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원생동물과 조류
1. 원생동물 2. 조 류
3. 기타 원생생물
KNUmbl
7.1 원생동물
* 원생동물 (protozoa) : proto(처음) + zoa(동물 zoan)에서 유래 - 세포벽 무, 음식물 섭취, 운동성, 대부분 무포자
- 대부분이 단세포, 일부 종은 군체 형성 - 물, 축축한 토양, 생물기생 형태로 분포 - 동물 플랑크톤(zooplankton) 역할 담당 - 원생동물과 조류 한계 모호한 경우 많음
* 원생동물의 생활사
- 좋은 환경 : 영양체로 존재 : 먹이활동 활발
- 나쁜 환경 : 어떤 종들은 피낭(cyst) 형성 : 휴지기 상태로 환경에 저항
: 환경이 좋아지면 피낭껍질 분해 : 영양체로 전환
- 무성생식이 주, 일부는 유성생식
1. 원생동물의 종류
* 원생동물의 종류
: 주로 운동성 유무 및 운 동기관에 따라 분류
1) 아메바 = 육질충류 = 가 족충류 : 아메바성 운동 - 위족에 의한 운동 - 아메바
2) 편모충류 : 편모운동 - 유글레나 등
3) 섬모충류 : 섬모운동 - 짚신벌레 등
4) 포자충류 : 운동성 무, 포자형성
2. 주요 원생동물
가. 편모충류(유편모충류) : 한 개 내지 수개의 편모 있음 - 아프리카 수면병
Trypanosoma
sp. 특히T. brucei
: 체체파리(tsetse fly)에 의해 전염
* 유래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
1) 식편모충류 : 조류 유래의 편모충류
- 단세포 편모조류(유글레나 속) 엽록체 소실하여 유래 추정 - 식물에서 동물 전환 추정
2) 동편모충류 : 조류 유래가 아닌 것
나. 육질충류(가족충류) : 일정한 형태가 없고 아메바성 운동을 하는 원생동물 - 가족(위족, pseudopodia)형성에 의해 포복운동
(세포질이 유동하여 돌출된 부위) - 대표적
Amoeba proteus
다. 포자충류 : 운동성 무--복잡한 생활환(포자를 형성)--전부 기생성
* 말라리아 병원균 (
Plasmodium vivax
) : 말라리아 모기 암컷에 의해 전염 - 연간 2억의 인구 감염 - 1%(200만) 이상 사망 ***말라리아Trypanosoma sp.
라. 섬모충류 : 수백개의 짧고 밀생한 섬모(cilium, cilia)에 의해 운동하는 원생동물 - 포식성으로서 단세포 중에서 최고로 기관이 잘 분화되어 있음
1)
Tetrahymena
sp.의 조직 및 기관 분화- 세포인두 : 특수기능을 가진 섬모의 회전으로 먹이 섭취- 입의 구실 담당 - 식포(food vacuole) : 먹이를 둘러싸고 소화 흡수
- 통상 두개의 서로 상이한 핵 존재
대핵(macronucleus): 다배체, 크기 큼-세포분열, 생장 관여-영양핵이라고도 함 소핵(micronucleus): 배수체로 크기가 작다--유성생식에 관여
- 수축포 : 수분의 흡수 및 배출로 삼투압을 조절(수축포공을 통해) - 세포항문 : 세포의 후방에 위치- 먹이 찌꺼기 배설
2) 짚신벌레(
Paramecium
sp.)의 성적 재조합 : 접합에 의해 - 대핵 : 영양증식, 소핵-유성생식7.2 조류
* 조류(藻類, algae): 엽록체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군--식물형태의 광합성(
산소발생) --형태 : 단세포, 집락, 사상형, 식물체 등 다양
가. 유글레나 조류(=편모조류) : 유편모 단세포 조류-단순한 구조-담수, 해조류 - 어떤 것은 세포벽 발달 미약
–
편모충류로 진화 추정- 유글레나 : 식물과 동물의 특성 모두 함유
* 원생동물의 편모충류와 유사
* 안점(eye spot) : 간단한 구조의 시각기관
나. 녹조류 : 클로렐라, 청태, 청각-담수, 해조류
- 단세포로부터 다세포 집락, 사상체(균사모양, 유주자), 식물체 등 다양 - 세포의 특성이 고등식물과 유사
- 녹조류로부터 고등식물 진화 추정 - 녹조 유발
: 번식 후 부패하면서 산소 소비
다. 규조류 = 돌말류 = 황금조 (diatom)
- 수화된 규산염이 유기물의 기질에 파묻혀 유리와 같은 견고한 세포벽 형성 - 퇴적하여 화석, 규조토 형성
- 부색소로서 조황소(황색색소) 함유하는 단세포 조류 - 담수, 해수에 모두 존재: 대표적 식물성 플랑크톤 라. 염조류 = 쌍편모 조류 = 황갈색 조류
- 2개의 편모를 가지는 단세포 조류 - 식물성 플랑크톤의 하나
- 어떤 것은 적조현상의 원인 - 해조류가 주
마. 갈조류 : 부색소로 크산토필 함유하는 다세포 조류--녹색을 피복하여 갈색화 - 식물체 형성 : 미역, 다시마
바. 홍조류 : 부색소로서 피코빌린울 함유하는 다세포 조류 - 식물체 형성: 김, 우뭇가사리 (한천의 원료)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 염조류에 의한 적조현상
* 적조(red tide – 녹조와 더불어 algal blooms의 하나)
: 수생 환경 부영양화로 특정 염조 균주가 번식하여 붉은 수면 형성 - 어패류가 염조류 섭취 - 체내 독소 함유
캘리포니아 샌디아고 라졸라 해변의 적조현상
7.3 기타의 원생생물 : 곰팡이 취급
•
동물과 식물의 중간 특성 - 곰팡이와 다르나 일반적으로 곰팡이 취급가. 점균류 (slime mold) : 점성을 가지고 있는 사상균 : 세포벽의 발달 미약 - 균류 중 변형균류로 분류
- 일부 섬유소가 주성분인 세포벽 함유
–
식물과 유사 - 편모운동–
동물과 유사–
한때 육질충류로 분류 : 비세포성 점균류와 세포성 점균류- 비세포성점균류 : Myxomycota문 = 변형체 점균류
–
다핵성세포, 아메바 형태 - 세포성점균류 : Acrasiomycota문–
각각의 세포가 독립성 유지나. 물곰팡이 (water mold) : 수중, 축축한 땅에 서식하는 사상균 : 균류 중 편모균류의 난균류 (Oomycetes) 의미
: 세포벽에 섬유소, 키틴 함유
- 섬유소가 키틴보다 많음 : 식물 유사
: 2개의 편모를 가진 유주자 형성 - 운동성 포자 : 동물과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