전계획(최종)"

Copied!
62
0
0

Teks penuh

(1)

(2)

(3) 목 차 Ⅰ. 중장기 발전계획 개요 1. 수립배경 ····································································································· 3 2. 수립목적 ····································································································· 4 3. 기간 및 내용 ····························································································· 4 Ⅱ. 그간의 주요 성과 및 향후 경영환경 분석 1. 주요 성과 ··································································································· 5 2. 향후 경영환경 분석 ··················································································· 9 Ⅲ.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경영목표 체계 1. 경영목표 체계 ·························································································· 10 2. 전략목표별 이행과제 ················································································ 11 Ⅳ. 전략목표별 세부 추진계획 1. 전략 목표별 세부 이행과제 ····································································· 13 가. 나. 다. 라.. 공원자원 조사 ․ 모니터링 강화 ···································································· 13 미래지향적 융 ․ 복합 연구 강화 ·································································· 22 수요자 중심의 정책 연구 강화 ···································································· 32 혁신 ․ 상생을 통한 경쟁력 강화 ·································································· 38. 2. 연도별 예산 계획(안) ··············································································· 46 Ⅴ. 평가 및 환류체계 1. 과제별 평가체계 ······················································································· 46 2. 환류체계 ··································································································· 48 Ⅵ. 국립공원연구원 일반현황 1. 조직현황 ··································································································· 49 2. 인력현황 ··································································································· 47 부록 최근 5년간 연구보고서 목록 ··································································· 50. - 2 -.

(4)

(5) Ⅰ 1. 중장기 발전계획 개요 수립배경. 국립공원공단법 제1조(목적)에서는 국립공원 등의 자연생태계, 자연 ․ 문화 경관 및 지형 ․ 지질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 ․ 관리함으로써 국립공원 등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이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건강하고 여유 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함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국립공원공단법에 기초하여 기관의 미션과 비전, 공유가치를 다음과 같이 수립 ․ 실천하고 있음 미. 션. 우리는 자연을 보전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열어간다. 비. 전. 자연 ․ 사람 ․ 미래를 연결하는 보호지역 관리의 선도 기관. 생태건강. 핵심 가치. 국민행복 안전중심 전문관리 자연주권. 경영 이념. 국민긍지 소통공감. 국립공원 자연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생태계 회복력 등 생태계 본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취적 사고 국민들이 국립공원의 보전상태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립공원이 주는 혜택과 즐거움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객 지향적 마음 국립공원을 탐방하는 국민의 생명과 신체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전문성과 역량 배양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겠다는 의지 보호지역 관리 전문 분야에서 국가 최고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가진 공공기관이 되고자 하는 목표의식과 책임 있는 자세 무한 희생을 강요당한 자연에게 배려한 공간이자, 자연 스스로의 결정권을 인정해 주는 최소한의 공간인 국립공원의 최우선 보전 공공재로서 온전한 국립공원의 가치를 함께 공유하고 상호협력을 통해 보전하고자 하는 의지를 내포 조직 내 소통과 화합,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통한 공동 번영 등 사회적 책임 이행 및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성과 창출하는 조직 문화 구축 출처: 국립공원공단 중장기 경영목표(2020~2024). - 3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3.

(6) 2. 수립목적 국립공원연구원에서도 국립공원공단 중장기 경영목표와 연계하여 국립공원연구원 설립목적과 중 ․ 장기적 지향점을 반영한 체계적인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이 반드시 필요함 따라서 국립공원공단과 국립공원연구원의 미래 비전 실현을 위한 추진 전략과 실천 방안 마련, 시대적 요구와 수요자 맞춤형 연구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함. 3. 기간 및 내용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계획의 계획 기간은 2020~2024년 까지 5년으로 함.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계획 계획 기간 2020~2024년(5년).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계획의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내용적 범위 (계획개요)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계획 개요 (주요성과) 국립공원연구원의 그간 주요 성과 (환경분석) 향후 경영환경 분석 (경영목표) 국립공원연구원의 미션 및 비전, 경영목표 체계 (추진계획) 주요 전략목표별 세부 추진계획 (평가체계) 평가 및 환류체계 (일반현황) 국립공원연구원의 조직, 인력, 예산 현황 등. 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4 -.

(7) Ⅱ 1. 그간의 주요 성과 및 향후 경영환경 분석 주요 성과. 자연 생태계 조사 ․ 연구 강화를 통한 보전가치 증진 국가 생물종, 표본, 유전자원 확보 인공지능, GIS 등 과학적 조사 ․ 분석 기법 도입을 통한 생태계 변화 감지 노력 등 구분. 주요 사업명. ㆍ국가 생물종, 표본, 유전자원 확보(2019년 지리산 2,527종, 북한산 1,449종 확인 등) ㆍ분류군별 확정표본 100점, 유전자원 320점 수집 등. ㆍ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ㆍ기후변화 생태계 모니터링 ㆍ도심형 멧돼지 서식실태 조사. 보 ㆍ멸종위기종 서식지 보전 및 분포 전 모델링 연구 정 책 ㆍ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연 구 ㆍ국립공원 핵심 유전자원 보전 연구. ㆍ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감지(예: 홍도 괭이 갈매기 번식시기 빨라짐❶). ㆍAI딥러닝 기술 도입❷ → 5년 걸릴 것을 30분 만에 해결(육안 판독과 92% 일치) ㆍ도심권(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 개체 수 산정 및 관리방안 도출 ㆍ멧돼지 회피시설 디자인 개발 및 특허출원❸. ㆍ멸종위기식물 3종 서식 예측도 제작(백부자, 솔붓꽃, 지네발란)❹ ㆍ멸종위기식물 복원 대상지 및 신규 서식 예상지역 발굴 등 활용. ㆍ21개 국립공원 서식지 지도 제작 완료(국내 최초 서식지 유형 분류). ㆍ국립공원 내 서식지 질 평가 → 보전 우선지역 선정, 복원 모델 등 활용 ㆍ2019년 연간 총 339종 1,562개체 유전자 수집ㆍ분석. ㆍ유전자 염기서열 643건 확보 → 미래 환경변화 대응자료 확보 등 ㆍ11개 분야 98개 정점 및 주요 섬 정밀조사 → 신종 6종, 미기록종 7종 발견. ㆍ해양생태계 조사 연구. ㆍ멸종위기종 갯게, 착생깃산호 등 서식 확인 →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ㆍ조류 가락지 부착 조사 → 국내 가락지 부착조사 약 75% 수행. ㆍ조류 조사 연구. ㆍ멧새과 분류 매뉴얼 등 홍보자료 제작 → 전문성 및 대국민 인지도 제고. ㆍ유류오염 장기 모니터링 연구. 기후변화 언론보도 ❶. 주요 성과. ㆍ유류오염 사고 이후 오염 회복도 파악(~2019) → 중금속 농도 기준 이하 등 ㆍ환경 및 생물상의 자연적 가변성 파악 및 자료 축적(2020~). AI로 탐지한 고사목 좌표 ❷. 멧돼지 회피시설 특허출원 ❸. - 5 -. 멸종위기식물 서식 예측도 ❹.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5.

(8) 현안 ․ 정책연구 강화를 통한 수요자 맞춤형 연구 성과 제공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 생태계 서비스 가치 평가 → 보전 정책 추진의 당위성 확보 보호지역, 여가휴양실태, 탐방로, 지진, 해상․해안국립공원 연구 등 → 현안연구 강화 구분. 주요 사업명. 주요 성과. ㆍ국립공원 생태계 서비스 가치 평가 ㆍ생태관광의 경제적 가치 평가 ㆍ한반도 보호지역 기초자료 구축. ㆍ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지표 도출 → 총 23개 항목 29개 평가지표 도출 ㆍ생태계서비스 세계총회 성과 발표 → 성과 공유 및 파트너십 구축. ㆍ생태관광 프로그램 운영 횟수 및 참가자 → 2017년 1,285회, 74,370명 ㆍ국립공원 생태관광객 연간 총 지출비용 3조 390억원. ㆍ북한의 자연환경 보호지역 제도 변천 및 보호지역 현황 파악. ㆍ북한지역 토지피복변화, 생태축 단절구간 분석 : 삼지연 약 54km 등. ㆍ국내 보호지역 UN SDGs 이행 ㆍUN SDGs의 10개 목표, 32개 세부 목표가 보호지역과 직간접 연관. ㆍSDGs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보호지역 관련 6개 분야 15개 추진과제 제시❶. 전략 수립. ㆍ명품마을(관매도) 투자 → 생산파급 9.6배, 부가가치파급 3.8배, 고용파급 41명. 현 ㆍ명품마을 조성효과 분석 ㆍ거버넌스 평가 결과 마을 커뮤니티 강화 필요성 등 제안 안 ㆍ공원유형별, 계절별, 탐방객 특성별, 거주지별 여가휴양 실태분석 결과 제시 정 ㆍ국립공원 여가휴양실태 조사 ㆍGPS Logger를 이용한 주요 탐방거점 분석❷ → 현장 관리방안 제시 책 ㆍ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탐방객 ㆍ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탐방객 조사결과 → 계룡산 12~14시대 탐방빈도 최다 연 ㆍ계룡산 탐방객 이동경로 분석결과 → 동학사~삼불봉~동학사 구간이 최다 실태조사 및 이용패턴 분석 구. ㆍ21개 국립공원 탐방로 안전성 평가 완료 → 전 탐방로 중 약 10% 취약구간 ㆍ2020년 단계별 취약구간 관리체계 마련 후 2021년부터 정비시행 예정. ㆍ탐방로 안전성 평가. ㆍ지진 발생횟수가 높은 공원 → 경주, 속리산, 계룡산, 덕유산, 가야산, 태백산. ㆍ지진 대응방안 마련. ㆍ행동매뉴얼❸, 지진 대응 중장기 계획, 지진방재시스템 구축 등 대응과제 제시. ㆍ탐방로 적정성 평가 및 관리방안 ㆍ깃대종 대국민 인지도 조사 ㆍ해상해안국립공원 안내체계 강화. SDGs 목표 및 추진과제 ❶. 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ㆍ탐방로 이용량, 미래 수요예측, 입지적정성 평가 기준 개발 → 관리방안 제시 ㆍ2040년 약 38백만 명으로 예측, 20개 평가 지표 개발 → 자연공원법 개정. ㆍ빅데이터 분석 결과 깃대종 검색량 → 최근 4년 간 93% 증가 확인 ㆍ설문조사 방식 + 빅데이터 분석 결합하여 제도 정착효과 확인. ㆍ경관보전, 시인성, 유지관리용이성, 안전성, 정보전달성 고려한 안내체계 개발. ㆍ랜드마크형❹, 종합안내, 바닥형, 부표형, 벽면형, 기둥형 등 신규 표지판 개발. 탐방객 이동경로 ❷. 지진 시 탐방객 행동 요령 ❸. - 6 -. 랜드마크형 안내표지판 ❹.

(9) (2007~2019년) 외부 수탁과제 확대를 통한 전문성 ․ 인지도 제고 및 R&D예산 확보 환경부, 지방자치단체, 국책연구기관 등으로부터 수탁 → 전문성 및 인지도 제고 2007년 이후 총 53과제 약 61억 원 수탁 → R&D예산 확보 및 수익 창출 구분. 사업명. 발주기관. 비고. 한라산 탐방객 적정 수용관리 용역. 제주발전연구원. 37,700. 2007. 무등산도립공원 수용력 평가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2,000. 2008. 강천산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순창군. 65,100. 2009. 자연속 건강 찾기 체험프로그램 활성화 사업. 환경부. 88,300. 2009. 해양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육상훼손지 현황조사․복원 연구(2009~2011) KEI. 87,000. 2009. 자연환경해설사 자격제 도입 및 운영방안 마련 연구. 환경부. 20,000. 2009. 환경부. 50,000. 2009. 남생이 증식․복원 연구. 국립생물자원관. 36,860. 2010. 2012세계자연보전총회(WCC)추진전략 수립. 환경부. 50,000. 2010. 멸종위기동물 증식․복원 성과조사 및 계획수립 연구. KEI. 15,000. 2010. 국제 철새공원조성 기본계획. 신안군. 46,641. 2010. 제주도립공원 계획 및 보전․관리계획 수립. 제주특별자치도. 43,500. 2011. 멸종위기 양서파충류 보전 심포지엄 행사대행. 서울대공원. 18,400. 2011. 한국의 산지습지 안내서 제작. 환경부. 48,628. 2011. 세계자연보전총회 논의의제 발굴 및 세부실행계획 수립. 환경부. 39,074. 2011. 산림 자연자원환경 총 조사. 수원시. 167,728. 2012. 남생이 증식․복원 연구(2012~2016). LG상록재단. 280,000. 2012. 갈르와벌레류의 IUCN Red List 등재를 위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29,589. 2012. 장수군 멸종위기종 복원사업관련 국제심포지엄 주관 대행. 장수군. 125,860. 2012. 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한라산연구소. 18,525. 2012. 팔공산자연공원 자연자원조사. 대구시, 경상북도. 398,500. 2013.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개최를 위한 추진 전략 연구. 환경부. 48,900. 2013. 철새 관련 국제 협력사업 효율화 방안 마련 연구. 환경부. 20,000. 2013. IUCN프레임워크 파트너십 협력 사업 발굴 연구. 환경부. 135,909. 2013. 민감생물군 생태정보 통합관리시스템 적용 운영. 한국환경산업기술원. 490,000. 2015. 홍천 내면 삼둔길 생태문화탐방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홍천군. 200,000. 2015. 바닷새를 이용한 바이오모니터링 대상종 선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5,000. 2015.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연구. 환경부. 186,000. 2015.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태안군. 19,000. 2015. 남해 연안 적조발생해역 해양생태계 조사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000. 2015. 육상(철새) 조류 보호정책 방안 연구. 환경부. 39,900. 2015. 국가보호지역 확대지정 로드맵 마련 연구. 환경부. 41,660. 2015. DMZ의 효과적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2016WCC발의안 개발 환경부. 45,320. 2015.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연구. 환경부. 86,480. 2015. 해양 환경 위해성평가를 위한 바닷새 모니터링 대상종 선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0,000. 2015. 생태관광 컨설팅단 구성․운영방안 마련 연구. 외 부 수 탁 과 제. 금액(천원). - 7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7.

(10) 구분. 외 부 수 탁 과 제. 사업명. 발주기관. 국립공원 및 화담숲 내 반딧불이 증식ㆍ복원 연구. 곤지암 화담숲원장. DMZ 관련 2016 WCC발의안 이행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금액(천원). 비고. 160,000. 2016. 환경부. 72,000. 2016. 국가보호지역 통합 DB관리개선 및 시스템구축 운영. 환경부. 85,084. 2016. 남해 연안 적조발생해역 해양생태계 조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000. 2016.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조기 대응을 위한 정밀 모니터링. 국립환경과학원. 69,801. 2016. 칠갑산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충청남도. 46,810. 2017. 운문산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청도군. 38,620. 2017. 한라산 가치보전 천년대계 수립. 제주특별자치도. 96,843. 2017.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통영시. 49,670. 2017. 제주 해양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2018~2019). 제주특별자치도. 1,300,000. 2018. 금북정맥 국가생태문화 탐방로 기본계획 수립. 안성시. 194,000. 2018. 덕산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용역. 충청남도. 139,000. 2018. 자연환경분야 남북협력방안 연구. 환경부. 45,000. 2018. 100,000. 2018. 국내연안 바닷새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모니터링 방법 개발(2018~20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통영시. 50,000. 2019. 자연환경해설사 제도개선 연구. 환경부. 45,000. 2019. 팔공산도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경상북도,대구광역시. 432,232. 2019. 병방산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및 보전관리계획 수립. 정선군. 150,000. 2019. 계. 6,130,634. (2015~2019년) 사회적 가치 구현, 일자리 창출, 대외 활동 등 흥미진진생생체험, 곤충 선별 교육, Naver 등 성과공유 → 지식 공유, 일자리 창출 등 논문, 보도자료, 보고서 재가공 → 대국민 연구 성과 공유 및 서비스 확대 구분. 추진 실적. 추진 성과. 흥미진진생생체험 등. 총 49회 1,375명. 다양한 사회계층 대상 맞춤형 교육 및 지식 전달❶. 곤충 선별 교육. 중증장애인 4명 수료 일자리 창출 및 공모전 대상 수상(고용노동부 장관상)❷. Naver 지식백과. 총 2,223종. 동식물의 분류, 생태, 서식지 특성, 사진, 동영상 등 등록 ․ 공유. 보도자료. 총 346건. 방송, 신문 등을 통해 조사 ․ 연구결과 홍보 → 인지도 제고. 정책브리핑. 총 3건.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에 연재 →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제공. 학술논문. 총 359건. 국내 ․ 외 전문 학술지에 연구성과 발표 → 인지도 및 전문성 제고. 보고서 재가공. 총 158건. 인포그래픽, 도감, 포스터, 팝업북 등 → 고객중심 연구서비스 제공❸. 업무협약(MOU). 총 13건.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기업 등과 업무협약 → 상생협력모델 개발❹. 흥미진진 생생체험 ❶. 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❷. - 8 -. 보고서 재가공 ❸. 업무협약 ❹.

(11) 2. 향후 경영환경 분석. 외부 환경(PEST) 분석 정책환경(P) 공단법 개정. 경제환경(E). 사회환경(S) 초고령화 사회 진입. 경제환경 악화. - 연구 영역 확대 ․ 다변화. 상위부처 정책변화 - 환경, 생물자원 전략 관리. 공공기관 관리정책 - 연구원 방향성 정립 필요. 기술환경(T). - 수요 활성화 방안 마련. - 탐방수요 감소 대응. - 빅데이터, AI 등 활용. 여가시장 변화. 산림복지 시장확대 - 힐링관련 신규 사업 발굴. 자원전쟁 시대. - 생태, 해양관광 시대 준비. R&D 투자 확대. 기후변화 적응. - 연구원 R&D예산 다변화. 4차 산업혁명 시대. - 생물종, 유전자원 확보. 혁신성장. - 생태계/서식지 관리 강화. - 선제적 자연중심 기술 확보. 내부 환경 분석 전 략 기 획. 공단 미래전략, 전략체계 등 공단의 미래 전략기획과 연계 대응 필요. 대 응 역 량. 외부 유사기관과 업무 중복성에 대한 조직 차원의 대응방안 마련 필요. 연 구 역 량. 보전, 탐방, 시설, 안전, 상생협력 등 공원관리 전분야 연구 역량 강화 필요. SWOT 분석 전략방향Ⅰ 공원자원 조사 ․ 모니터링 강화. 전략방향Ⅱ 미래지향적 융 ․ 복합 연구 강화. 전략방향Ⅲ 수요자 중심의 정책 연구 강화. 전략방향Ⅳ 혁신 ․ 상생을 통한 경쟁력 제고. - 9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9.

(12) Ⅲ 1. 공 단. 국립공원연구원 경영목표 체계 경영목표 체계. 미션. 우리는 자연을 보전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열어간다. 비전. 자연 ․ 사람 ․ 미래를 연결하는 보호지역 관리의 선도기관 핵심가치. 경영이념. 공유 가치. 생태건강 국민행복 안전중심 전문관리. 전략 목표. 생태계건강성지수 1등급 달성. 고객만족도 S등급 유지. 안전사고 예방지수 안전등급 달성. 사회적가치 지수 S등급 달성. 전략 방향. 자연자원의 생태가치 제고. 국민이 행복한 탐방 복지 실현.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혁신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 자연주권. 국민긍지. 소통공감. 미션. 국가 핵심 자원 보전과 국민행복에 기여하는 연구서비스 제공. 연. 비전. 자연 ․ 사람 ․ 미래를 연결하는 실용적 전문 연구기관. 구. 전략 목표. 원. 중점 추진 과제. 1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공원자원 미래지향적 조사․모니터링 강화 융․복합 연구 강화. 수요자 중심의 정책 연구 강화. 66개 세부 이행과제. 혁신․상생을 통한 경쟁력 제고. “공단 싱크탱크로서 수요자 중심의 연구서비스 제공”. - 10 -.

(13) 2. 전략목표별 이행과제 4대 전략목표별 세부 이행 과제 : 총 66개 과제 전략목표. 공원자원. Ⅰ. 조사ㆍ모니터링 강화 -19개 과제-. 전략목표. 미래지향적. Ⅱ. 융ㆍ복합 연구 강화 -19개 과제-. 세부 이행 과제. 지속 신규. 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국립공원 생태지도 제작 국립공원 인문학 자원 조사 및 자료집 제작 조류조사연구 도립ㆍ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야생동물 로드킬 및 생태통로 모니터링 분석ㆍ평가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서식실태조사 연구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국가보호종(해양생물) 조사ㆍ연구 해양소리자원 조사 및 관리 해양서식지 지형ㆍ기질도 제작 조간대 및 연안육역 지형ㆍ기질도 제작 해양미세플라스틱 분포조사 국립공원 도서ㆍ연안 생태축 기본조사 갯벌ㆍ연안습지 조사 가두리양식장 퇴적물 오염도 조사 HS호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생태계 영향 장기 모니터링 국립공원 수질측정망 운영 보호지역 내 산림병해충 관리방안 마련 연구 세부 이행 과제. ○ ○ ○ ○ ○ ○ ○ ○ ○ ○ ○ ○ ○. ○. ○. ○ ○. 지속 신규. 공단 미래 전략 개발 연구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글로벌 환경협력 강화 연구 국립공원 기후변화 생태계 모니터링 해양 기후변화 동향 연구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 보전 연구 국립공원 주요 자생식물 서식지 보전 및 분포모델링 연구 2050 저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국립공원 이니셔티브 전략 수립 멸종위기식물 보존을 위한 서식지 유형 선정 및 관리 전략 수립 산림 그린카본 및 연안 블루카본 정량적 경제 가치 평가 국립공원 해양건강성 지수 평가 도입 조사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평가체계 적용 도서ㆍ연안 육상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훼손지 복원 평가 기법 개발 조간대 시ㆍ공간 분포 변동 메카니즘 규명 해양생태축 VR 및 도서 VR 제작, MR 콘텐츠 확보 국립공원 연안환경 보전방안 연구 해양 생물표본 3D 콘텐츠 확보 공원자원 통합 DB 및 분석ㆍ평가 체계 구축 과학적 공원관리를 위한 국립공원 디지털 트윈 구축. - 11 -. ○ ○. ○ ○ ○. ○ ○ ○ ○ ○ ○ ○ ○ ○ ○ ○ ○ ○ ○ ○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11.

(14) 전략목표. 수요자 중심의. Ⅲ. 정책 연구 강화 -10개 과제-. 전략목표. 혁신ㆍ상생을 통한. Ⅳ. 경쟁력 제고 -18개 과제-. 1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세부 이행 과제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탐방문화 정착 탐방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자연공원 보전ㆍ관리 체계 개선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정책 활용 강화 선제적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실용 연구 국립공원 마을 전통문화 지수 개발 국립공원 우수 해안 및 해양경관자원 발굴 빅데이터 기반 공원정책 및 관리방안 수립 육상∼연안∼도서∼해양생태계통합 보전 정책 마련 해양생태계 증식ㆍ복원사업 운영 매뉴얼 구축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유해ㆍ교란생물 관리위원회 운영 세부 이행 과제 상생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강화 ICT 기반 스마트 공원관리 연구 국립공원 생물종 정보 서비스(네이버 지식백과) 국립공원 생태지도 갱신 및 식생보감 제작 조류 사진, 음원 라이브러리 구축 중증장애인 참여형 곤충 시료 선별 전문가 양성 가락지부착조사자 양성 교육 및 자원 봉사 운영 소매물도 철새학교 운영 가락지부착조사자 등급제 도입 연구 해양공원 자연환경 보전 체험 프로그램 개발 조간대 서식지 기반 종합생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자연 이야기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 발간 국립공원연구지 발간 및 KCI등재 학ㆍ연 협동[연구] 석ㆍ박사 프로그램 개발 해양연구 시설인프라 확충 국민과 함께하는 생물계절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국립공원연구원 신축. - 12 -. 지속 신규. ○ ○. ○ ○ ○ ○ ○ ○ ○ ○. 지속 신규. ○ ○ ○ ○ ○ ○ ○ ○ ○. ○ ○ ○. ○ ○ ○ ○ ○ ○.

(15) Ⅳ 1. 전략목표별 세부 추진계획 전략목표별 세부 이행과제. 전략목표Ⅰ Ⅰ-1. 공원자원 조사ㆍ모니터링 강화 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공원현황 조사ㆍ평가를 통한 법정계획, 공원정책 수립 등 공원관리 기초자료 구축 자연생태계, 경관 및 문화자원, 지속가능한 이용 등 총 40개 분야 조사 생물종 중심 → 서식지/격자 중심 → 유역 단위 조사 국립공원 자원보전분야 지침 및 분야별 매뉴얼에 따른 조사 국립공원 자원관리의 정책목표 및 체계적인 관리방안 마련 Orthocentrus sp. nov. (한려해상, 신종후보종). 조사체계. 관리방안 마련. 1기 자연자원조사 (1991∼1999년). 2기 자연자원조사 (2000∼2009년). 기초자료 수집. 3기 자연자원조사 (2010~2018년). 4기 공원자원조사 (2019~2023년). 년 도. 공원수(21개). 대상공원. 2019년. 4개. 북한산, 속리산, 지리산(영남, 호남), 한려해상(통영, 거제). 2020년. 4개. 설악산(속초, 인제), 월악산, 덕유산, 한려해상(남해, 사천). 2021년. 4개. 오대산(강릉, 평창), 계룡산, 내장산, 다도해해상(완도, 거문도). 2022년. 5개. 치악산, 소백산, 가야산, 무등산, 다도해해상(흑산도, 진도). 2023년. 6개. 태백산, 경주, 주왕산, 월출산, 태안해안, 변산반도. - 13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13.

(16) 국립공원 생태지도 제작. Ⅰ-2. 국립공원 내 식생현황을 조사ㆍ평가하여 국립공원 정밀 생태지도 구축 공원관리 의사결정 도구로써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식생도 제작 국립공원 내 군락, 식생보전등급, 영급 및 경급 평가 국가기본도 및 주제도의 대축척화에 따른 국립공원 대축적 정밀지도 제작 국립공원의 종합적 관리체계 마련과 조사자료의 활용 및 의사결정체계 구축 주제도명. 2011~. 2014~. 2017~. 2020~. 2023~. 2013년. 2016년. 2019년. 2022년. 2025년. 내장산 덕유산. ․ 정밀식생도. 오대산 가야산. 월출산 치악산 태안해안. 북한산 지리산. 계룡산. 설악산. 속리산 주왕산. 소백산. 국립공원 정밀식생도 현황. Ⅰ-3. 설악산. 월악산. 경주. 변산 다도해해상 한려해상 무등산 태백산. 생태자원지도 및 서식지 분류지도 현황. 국립공원 인문학 자원 조사 및 자료집 제작 국립공원 문학ㆍ예술ㆍ언어ㆍ역사 등 인문학 자원 조사 및 주제별 자료집 제작 국립공원 인문학 자료 주제별ㆍ유형별 자료 연차별 조사 내ㆍ외부 전문가 참여를 통한 자료 검토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인문학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홍보 및 교육용 자료집 제작 국립공원 인문학 자원 가치 발굴 및 활용분야 확대. 1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14 -.

(17) Ⅰ-4. 조류조사연구 국립공원 주요 생물자원인 조류와 서식지 보호를 위한 연구 조류 개체군 변화, 이동경로 연구 등 13개 과제 추진 장기모니터링 바탕 개체군, 서식지 변화 연구 특정지역 중심 → 전국 국립공원 확대 연구 성과 기반 탐방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흑산도 연도별 조류 개체수 변화. Ⅰ-5. 가락지부착조사. 조류 분류 매뉴얼. 도립ㆍ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보호지역 통합관리를 위한 도립ㆍ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실시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과 위ㆍ수탁사업으로 운영 자연생태계, 문화자원분야 조사 및 GIS자료 분석 등 국립공원 자원보전분야 지침 및 분야별 매뉴얼에 따른 조사 국립공원 관리 노하우 전파, 공단위상 제고, DB구축, 신규 수익창출 등. 년 도. 공원수(56개). 대상공원. 2017년. 4개. 칠갑산, 운문산, 가지산, 남한산성. 2018년. 3개. 덕산, 마라도해양, 서귀포해양. 2019년. 4개. 추자해양, 우도해양, 성산일출, 병방산. 2020년. 2개. 대둔산, 팔공산. 2021년∼. -. 군립: 25개, 도립: 19개 공원 해당. - 15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15.

(18) Ⅰ-6. 야생동물 로드킬 및 생태통로 모니터링 분석ㆍ평가 야생동물의 로드킬 발생 및 생태통로 이용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분석ㆍ평가 공원별, 도로구간별, 시기별 야생동물 로드킬 및 생태통로 모니터링 시행 (로드킬) 다발생구간 핫스팟분석, 서식환경특성 공간지도 구축 (생태통로) 생태통로 주변 서식환경특성 자료 구축 국립공원 로드킬 저감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생태통로 환경개선을 통한 생태축 연결성 강화. 로드킬 다발생구간지도. Ⅰ-7. 생태통로 이용흔적(수달배설물). 생태통로 이용(고라니).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서식실태조사 연구 국립공원 내 멧돼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 및 질병에 대한 관리방안 도출 도심권 멧돼지 개체수 및 서식밀도 모니터링 멧돼지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분석 유전자 분석을 활용한 유해야생동물(멧돼지) 개체군 관리 매뉴얼 제작 국립공원 멧돼지 서식지 예측분포도 제시 현장관리 대상지 및 주요 출현지점에 대한 단계별 관리방안 제시.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 행동권 연구. 1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안전대처 매뉴얼 제작. - 16 -. 야생동물회피시설 특허출원.

(19) Ⅰ-8.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해양국립공원 부유ㆍ유영ㆍ저서생태계 종합 조사 해양생태계 조사ㆍ연구사업 일환으로 추진 부유 및 유영생태계 4개 항목 조사(해양물리ㆍ화학ㆍ생물, 위협요인) 저서생태계 해저 기질별 4∼5개 항목 조사 (지형ㆍ기질, 해양물리ㆍ화학ㆍ생물, 위협요인) 서식지 유형에 대한 과학적 조사ㆍ분석을 통한 보전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 Ⅰ-9. 국가보호종(해양생물) 조사ㆍ연구 국가보호종(해양생물)의 생태연구를 통한 종 보전과 서식지 확대 기초자료 확보 국가보호종 생태연구 → 증식, 복원 이식 적합지 평가 종의 생태적 특성 조사 국가보호종(해양생물) 서식지 모니터링 국가보호종(해양생물)의 보전ㆍ관리와 서식지 확대. Ⅰ-10. 해양소리자원 조사 및 관리 소리자원 수집 및 관측시스템 구축을 통한 생태연구 및 소음관리기준 설정 수중, 육상 청음시스템을 통한 해양생물종별 소리자원 확보 해중소음 유형별 분석자료(모니터링) DB구축 해양생물의 해중소음 회피 경향 분석 해양생물의 소음 회피에 대한 국립공원 내 소리관리 기준 설정. - 17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17.

(20) Ⅰ-11. 해양서식지 지형ㆍ기질도 제작 서식지 중심 조사에 부합하는 해양 조하대 지형ㆍ기질도 제작 해양생태계 조사ㆍ연구사업 일환으로 추진 시범사업(′18년) → 지형ㆍ기질도 제작(~′23년) → 지형ㆍ기질 고도화(′24년~)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서식지별 자원조사를 통한 상호 비교ㆍ분석 국립공원 해양생태계의 서식지 정보, 환경ㆍ생태 정보, 이용현황 정보를 전자도면에 가시화하여 공원자원관리 과학화와 대국민 해양정보 서비스 제공. 2019년. 2020년. 2021년.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한려해상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Ⅰ-12. 2022년. 2023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태안해안, 변산반도 (서부). 조간대 및 연안육역 지형ㆍ기질도 제작 지형변화가 빠른 국립공원 연안의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방안 수립 해상ㆍ해안국립공원의 기질도 제작(육상 20개, 해양 4개 유형분류) 해안선 수치표고모델(DEM) 구축 국립공원 연안지역의 과학적 조사연구 기초자료와 체계적 관리방안 마련. 조간대 및 연안육역 기질도. 해안선 지형도(DEM). 고해상도 정사영상.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태안해안, 변산반도.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한려해상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 1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18 -.

(21) Ⅰ-13. 해양미세플라스틱 분포조사 미세플라스틱 분포ㆍ조사를 통한 해양생태계 보전ㆍ관리를 위한 자료 확보 국립공원 내 부유ㆍ해저ㆍ모래해안 미세플라스틱 현황 조사 미세플라스틱 연구를 위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국내ㆍ외 미세플라스틱 연구자료 비교ㆍ분석 해양국립공원의 미세플라스틱 현황 파악 및 저감 방안 마련. Ⅰ-14. 국립공원 도서ㆍ연안 생태축 기본조사 해양공원 내 미조사 유ㆍ무인도서(307개) 자원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 자원모니터링(특정지역)사업과 해양생태계 조사ㆍ연구 사업으로 추진 문헌자료 수집 및 현장조사(~′23년). → 미등록도서 생태계조사 및 도서별 보전등급 설정(′23년~) 서식지 유형별 자원조사 → 섬 서식지 통합 유형 조사 국립공원 섬 서식지 유형의 생물다양성 조사ㆍ관리방안 마련. Ⅰ-15. 갯벌ㆍ연안습지 조사 국립공원 내 갯벌 및 소규모 연안습지에 대한 체계적 조사 조간대 공원자원조사(′19년~, 5년마다, 연 2회), 총 83개 정점 조간대 자원모니터링(′19년~, 4계절조사), 각 공원지구별 1개 정점 연안습지정밀조사(′21년~, 5년마다, 연 1회), 총 26개 정점 갯벌ㆍ연안습지 보전방안 마련. 염습지 현장조사 및 자문. 거머리말 조사 및 복원. - 19 -. 현장자문단 운영.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19.

(22) Ⅰ-16. 가두리양식장 퇴적물 오염도 조사 해양국립공원 내 가두리양식장 퇴적물 오염도 조사 양식장으로부터 거리별 퇴적유기물, 저서생물다양성 및 풍부도 조사 국립공원별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유기물 오염 조사 가두리양식장 퇴적물 유기물 오염도에 대한 관리기준 마련 해양공원 내 어업 행위허가 총량제 신설 및 운영 근거자료로 활용. 퇴적물 조사 조간대 하부 지점. Ⅰ-17. 퇴적물 현장 샘플링. 해양퇴적물 연도별 비소 농도. HS호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생태계 영향 장기 모니터링 유류유출 영향조사 선도체제 강화 및 즉각적인 대응체제 확립 해양환경(4), 해양생물(7), 인식변화(1) 등 12개 분야 조사 유류유출사고 후 해양생태계 변동 추적 → 건강성 및 회복력 평가 기존 장기모니터링 조사방법 및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조사 수행 유류유출사고 후 해양생태계 복원에 대한 근거자료 제공. HS호 유류오염 국제컨퍼런스 개최. 2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유류사고 후 생태계 회복과정 분석. - 20 -. HS호 특별호 발간(14편 수록).

(23) Ⅰ-18. 국립공원 수질측정망 운영 수질측정망 운영을 통한 계곡 및 해양수생태계 효율적 보전 (연구) 수질측정망 분석ㆍ평가 및 수질오염원 저감대책 마련 등 (운영) 측정망 운영(충청권) → 측정망 운영(전 사무소 / ′24∼) (발굴) 측정망 운영 제도 개선 등 연구과제 발굴 시행(′23∼ ) 국립공원 물환경 관리의 정책자료 확보 및 체계적인 관리방안 마련. 수질측정망 분석·평가. Ⅰ-19. 수질측정망 운영. 연구과제 발굴. 보호지역 내 산림병해충 관리방안 마련 연구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내 산림병해충 관리방안 도출 소나무재선충병 친환경 방제 및 모니터링 관리 방안 도출 솔껍질깍지벌레 친환경 방제 및 모니터링 관리 방안 도출 단기 산림병해충 관리방안 도출(2년) 후 중기 연구로 수정․보완 보호지역 생태계 유지에 적합한 산림병해충 관리 체계 구축. 한려해상국립공원 재선충병 피해지. 흑산도 솔껍질깍지벌레 모니터링. - 21 -. 보호지역 산림병해충 관리 흐름(안).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21.

(24) 전략목표 Ⅱ Ⅱ-1. 미래지향적 융ㆍ복합 연구 강화 공단 미래 전략 개발 연구 자연ㆍ사람ㆍ미래를 연결하는 보호지역 관리의 선도 기관으로서 국가차원의 보호 지역 통합관리 도모 및 국가 생물주권 강화를 위한 미래 전략 개발 국립공원을 거점으로 한 국가 보호지역 통합관리 체계 구축 국가 생태계 대표성 및 온전성 보전을 위한 국립공원의 역할 정립 국립공원의 사회적 가치 창출 정책 강화 국가 차원의 효과적인 보호지역 통합관리 시스템 정립. 구 분. 2021. 2022. 2023. 2024. 세부 연구과제. 관련 부서. 비고. 국립공원 내 중복 지정 보호지역의 효과적 관리방안 연구. 기획예산처. 현안. 자연공원 정책 지원 기능 강화방안 연구. 기획예산처. 현안. 국가 환경정책 주류화 방안 연구(잠재 정부국정과제 도출). 기획예산처. 미래. 환경부 관할 보호지역 통합관리 방안 연구. 기획예산처. 미래. 자연공원 관리효과성(지속가능성)평가 체계 개발 연구. 기획예산처. 현안. 국립공원 사회적 가치 창출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기획예산처. 미래. 권역별 보호지역 종합 관리방안 연구(지역거점 본부제 활용). 기획예산처. 현안. 국가 생물다양성전략 대응 방향 연구(4차 진단, 5차 계획). 기획예산처. 미래. 국가 생태계 온전성 및 대표성 보전방안 연구. 기획예산처. 미래. 국립공원공단 사회적 가치 창출전략 연구. 기획예산처. 미래. 지리산국립공원. 2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한려해상국립공원. - 22 -. 경주국립공원.

(25) Ⅱ-2. 미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글로벌 환경협력 강화 연구 효과적인 국제협약 및 국제기구 대응, 보호지역 관리전문성에 대한 대내 ․ 외 인증 자연환경분야 남북협력 선도를 통한 한반도 생태공동체 구축 선도 국제 권고사항 등 국제적 요구사항에 대한 국가 대응정책 주도 한반도 생태공동체 구현을 위한 남북협력 과제발굴 ․ 연구 추진 접경보호지역(설악-금강 국제평화공원, DMZ BR 등) 지정 선도 보호지역 전문기관으로서 공단의 역할 강화 및 역량 증진. 구분. 2021. 2022. 2023. 2024. Ⅱ-3. 세부 연구 과제. 관련 부서. 비고. 글로벌 생물다양성전략프레임워크(2021-2030) 대응체계 마련. 상생협력실. 미래. 설악-금강 국제 평화공원 지정 타당성 연구. 기획예산처. 미래. 생물다양성 등 자연환경분야 국제동향 분석 연구. 상생협력실. 현안. 한반도 보호지역의 국제적 인증사업. 상생협력실. 미래. 한반도 대표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통합정보 구축 방안. 자원보전처. 미래. DMZ 생태평화공원 지정 방안. 기획예산처. 미래. 국립공원 관련 국제협력 대응 강화전략 마련 연구. 상생협력실. 미래. 남북 생태관광 연계ㆍ활성화 방안 연구. 탐방복지처. 미래. 국제적 중요 이동성조류(저어새, 두루미 등) 공동 보전 방안. 자원보전처. 미래. 한반도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통합 대응 방안. 재난안전처. 미래. 국제협약 및 국제기구 권고사항 공동 대응방안 연구. 상생협력실. 미래. 국립공원 기후변화 생태계 모니터링 체계적인 기후변화 모니터링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 도출 (육상생태계) 생물계절관찰(신갈나무, 북방산개구리, 박새 등 개엽, 개화, 산란 등) (아고산생태계) 상록침엽수 쇠퇴 현황 및 원인, 보전·복원 위한 서식환경조사 (도서생태계) 최상위포식자 괭이갈매기 중심 도서생태계 변화 관찰(동·서·남해안) 과학적인 국립공원 보전 및 사전 예방적 관리방안 마련. - 23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23.

(26) Ⅱ-4. 해양 기후변화 동향 연구 기후변화 지표종 선정 및 모니터링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물학적 변화상과 환경변화의 관측 시스템 구축 국립공원 해양 기후변화 지표종 선정 및 모니터링 장 ․ 단기 수온 ․ 염분 관측 체계 구축 인공위성 영상관측으로 해양식물 군락지 경향 파악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 생태환경 변화상 파악 및 대응. Ⅱ-5. 국립공원 핵심유전자원 보전 연구 국립공원의 핵심유전자원을 탐색 ․ 수집하고 유전자 분석을 통해 보전지역선정, 서식지 단절구간 파악 등 서식지 보전 ․ 관리, 정책 대안 제시 국립공원 내 중요 서식지 내 생물유전자원 확보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 ․ 관리를 위한 집단 유전자 다양성 연구 국립공원 생물유전자원 DB구축 및 공여기반 마련 유전자 분석을 통한 과학적 공원관리 기반 마련 및 보전정책 방향 제시. 등대시호 서식지 유전자형 지도. 2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등줄쥐 서식지 유전적 장벽 분석. - 24 -.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 유전자형 지도.

(27) 국립공원 주요 자생식물 서식지 보전 및 분포모델링 연구. Ⅱ-6. 국립공원 내 주요 자생식물(적색목록종, 특산식물 등)의 생육환경 조건을 확립하고 현지 재도입 시 최적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서식지 현장조사를 통한 생육환경요인 분석 및 위협요인 파악 대상종 지역별, 집단 간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분석 분포모델링 분석을 통한 서식 적합성 예측 분석 서식지 내 보전전략 수립 및 현지복원 시 최적지 선정에 활용. 지네발란. 지네발란 서식 예측분포도. 멸종위기식물 세밀화 엽서.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개병풍 대청부채, 매화마름. 백부자 솔붗꽃 지네발란. 세바람꽃 장백제비꽃 나도범의귀. 섬진달래 실비녀골풀 왕다람쥐꼬리. 왜솜다리 만리화 들쭉나무. Ⅱ-7. 2050 저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국립공원 이니셔티브 전략 수립 사람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국립공원 이니셔티브 전략 수립 (자연생태계) 기후변화 적응 위한 보전 노력 → 국민 인식 확산(Green Park) (탐방 ․ 재난) 폭염 ․ 폭설,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대한 탐방객 안전 대비 (공공기관) 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이니셔티브 구축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기여 → 지역 수준의 기후변화 정책 주류화 선도. - 25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25.

(28) 신갈나무 개엽 모니터링. Ⅱ-8. 북방산개구리 산란. 박새 산란 모니터링. 멸종위기식물 보존을 위한 서식지 유형 선정 및 관리 전략 수립 멸종위기식물 서식지 유형 선정 및 관리 전략 수립 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식물 자생 서식지 환경 평가 멸종위기식물 서식지 유형 분류 서식지 유형에 따른 복원 대상지 선정 및 멸종위기식물 관리 전략 수립 국립공원 내 자생하는 식물자원의 효율적 보전 ․ 관리. Ⅱ-9. 산림 그린카본(Green. Carbon). 및 연안 블루카본(Blue. Carbon). 정량적 경제 가치 평가. 국립공원 산림과 연안의 탄소저장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경제적 가치 환산 (산림평가) 식물의 생물량(바이오매스) 및 토양 저장량(탄소흡수원) 정량 평가 (연안평가) 갯벌, 염습지, 연안(잘피 밭, 해초군락지, 염생식물) 등 탄소흡수원 평가 (경제가치) 예) 우리나라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약 16조원 →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달성 기여, 생태계서비스 평가 통한 서식지 보전 가능 新기후변화체제 대응 국립공원 탄소흡수원 잠재력 평가 → 생태계서비스 평가 기여. 2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26 -.

(29) Ⅱ-10. 국립공원 해양건강성지수(NP-OHI) 평가 도입 해양국립공원의 해양건강성 평가 가이드라인 제정 기존 건강성평가는 저서오염지수를 통해 평가 10개 평가지표에 대한 검토 후 지표별 기준값 설정 및 평가소스 결정 NP-OHI기준 마련(′21년), ′23년부터 매년 해양공원 평가 해양공원 생태계 건강성 및 저해요인 평가 후 국립공원 관리정책에 활용. 다도해해상국립공원. Ⅱ-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 조사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평가체계 적용 다양한 평가체계 개발을 통한 해양국립공원 진단 ․ 평가 ․ 개선 기존 5개 평가도구 활용하여 해양국립공원 평가 3년 자료를 확보하여 ′24년부터 매년 평가 자료취합 → 평가 산식도출 → 평가실시 다각적 평가체계 개발을 통한 과학적인 해양국립공원 관리정책 수립.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국가보호종 조사 ․ 연구. - 27 -. 미세플라스틱 분포조사.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27.

(30) Ⅱ-12. 도서ㆍ연안 육상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도서ㆍ연안으로 유입되는 육상오염원 감시체계 구축 도서 및 연안으로 유입되는 육상오염원 현황 파악 수질, 퇴적물 26개 항목 분석을 통한 부영양화 평가 및 도식화 사후평가를 통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오염원 감시시스템 구축 해양국립공원의 환경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 육상오염원 현장사진. Ⅱ-13. 연구결과 공유(학회발표). 보고서 재가공.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훼손지(항ㆍ포구) 복원 평가 기법 개발 해상ㆍ해안국립공원의 효율적인 훼손지 복원ㆍ관리를 위한 평가 기법 개발 국내ㆍ외 훼손지 복원사업에 사용되는 평가 지수 현황 파악 지수 선정 및 지수로 사용되는 분석항목 기준(점수) 정립 시범운영과 전문가 자문을 통한 타당성 검토 및 적용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훼손지에 대한 체계적 관리방안 수립. 해안사구 침식 복원 사업. 2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미사용 해양 시설물 제거. - 28 -. 생태계교란식물(갯줄풀) 제거 작업.

(31) Ⅱ-14. 조간대 시 · 공간 분포 변동 메카니즘 규명 체계적인 조간대 지역 보전 · 관리를 위한 변동 모델 및 메카니즘 연구 조간대 시 · 공간 변동 및 지형변화 모델 개발 위성, 드론, 라이다 활용한 조간대 변동 메카니즘 연구 탐방객 안전을 위한 조간대 침 · 퇴적 모델 개발 과학적인 국립공원 조간대 지역 관리와 다양한 서식환경 발굴 국립공원 서식지 변동 기술 개발. 천해 서식지 변동모델 개발. Ⅱ-15. 영상자료 확보. 자원변동 현황도. 해양생태축 VR 및 도서 VR 제작, MR 콘텐츠 확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국립공원 가치 이해와 인지도 향상 도서 생태계, 해양생태축 조사 결과 등을 5G 기반의 가상(VR) · 증강(AR) · 복합현실(MR) 융합 콘텐츠로 제작 및 공유 콘텐츠확보(~′21년) → 사이버뮤지엄 구축(′22년) → 서비스 및 보완(′23년~) 국립공원 해양경관자원의 대국민 서비스. 해양생태계 VR 촬영 현황. VR로 만나는 국립공원. - 29 -. 3D 해중지형도.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29.

(32) Ⅱ-16. 국립공원 연안환경 보전방안 연구 연안생태계 합리적 보전방안 마련 연안생태계(갯벌·사구) 보전 가치평가 기법 개발 연안생태계 핵심지역(갯벌·사구) 종합조사 연안생태계 환경 분석 및 교육 학습실 운영 연안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해 요소에 대한 체계적 대응방안 제시 국립공원 연안생태계에 대한 조사 · 분석 및 교육기능 강화. 국립공원 연안의 공간정보 현황. Ⅱ-17. 연안생태 관련 언론보도. 연안생태 보전을 위한 포럼개최. 해양 생물표본 3D 콘텐츠 확보 국립공원 서식 해양생물의 3D 영상 콘텐츠 확보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해양생물을 활용한 해양 생물표본 3D 영상 DB제작 콘텐츠확보(~′21년) → 사아버뮤지엄 구축(′22년) → 대국민 서비스 제공(′23년~)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해양생물 DB 자원 확보 및 자원보호 홍보 효과. 복합현실 (예시). 30│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백도 VR (예시). - 30 -. 해양생물표본 (예시).

(33) Ⅱ-18. 공원자원 통합 DB 및 분석ㆍ평가 체계 구축 자연자원조사 자료의 통합 관리ㆍ분석ㆍ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 데이터 통합 관리를 위한 DB 구축 GIS 기반 공원자원 관리 표준화 및 평가 기술개발 생태계건강성(EI) ․ 생태계서비스가치(ES) 등 분석 ․ 평가 기반 마련 데이터 기반의 공원현황 파악을 통한 과학적 정보 제공 체계 마련. Ⅱ-19. 과학적 공원관리를 위한 국립공원 디지털 트윈 구축 국립공원 관리 업무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전략 및 중ㆍ장기 로드맵 수립 국내ㆍ외 디지털 트윈 기술ㆍ정책ㆍ시장 동향 분석 국립공원 적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활용 기술개발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전략 및 이행과제 발굴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공원관리체계 마련. 수요자 맞춤형 관리. 데이터 기반 정보 분석 ․ 평가. - 31 -. 과학적인 공원관리.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31.

(34) 전략목표 Ⅲ Ⅲ-1. 수요자 중심의 정책 연구 강화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탐방문화 정착 탐방매력도 증진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탐방 경쟁력 강화 자연자원의 효과적인 이용 지침 마련 · 진단, 다양한 탐방 콘텐츠 개발 생태관광 법 · 제도적 기반 강화 · 국제 인증 · 해양 탐방 문화 정립 국립공원 브랜드 강화 방안 및 해외정책홍보 기반 마련 생태관광 선도기관으로 국립공원 역할 재정립 및 대내 · 외 탐방객 만족도 제고. 구분. 2021. 세부 연구 과제. 관련 부서. 비고. 국립공원 특화 생태관광 · 탐방프로그램 개발. 탐방복지처. 현안. 외국인 탐방객을 위한 탐방수용태세 진단 및 개선 방안. 탐방복지처. 현안. 국립공원 생태탐방원 활성화 방안 연구. 탐방복지처. 현안. 홍보실. 현안. 국립공원 생태관광 중장기 계획 수립. 탐방복지처. 미래. 국립공원 생태관광 법 · 제도적 기반 강화. 탐방복지처. 현안. 해양 탐방 문화 정립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탐방복지처. 미래. 홍보실. 현안. 국립공원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개념 정립 및 적용 방안. 탐방복지처. 미래. 국립공원 생태관광 경쟁력 강화 방화. 탐방복지처. 미래. 외국인 탐방객 유치 전략 수립 연구. 홍보실. 미래. 국립공원 탐조관광 활성화 방안. 탐방복지처. 현안. 자연환경해설사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방복지처. 현안. 탐방정책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탐방복지처. 미래. 홍보실. 미래. 국립공원 인지도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2022. 국립공원 브랜드 정체성 구축 및 홍보마케팅 전략 수립 연구. 2023. 2024. 국립공원 홍보관 활성화 방안. 32│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32 -.

(35) Ⅲ-2. 탐방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자연공원 보전 · 관리 체계 개선 미래 탐방수요 변화에 대응한 자연공원 보전 · 관리 체계 강화 수요자 중심의 공원계획을 통한 자연공원 브랜드 만족도 제고 자연공원 보전 · 관리 체계 강화 및 효과성 제고 기후변화 및 탐방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공원관리 선진화 수요자(탐방객, 지역민 등) 만족도 증진을 위한 공원관리 기반 강화 자연공원의 생태적 보전가치 증대 및 운영 · 관리 효과성 제고 국가 보호지역 통합 관리 역량 증진. 구분. 2021. 세부 연구 과제. 관련 부서. 비고. 국립공원 보전 · 관리계획 수립 및 이행점검 체계 구축. 공원환경처. 현안. 자연공원 지정 해제 및 변경구역 환경관리계획 수립 지침 마련. 공원환경처. 현안. 해상 · 해안국립공원 용도지구 개편 및 행위허가 체계 개선방안 연구. 공원환경처. 미래. 시설처. 미래. 공원환경처. 미래. 탐방만족도 제고를 위한 공원시설 안전 강화방안 연구. 시설처. 미래. 국립공원 디자인센터 도입 효과성 검토 및 발전방안 연구. 시설처. 미래. 공원환경처. 미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공원시설 그린 리모델링 방안 연구. 시설처. 미래. 자연공원 탐방만족도 개선을 위한 공원시설 재생방안 연구. 시설처. 미래. 공원환경처. 미래. 국립공원 브랜드 향상을 위한 시설디자인 체계 개선방안 연구. 시설처. 미래. 탐방수요 변화 대응을 위한 공원시설 기능 개선방안 연구. 시설처. 미래. 해양시대를 대비한 해상해안국립공원 탐방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자연공원 신규 지정에 따른 사회갈등 조정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2022. 자연공원 보전기능 강화를 위한 대규모 공원시설 환경관리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023. 민간주도 자연공원 환경관리 책임제도 연구 2024. - 33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33.

(36) Ⅲ-3.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정책 활용 강화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및 활용 방법 제시 국민 건강 및 행복 체감도 증진, 환경 교육을 통한 생물다양성 보전 인식증진 국립공원 자연생태계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 고도화 국립공원 차원의 ES, PES 정책 개발 · 활용을 통해 사회적 공익가치 실현 국립공원을 통한 국민 건강, 환경교육 연계성 강화방안 마련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통해 국민행복 및 생태복지 체감도 향상. 구분. 2021. 2022. 2023. 세부 연구 과제. 관련 부서. 비고. 국립공원 이해관계자 간 생태계서비스의 공유가치 인식증진 방안 연구. 상생협력실. 미래.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계약 시행에 따른 공원보호협약 활성화 방안 연구. 상생협력실. 현안. 제3차 환경교육 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환경교육 추진방향 설정 및 체계화 연구. 탐방복지처. 현안. 국립공원 내 자연친화 생산방식 개념정립 및 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자원보전처. 현안. 국립공원지역 PES 사업 운영 매뉴얼 개발. 상생협력실. 현안. 국립공원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진단 및 효과성 평가. 탐방복지처. 현안. 국립공원 쾌적성지수 개발 연구(대기오염, 미세먼지 등). 공원환경처. 미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교육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 상생협력실 탐방복지처. 미래. 국립공원 맞춤형 환경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효과 평가. 탐방복지처. 현안.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 연계방안 개발 연구. 탐방복지처. 미래. 국립공원 생태탐방원의 국가 환경교육센터 지정 및 활용성 강화 방안 연구. 기획예산처. 미래. 2024. ※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연구(기존, ‘17년~‘22년 평가체계 확립, ‘23년 국립공원 생태계 모니터링 및 ES 통합평가 시스템 개발 예정). 34│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34 -.

(37) Ⅲ-4. 선제적 재난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실용 연구 생명 존중,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을 위한 실용 연구 강화 실시간 현장대응을 위한 융 ․ 복합 재난안전 기술 선도 국민이 체감하는 재난안전 교육 콘텐츠 강화 국립공원형 新안전경영체계 확립 및 안전관리 선진화 국민이 참여하고 소통하는 전방위적 재난안전체계 마련. 구분. 2021. 2022. 2023. 2024. 세부 연구 과제. 관련 부서. 비고. 안전경영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처. 현안. 자연재난 원인 등 정보 수집 · DB표준화 · 분석 연구. 재난안전처. 기초. 재난안전종사자 교육 프로그램 기획 ·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처. 현안. 안전경영체계 세부운영 방안 마련 연구. 재난안전처. 현안. 재난예경보시설 등 시나리오 기반 재난 유형별 시스템 실용화 방안 연구. 재난안전처. 현안. 재난안전 R&D 미래 발전전략 조사 · 분석. 재난안전처. 미래. 자연재난 피해 추정 기술개발. 재난안전처. 미래. 재난취약지구 조사·평가 · 정비 · 복구 등에 관한 기술개발. 재난안전처. 현안. 재난관리대책 수립 연구 및 매뉴얼 개발 · 평가 등 연구. 재난안전처. 현안. 미래 재난안전 기술 현장 활용 및 사업화 방안 연구. 재난안전처. 미래. 재난안전 교육 프로그램 발전전략 수립 연구. 재난안전처. 미래. 기후변화대응 및 재해영향분석 연구. 재난안전처. 미래. 재난안전관리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연구. 재난안전처. 미래. 지역 수요기반 맞춤형 재난안전 교육 활용방안 연구. 재난안전처. 미래. - 35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35.

(38) Ⅲ-5. 국립공원 마을 전통문화 지수 개발 국립공원 마을 전통문화 현황 파악 및 보전을 위한 전통문화 지수 개발 마을의 전통산업, 전통제례, 전통지식 등 문화유산 보전현황 파악 마을문화의 보전 · 전승 · 활용의 기반이 되는 개량 지표 개발 자연마을 대상 시범사업을 통한 지표 수정 보완 국립공원 마을 전통문화 보전과 지원을 위한 객관적 지표 마련. Ⅲ-6. 국립공원 우수 해안 및 해양 경관자원 발굴 해양관광 및 레저 활성화에 따른 국립공원 해양경관 100대 비경 발굴 국내 · 외 해안 경관, 해양 경관 발굴 사례 및 기초자료 확보 국립공원 해안에 이어진 우수 해양 경관지역 발굴 및 환경 조사 국립공원 100대 우수 해안 및 해양경관 발굴 매뉴얼 및 지정 연구 탐방객의 다양한 체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및 공원관리 정책 방향제시. 국립공원 해안과 연결된 해중 경관 발굴. Ⅲ-7. 충남 소황사구 해양경관구역. 빅데이터 기반 공원정책 및 관리방안 수립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요자 맞춤형 공원정책 및 관리방안 수립 이슈정보 수집을 위한 뉴스, SNS, 포털 등 웹크롤링 기술개발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립공원 키워드 및 토픽 분석 기술개발 탐방, 시설, 안전 등 공원관리 정책이슈 도출 및 방안 수립 최신 트렌드 분석을 통한 수요자 맞춤형 공원관리 업무지원. 36│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36 -.

(39) Ⅲ-8. 육상~연안~도서~해양생태계(Ecosystem continuum) 통합 보전 정책 마련 국립공원을 생태계 연속체(Ecosystem continuum) 개념으로 통합 보전 방향 수립 (배경) 국립공원은 고지대 산악형, 저지대 마을지구, 해상해안 국립공원 등 다양 (개념) 종 중심 → 서식지 → 생태계 → 생태계 연속체 개념으로 접근 (차별성) 국립공원에서만 가능(산림청은 산림만, 해수부는 해양에 중점) 국가 핵심생태계인 국립공원 자원관리의 통합 체계 마련 → 보호지역 보전 전문. 산림 그린카본(Green Carbon). Ⅲ-9. 연안 블루카본(Blue Carbon). 생태계 연속체(Ecosystem continuum). 해양생태계 증식ㆍ복원사업 운영 매뉴얼 구축 해양생태계 증식·복원 성과창출을 위해 효과적이고 체계화된 관리방안 마련 해양국립공원 우수사업의 핵심 원리와 원천기술을 업무지식으로 매뉴얼 구축 대추귀고둥 및 산호충류 등 4건의 복원사례 매뉴얼화 구축된 매뉴얼 활용으로 체계화된 증식 복원의 일관성 및 지속성 유지. Ⅲ-10.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유해ㆍ교란생물 관리위원회 운영 해양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유해 · 교란생물 관리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방향결정 당해 연도 관리사업 성과점검 해양국립공원 유해 · 교란생물 관리종 지정 생태계 피해영향 기준마련 해양생물종 복원효과 확대 및 효과적인 생태계 교란요인 관리. - 37 -. │국립공원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37.

(40) 전략목표 Ⅳ Ⅳ-1. 혁신ㆍ 상생을 통한 경쟁력 강화 상생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강화 지역사회와 상생협력 등 사회적 가치 기반사업 추진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지역주민 협력 사업을 통한 국립공원 마을 활성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국립공원 사회공헌활동 강화 마을공동체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마을 조성을 위한 연구 추진 지역사회와 상생협력 관계 강화로 대국민 신뢰 향상. 구분. 관련 부서. 비고.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 향상 전략 마련. 상생협력실. 현안. 지역사회 맞춤형 사회공헌프로그램 발굴. 상생협력실. 현안. 국립공원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 마련. 상생협력실. 현안. 국립공원-지자체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상생협력실. 현안. 국립공원 주민가이드제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상생협력실. 미래. 지역사회 협력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상생협력실. 현안. 2023.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지역사회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상생협력실. 현안. 2024. 국립공원 마을 활성화사업 효과성 분석. 상생협력실. 현안. 2021. 2022. 세부 연구 과제. 38│국립공원공단│국립공원연구원│. - 38 -.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