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인천광역시 고용동향
❖ 이 자료는 전국 표본 조사가구내 약 34,800 가구 중 인천지역 2,000 가구의 15 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2022 년 5 월 15 일부터 21 일까지 1 주간의 경제활동상태를 경인지방통계청에서 조사한 결과입니다 .
❖ 통계표에 수록된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 전체 수치와 표내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본문에 수록된 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tat.go.kr), 경인지방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tat.go.kr/giro) 및 국가통계 포털 (http://kosis.kr)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일자리경제과
2022.6.15(수) 통계청 공표
2022년 5월 인천시 고용동향
□ 경제활동인구: 1,645천명, 전년동월대비 2천명 감소
- 경제활동참가율 : 64.1%, 전년동월대비 0.5% 감소□ 고용률 : 63.0% ,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취업자 : 1,620천명, 전년동월대비 3만 5천명(2.2%) 상승
※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 : 69.7%, 전년동월대비 1.7% 상승
□ 실업률 : 3.8%, 전년동월대비 1.1 %p 감소
- 실업자:6만 4천명, 전년동월대비 1만 8천명(21.5%) 감소
▢ 인천시 고용동향
(단위 : 천명, %, %p) 구 분 ‘21. 5. ‘22. 4. ‘22. 5.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15세이상인구(생산가능인구) 2,547 2,566 2,570 22.9 0.9 3.7 0.1
경제활동인구 1,667 1,645 1,684 16.9 1.0 39.4 2.4 참가율 (65.5) (64.1) (65.5) 0.0 1.4
취 업 자 1,585 1,590 1,620 34.5 2.2 29.9 1.9 고용률 (62.2) (62.0) (63.0) (0.8) (1.0)
산
업
별
농림어업 13 2 3 (△9.4) △75.2 1.6 106.7
광공업 303 329 324 21.0 6.9 △4.9 △1.5
․ 제조업 302 328 324 21.1 7.0 △4.9 △1.5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 1,270 1,259 1,292 22.8 1.8 33.2 2.6
․ 건설업 134 133 136 2.3 1.7 2.9 2.2
․ 도․소매,숙박음식점업 316 305 310 △5.8 △1.8 5.2 1.7
․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580 567 590 10.4 1.8 23.5 4.1
․ 전기․운수․통신․금융업 240 254 256 16.0 6.7 1.6 0.6 연
령별
취업 자
15 ~ 29세 235 244 248 12.7 5.4 4.0 1.6 30 ~ 39세 316 305 311 (△4.8) △1.5 6.0 2.0
40 ~ 49세 374 366 374 △0.1 △0.0 8.3 2.3
50 ~ 59세 385 394 397 11.7 3.0 3.1 0.8
60세 이상 275 281 290 14.9 5.4 8.5 3.0
실 업 자 82 55 64 △17.6 △21.5 9.5 17.3
실업률 (4.9) (3.3) (3.8) (△1.1) 0.5
비경제활동인구 880 922 886 5.9 0.7 △35.8 △3.9
▢ 시․도별 고용동향
(단위 : 천명, %)
구 분
15세 이상 인구
경제활동
참 가 율 실업률 고용률
경 제 활 동 인 구
비 경 제 활동인구
15세 이상 15~64세 (OECD 비교기준)
취업자 실업자 순위 순위 순위
전국
45,245 29,374 28,485 889 15,871 64.9 3.0 63.0 69.2
8대 평균
2,485 1,553 1,502 51 932 62.5 3.3 60.4
서울
8,464 5,331 5,145 186 3,133 63.0 3.5 6 60.8 4 68.9 2
부산
2,941 1,742 1,691 51 1,199 59.2 2.9 4 57.5 8 65.7 6
대구
2,077 1,285 1,241 44 792 61.9 3.4 5 59.7 6 67.4 5
인천
2,570 1,684 1,620 64 886 65.5 3.8 8 63.0 2 69.7 1
광주
1,279 774 752 21 506 60.5 2.7 3 58.8 7 64.0 8
대전
1,288 812 793 18 476 63.0 2.2 1 61.6 3 67.6 4
울산
956 593 573 21 363 62.1 3.5 6 59.9 5 65.2 7
세종
308 205 201 5 102 66.8 2.2 1 65.3 1 68.7 3
경기
11,873 7,984 7,737 247 3,889 67.2 3.1 65.2 71.0
강원
1,321 864 843 20 458 65.4 2.4 63.8 69.0
충북
1,426 971 942 28 455 68.1 2.9 66.1 71.8
충남
1,906 1,285 1,249 36 621 67.4 2.8 65.5 69.8
전북
1,557 1,014 991 23 543 65.1 2.3 63.6 67.8
전남
1,526 1,054 1,037 17 472 69.1 1.6 67.9 72.5
경북
2,328 1,539 1,505 34 789 66.1 2.2 64.7 69.7
경남
2,853 1,835 1,768 67 1,018 64.3 3.7 62.0 67.0
제주
574 403 395 8 171 70.3 1.9 68.9 72.9
☞ 고용률(%) : 세종(65.3)>인천(63.0)>대전(61.6)>서울(60.8)>울산(59.9)>대구(59.7)>광주(58.8)>부산(57.5) *15~64세 고용률(%): 인천(69.7)>서울(68.9)>세종(68.7)>대전(67.6)>대구(67.4)>부산(65.7)>울산(65.2)>광주(64.0)
☞ 실업률(%) : 세종(2.2)=대전(2.2)>광주(2.7)>부산(2.9)>대구(3.4)>울산(3.5)=서울(3.5)>인천(3.8)
-경제 용어 설명 -
·경제활동참가율 : 만15세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인구×100)
·고용률 :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취업자 수÷15세 이상인구×100)
·실업률 :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100)
고 용 률 추 이
실 업 률 추 이
▢ 인천시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동향
(단위 : 천명,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21. 5
22. 1 22. 2 22. 3 22. 4 22 .5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취업자 수 계 1,585.2 1,527.8 1,575.6 1,580.6 1,589.8 1,619.7 34.5 2.2 29.9 1.9
비임금근로자 299.6 275.5 282.1 282.8 283.9 291.0 △8.6 △2.9 7.1 2.5
*자영업자 271.9 255.5 259.5 257.2 260.7 267.7 △4.2 △1.5 7.0 2.7
*무급가족종사자 27.8 20.0 22.7 25.6 23.2 23.3 △4.5 △16.2 0.1 0.4
임금근로자 1,285.6 1,252.2 1,293.4 1,297.8 1,306.0 1,328.7 43.1 3.4 22.7 1.7
*상용근로자 870.8 901.3 918.1 929.1 930.4 927.3 56.5 6.5 △3 △0.3
*임시근로자 318.5 269.9 293.8 291.3 299.7 326.8 8.3 2.6 27.1 9.0
*일용근로자 96.3 81.0 81.5 77.4 75.9 74.6 △21.7 △22.5 △1 △1.7
- 경제 용어 설명 -
·15세이상인구 : 대한민국에 상주하는 만 15세(매월 15일 현재) 이상인 자
(생산가능인구) - 단, 군인(직업군인, 상근예비역 표함), 사회복무요원, 의무경찰, 형이 확정된 교도소 수감자 등 제외
·경제활동인구 :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는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를 말함
·경제활동참가율 : 만15세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인구×100)
·고용률 :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취업자 수÷15세 이상인구×100)
·실업률 :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100)
·취업자 : ①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② 자기에게 직접적으로는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자기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이상 일한 자(무급가족종사자)
③ 직장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 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실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으로서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
▢ 청년 고용 현황
(2022. 1/4분기)(단위 : 천명, %, %p)
구 분
전국 인천 7대 도시 평균
2021.
1/4
2022.
1/4
전년동분기 2021.
1/4
2022.
1/4
전년동분기 2021.
1/4
2022.
1/4
전년동분기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고용률 42.1 46.0 3.9 45.2 48.2 3.0 41.6 43.8 2.3
실업률 9.9 6.7 △3.2 10.8 7.3 △3.5 9.7 7.3 -2.5
경제활동
참가율 46.7 49.3 2.6 50.7 51.9 1.2 46.1 47.3 1.2
청년인구 8,841 8,657 △184.0 △2.1 501 488 △13.0 △2.6 575 560 -14.9 △2.6 청년경제
활동인구 4,133 4,264 131.0 3.2 254 253 △1.0 △0.4 284 283 -0.4 △0.2
취업자 3,725 3,979 253.8 6.8 226.2 234.9 8.7 3.8 254.5 262.5 8.0 3.2 실업자 408 285 △122.3 △30.0 27.5 18.4 △9.1 △33.1 29.1 20.8 -8.3 △28.6 청년비경제
활동인구 4,708 4,393 △315.0 △6.7 247.0 234.0 △13.0 △5.3 291.1 276.7 -14.4 △5.0
* 청년기준 : 15세∼29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