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하계 계절학기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계획(안)
2023. 4.
교 무 처
2023학년도 하계 계절학기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계획(안)
<현장실습지원센터, 2023.04.20.(목)>
Ⅰ 정의
❍ 표준현장실습학기제란?
- 대학과 현장실습기관이 공동으로 산업체 현장에서 이론의 적용, 실무교육 및 실습 등을 실시하는 현장실무형 교육과정 중 학기 단위로 일정 기간 연속적으로 운영되고 학점이 부여되는 교육과정임
Ⅱ 운영 근거
❍ 현장실습 교과목 운영 관련 기준 -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규정 및 지침
- (교육부 고시 제2021-33호)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 운영규정」
❍ 산업체현장실습 교과목 운영 환경
- 현장실무형 교육원시스템(jt.dsu.ac.kr) 및 교원종합시스템, 학생종합시스템 이용
현장실무형 교육지원시스템 교원종합시스템 학생종합시스템Ⅲ 추진방법 및 내용
❍ 실습기간 : 2023. 6. 19.(월) ~ 8. 23.(수)까지 / 기간 내 4주, 8주 운영
❍ 참여 학생 자격
-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규정 제25조(이수 및 신청자격 등) 충족 자
- 3, 4학년 재학생으로 4학기 이상 수료자(계절학기 제외)
❍ 현장실습 유형
실습 기간 교과목 학점 학년 운영방식
4주 표준현장실습Ⅰ 3 3학년 - 근무일 기준 20일 연속시행
(1일 8시간, 총 160시간 연속실시 원칙)
표준현장실습Ⅲ 3 4학년
8주
표준현장실습Ⅴ 6 3학년 - 근무일 기준 40일 연속시행
(1일 8시간, 총 320시간 연속실시 원칙)
※ 단, 8월 졸업자는 8주 현장실습 신청 불가
표준현장실습Ⅶ 6 4학년
※ 실습 기관의 휴무일, 공휴일 등은 현장실습 기간으로 인정되지 않음
❍ 현장실습 운영 절차
❍ 참여 방법
- 하계방학 중 현장학습 참여를 원칙으로 함
- 산업체 : 현장실무형 교육지원시스템(https://jt.dsu.ac.kr) 에 참여신청서 등록 ·표준 현장실습학기제(Co-op)운영 계획서
·표준 현장실습학기제(Co-op)운영 계획 및 직무기술서 ·사전 서면점검서(신규 실습기관용)
- 학생 : 학생종합시스템을 이용하여 참여신청서 등록
❍ 현장실습의 평가
- 현장실습 평가표에 따라 실시하며 수행능력, 수행태도, 출결태도 각 영역의 평가 점수가 80% 이상일 경우에 “S(Satisfactory)”, 80% 미만인 경우 “U(Unsatisfactory)”
로 평가한다.
❍ 현장실습 지도
- 현장실습 지도*는 4주 기준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현장실습 지도 후 현장실습
순
서 ① ⓶ ③ ④ ⑤ ⑥
운 영
표준 현장실습 교과목 신청
참여신청
및 매칭 수강신청 교육과정
협약
현장실습 수행
평가·
성적부여 주
체 각 학과 산업체, 학생 학생
학과, 산업체,
학생 산업체, 학생 산업체, 교원
일 정
2023. 5. 8.(월)
~ 5. 11.(목)
2023. 6. 1.(목)
~ 6. 2.(금)
2023. 6. 8.(목)
~ 6. 9.(금)
현장 실습 시작 전까지
2023. 6. 19.(월)
~ 8. 23.(수)
1차 2023.
7. 26.(수) ~ 7. 28.(금) 2차 2023.
8. 23.(수) ~ 8. 25.(금)
지도 보고서 온라인 제출
Ÿ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현장실습 방문 지도가 불가할 경우 통신지도 운영 가능
Ÿ 통신지도 시 온라인 Zoom 활용 권고(통신지도 증빙: 화면캡처)
* 현장실습 지도 : ①현장실습 담당교수는 주기적으로 현장을 방문하여 학생의 교육환경, 출근 현황 등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②현장실습 지도는 방문지도 1회(필수), 통신지도 1회 이상 운영하여야 함.
Ⅳ 실습기관의 의무
1. 현장실습학기제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실습기관의 운영계획을 갖추고 있을 것 -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계획서, 사전 서면점검서(신규 실습기관) 작성
2. 학생의 보건ㆍ위생,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
3. 현장실습학기제에 필요한 시설ㆍ설비ㆍ물품 등을 갖추고 제공할 수 있을 것
4. 학생의 전공지식 및 실무능력 배양이 가능하도록 전공과 관련된 직무수행 기회 부여 및 관련된 교육, 지도가 가능할 것
- 전체 실습시간의 10 ~ 25%이하의 범위에서 직무관련 교육시간 반영하여 운영 5.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및 학생 지도ㆍ관리를 담당하는 현장교육담당자를 배치할 것 6. 현장실습학기제 참여학생의 산재보험가입 후 가입증명서(사업장 자격취득자명부) 1주일
이내 학교 제출
- 발급 방법 :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내 ‘고용산재보험 사업자 취득 명부 신청’에서 발급 가능
7. 산학협력법 제11조의3 제3항에 따라 실습기관은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참여 학생에게 실습지원비 지급
- 지급기준 : 교육시간 비율(10~25%이하)을 고려하여 최저임금(월환산액 기준) 최소 75%
이상으로 지급하여야 함
- 산학협력법 시행령 제13조의2 제2항에 따른 실습지원비
<실습지원비 산출 기준>
① 주 단위 실습시간 수 : (일 실습시간 수 × 주 실습일수 + 1주 1일의 유급휴일로 처리되는 일 실습 시간 수) 최저임금
② 월 단위 실습시간 수 : (주 단위 실습시간 수 ÷ 7) × (365 ÷ 12) 값의 소수점 이하 올림 값
③ 직무수행 실습시간 비율 : (1 – 직무 관련 교육시간 비율)의 소수점 둘째자리 값(셋째자리 올림 값)
<시간급 최저임금>
2023년 최저임금 월 단위(209시간 기준) 주 단위(48시간 기준) 100%지급시 75%지급시 100%지급시 75%지급시 9,620원 2,010,580원 1,507,935원 461,760원 346,320원
<실습지원비 지급기준>
① 주 단위 실습지원비 : 「최저임금법」에 따라 고시되는 시간급 최저임금액과 주 단위 실습시간 수, 직 무수행 실습시간 비율을 곱한 금액 이상
② 월 단위 실습지원비 : 「최저임금법」에 따라 고시되는 시간급 최저임금액과 월 단위 실습시간 수, 직 무수행 실습시간 비율을 곱한 금액 이상
③ 실습 기간이 주 또는 월 단위로 편성되지 않은 잔여 날의 수(기간)에 대하여는 주 단위 실습지 원비를 기준으로 일할 계산하여 실습지원비를 지급
※ 실습지원비 25% 청구 시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실습지원비 지급 신청서(기관용)」 작성 후 시스템(jt.d su.ac.kr) 등록_ 마이페이지 >> 현장실습 >> 현장실습 결과 >> 직무 교육비 증빙 서류 업로드
Ⅴ 현장실습학기제 불인정 기준
❍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규정 제8조(현장실습학기제 불인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현장실습학기제로 운영 불가
1. 실습기관 등을 학생 개인이 섭외하거나, 해당 기관의 필요에 따라 학생을 직접 모집ㆍ선발하는 경우
2. 실습기관과 학생 간 취업(조기취업 포함), 근로, 인턴, 아르바이트 등을 실시하고 있거나, 실시하기로 확정된 경우
3. 국가 또는 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집체형태 교육과정 등의 경우 4. 제6조 제4항ㆍ제6항에 따른 수업요건을 갖추지 않는 경우
5. 제17조 제2항․제3항에 따른 산재보험 및 상해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경우 6. 제19조, 제23조 제1항에 따른 실습지원비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
7. 제23조 제2항에 따른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8. 그 밖에 이 규정에서 정한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등
Ⅵ 추진 일정
일정 구분 역할 내용
실 습 전
2023. 5. 8.(월)
~ 5. 11.(목)
교과목 개설신청
담당교수
-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 개설신청
[교원종합시스템 → 수업 → 현장실습 → 교과목 개설 신청]
학과장 - 현장실습학기제 교과목 개설승인
[교원종합시스템 → 수업 → 현장실습 →
일정 구분 역할 내용 교과목 개설 승인]
2023. 5. 22.(월)
~ 5. 31.(수) 참여 신청
학생 - 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신청서 작성
[학생종합시스템 → 현장실습 → 참여신청]
실습기관
- 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신청서 작성 [JT시스템→ 현장실습 → 참여신청]
※ JT시스템: jt.dsu.ac.kr
- 현장실습학기제운영계획서, 서면점검서(신규기관)
학과장
- 현장실습 교육과정 참여 신청 승인 [교원종합시스템 → 수업 → 현장실습 → 학생 참여 신청서 승인]
2023. 6. 1.(목)
~ 6. 2.(금) 현장실습 매칭
담당교수
- 현장실습 학생·실습기관 매칭
[교원종합시스템 → 수업 → 현장실습 → 학생·실습기관 매칭]
실습기관 - 현장실습 학생·현장교사 매칭
[JT시스템 → 현장실습 → 매칭 실습생]
2023. 6. 8.(목)
~ 6. 9. (금) 수강신청 학생
-표준현장실습Ⅰ, Ⅲ [각 4주(3학점)]
-표준현장실습 Ⅴ, Ⅶ [각 8주 (6학점)]
※매칭이 완료되지 않은 학생은 하계계절학기 수강 신청 시행해야 함
2023. 6. 12.(월)
(예정) 사전교육 학생
- 대상: 표준현장실습 교과목 수강 학생 - 방법: 대면
※ 세부 내용은 별도 공지 2023. 6. 21.(수)
~ 6. 23.(금) 수강료 납부 학생
- 수강료: 1학점 당 50,000원
- 방법: 학생종합시스템에서 고지서 출력 후 납부 - 수강료 납부 문의: 재무팀, 061-330-3084
※ 기간 내 수강료 미 납부시 수강신청 자동 취소 실습 전까지 협약서 제출 학과
- 서식: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협약서
(JT시스템에서 협약서 3부 출력 후 도장 필/원본) - 제출처: 정보전산센터 학사지원팀
실습 시작 이전 보험 가입
학교 - 현장실습 상해보험 가입 실습기관 - 현장실습 산업재해보험 가입
실 습 중
2023. 6. 19.(월)
~ 8. 23.(수) (기간 내 4주 또는 8주 운영)
현장실습 운영 실습기관
- 현장실습 출근상황부 입력
[JT시스템 → 현장실습 → 현장교육 → 출석]
- 산업재해보험 증빙(가입) 서류 업로드 [JT시스템 → 현장실습 → 현장교육 → 등록]
※ JT시스템: jt.dsu.ac.kr
Ⅶ 현장실습 지원
❍ 현장실습지원비 지급기준
구분(대상) 지원내용 기준
학생 현장실습 지원금 - 보험(상해·산업재해)별도 지원
- 마일리지 3,000점 적립(최대 4회)
실습기관 교육비 - 지급 기준 별도 안내
담당교수 학생지도비, 출장비 - 학생지도비: 별도 기준에 의함
- 교수업적평가 반영(산학협력분야 5점)
- 출장비 지급(공무원여비기준)
* 증빙자료 제출 : 국내출장허가신청서, 출장복명서, 현지영수증, 통장사본,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지도 보고서[첨부 1]
* 증빙자료 제출 장소 : 산학협력관 410호(출장비 관련 문의 : 1907 최지현) - 담당교수 현장실습 지도비는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지침’기준에 의함
※ 단, 국내 통신지도(전자메일, SNS, 유·무선 전화 등)는 지도비 지급 대상에서 제외
일정 구분 역할 내용
학생 - 현장실습 일일보고서·중간보고서 작성
[학생종합시스템 → 현장실습 → 보고서 작성]
담당교수
-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보고서 작성 학생지도
- 현장실습 방문지도
[교원종합시스템 → 현장실습 → 지도보고서]
실 습 후
1차 2023. 7. 19.(수)
~ 7. 25.(화) 결과보고서
제출 학생
- 현장실습 종합보고서 작성
[학생종합시스템 → 현장실습 → 보고서 작성]
※ 만족도조사 완료 후 작성 가능 2차 2023. 8. 17.(목)
~ 8. 23.(수) 1차 2023. 7. 19.(수)
~ 7. 25.(화) 실습생 평가
및 제출 실습기관 - 실습생 평가표, 출석부 작성 및 제출
※ 만족도조사 완료 후 작성 가능 2차 2023. 8. 17.(목)
~ 8. 23.(수) 1차 2023. 7. 26.(수)
~ 7. 28.(금) 결과보고서 평가 및 성적
입력
담당교수
- 현장실습 보고서 평가 및 성적처리 [교원종합시스템 → 수업 → 현장실습 → 성적입력]
2차 2023. 8. 23.(수)
~ 8. 25.(금)
Ⅷ 행정 사항 및 문의처
❍ 행정 사항
- 실습기관 산업재해보상보험 의무 가입 및 가입 증명서 제출 - 기간 : 실습 시작일 ~ 7일 이내
❍ 문의처 : 학사지원팀 조주연(☎ 061-330-3032)
❍ 실습지원비, 출장비 관련 문의 : Linc 3.0 사업단 최지현((☎ 061-330-1907)
[첨부 1]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지도 보고서
1. 실습정보
실습기관명 실습기간
학과 실습생
2. 지도내용
지도유형 일시
<지도내용>
[사진] [사진]
3. 현장실습학기제 지도에 대한 소견
* 학생점검 내용, 실습 애로사항 및 추후 보완사항 등 현장실습 지도에 따른 담당교수의 구체적인 소견
위와 같이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지도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교과 개설 기준 학과) 학과 담당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