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年 2月 碩士學位論文
人口 高齡化와 勞動市場政策에 관한 硏究
朝鮮大學校 經營大學院
産業經濟學科
曺 基 田
[UCI]I804:24011-200000233089
人口 高齡化와 勞動市場政策에 관한 硏究
2006年 2月 25日
朝鮮大學校 經營大學院
産業經濟學科
曺 基 田
人口 高齡化와 勞動市場政策에 관한 硏究
指導敎授 曺 正 基
이 論文을 經濟學 碩士學位 申請 論文으로 提出함
2005年 10月 30日
朝鮮大學校 經營大學院
産業經濟學科
曺 基 田
曺基田의 碩士學位論文을 認准함
委員長 朝鮮大學校 敎授 ㊞
委 員 朝鮮大學校 敎授 ㊞ 委 員 朝鮮大學校 敎授 ㊞
2006年 11月 日
朝鮮大學校 經營大學院
曺基田의 碩士學位論文을 認准함
委 員 長 朝鮮大學校 敎授 經濟學博士
㊞
委 員 朝鮮大學校 敎授 經濟學博士
㊞
委 員 朝鮮大學校 敎授 經濟學博士
㊞
2006年 11月 日
朝鮮大學校 經營大學院
<
<
<제 제 제목 목 목차 차 차례 례 례> > >
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제2절 논문의 구성 ···2
제2장 고령화의 사회․경제적 효과 ···4
제1절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4
제2절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12
제3절 재정에 미치는 영향 ···13
제3장 고령화의 원인과 전망 ···16
제1절 고령화의 원인 ···16
1.고령화의 현황 ···16
2.출산율 ···17
3.주요국가의 평균수명 ···19
제2절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 및 전망 ···20
1.연령계층별 인구구조 ···21
2.인구구조 국제비교 ···24
3.중위연령 ···25
4.중위연령 국제비교 ···26
5.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6
제3절 고령자 노동시장의 변화 ···28
1.고령자의 경제활동 현황 ···28
제4절 퇴직 및 은퇴자 ···51
1.은퇴시기 및 은퇴사유 ···51
2.퇴직과 은퇴의 결정요인 ···56
제5절 노후생활보장제도의 실태와 국제비교 ···59
1.노후생활보장제도의 실태 ···59
2.노후생활자금의 원천 ···61
3.노후생활 및 국제비교 ···71
제6절 주요국의 고령자 고용정책 ···79
1.유럽(EU)···80
2.프랑스 ···83
3.핀란드 ···87
4.영국 ···93
5.유럽 주요 3국의 고령화 관련 특징 비교 ···97
제4장 개선방안 ···99
제1절 기업 ···100
1.최고경영자의 고령자 고용의 중요성 인식 및 명확한 방침제시 ···100
2.임금체계 개선 ···101
3.직무재설계 등 직장개선 ···104
4.연령우대문화의 불식 ···105
제2절 종업원 ···105
1.노동생산성 제고 ···105
2.직업능력개발 ···106
3.변화적응력 배양과 건강 유지 ···107
제3절 노동조합 ···107
1.생산성 향상에 대한 적극적 협력자세 견지 ···107
2.배치전환 등 이동에 대한 부정적 태도 타파 ···108
3.임금인상 위주의 노동운동 불식 ···108
제4절 정부 ···109
1.정년연장과 연령차별 금지법 제정 ···109
2.고용주 고용보조금의 효과와 사회적 일자리 창출 ···112
3.여성의 고용촉진 ···113
4.시장수요에 부응하는 인적자원의 개발 ···118
5.경력 직종․지위별 직업훈련정책제공 ···120
6.고령화에 대비한 평생학습 ···121
7.직업안정망 확충 ···125
제5장 요약 및 결론 ···126
<참 고 문 헌>···130
<
< <표 표 표차 차 차례 례 례> > >
<표2-1> 생산가능인구 추이:1991~2003···5
<표2-2> 연령계층별 생산가능인구:전체 ···6
<표2-3> 연령계층별 생산가능인구:남자 ···7
<표2-4> 연령계층별 생산가능인구:여자 ···7
<표2-5> 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전망 ···8
<표2-6> 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증가율 전망 ···9
<표2-7> 성별․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전망:남자 ···10
<표2-8> 성별․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전망:여자 ···10
<표2-9> 성별․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전망:남자 ···11
<표2-10> 성별․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 전망:여자 ···11
<표2-11> 저축률의 결정요인 분석 ···12
<표2-12> 4대 공적연금의 전망 ···13
<표2-13> 고령화 관련 재정지출 전망 ···15
<표3-1> 인구 고령화 속도의 국제비교 ···17
<표3-2> 각국의 출산율 변화 추이 ···18
<표3-3> 주요국가 평균수명 전망 ···19
<표3-4>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 및 전망 ···20
<표3-5> 생산가능인구(15-64세)전망 ···21
<표3-6> 연령대별 총인구의 전망(2000~2020년)···21
<표3-7> 주요국가의 인구구조 및 부양비 ···25
<표3-8> 성별 중위연령 추이 ···25
<표3-9> 주요국의 중위연령비교 ···26
<표3-10>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추이 ···27
<표3-11>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전체 ···31
<표3-12>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남자 ···32
<표3-13>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여자 ···33
<표3-14> 주요국의 고연령(55~64세)경제활동참가율(2003)···34
<표3-15>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전체 ···36
<표3-16>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전체 ···36
<표3-17> 남성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38
<표3-18> 남성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38
<표3-19>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전망:연령대별 ···39
<표3-20> 여성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40
<표3-21> 직종별 고령근로자의 분포(2002)···41
<표3-22> 직무특성별 고령근로자 분포(2002)···42
<표3-23> 고령근로자의 저임금 발생비율(2002)1)···44
<표3-24> 근로자의 연령구조 변화(1980~2003년)···45
<표3-25> 근로자의 근속구조 변화(1980~2003년)···46
<표3-26> 연령대별 실업자 및 실업률 ···48
<표3-27> 연령별․성별․사유별 실업 분포(2002)···50
<표3-28> 은퇴자 구분 ···52
<표3-29> 구체적 은퇴자사유의 분류 ···53
<표3-30> 성별은퇴사유 ···54
<표3-31> 은퇴사유별 은퇴연령 ···55
<표3-32> 은퇴사유와 은퇴시기 ···56
<표3-33> 생활수준별 예상노후자금 ···60
<표3-34> 국민연금제도 ···62
<표3-35> 확정기여형과 확정급여형 비교 ···68
<표3-36> 주요 OECD 국가들의 사적 연금(privatepensions)제도 적용현황 ···69
<표3-37> 국민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중 ···71
<표3-38> 생활의 수입원(복수응답)···72
<표3-39> 생활의 주된 수입원(60세 이상 고령자)···73
<표3-40> 취업계속을 희망하는 이유 ···74
<표3-41> 노후생활비 대비방안(2000년)···75
<표3-42> 노후 대비로서의 현재 저축과 자산의 만족도 ···76
<표3-43> 희망퇴직연령 국제비교 ···78
<표3-44> 프랑스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2001년)···84
<표3-45> 프랑스 경제활동참가인구 전망(현재 추세 지속 가정)···85
<표3-46> 핀란드의 연령대별 실업률 및 경제활동참가율 최근 추세 ···89
<표3-47> 1990년 이후 핀란드 중고령자(55~64세)의 고용률 추세 ···89
<표3-48> 최근 조기은퇴제도에 대한 개선안 ···91
<표3-49> 1991~2000년,남성 및 여성 고령근로자의 경제활동 참여율 ···94
<표3-50> 2001~2004년 생산적 복지 예산 집행 현황 ···96
<표3-51> 유럽 주요 3국의 고령화 관련 특징 비교 ···98
<표4-1> 여성의 고용률 및 경제활동참가율의 국제비교(1999~2003년)··114 <표4-2> 성별 고용률 및 경제활동참가율 국제비교(2003년)···116
<표4-3> 고령화시대의 19개 전략품목 ···119
<표4-4> 평생학습 참여율(15세 이상)···122
<표4-5> 성인(25~64세)의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비교 ···123
<
<
<그 그 그림 림 림차 차 차례 례 례> > >
[그림3-1]고령화지수의 추이 ···22
[그림3-2]연령별 한시근로자 분포(2001)···43
[그림3-3]퇴직,정년,국민연금 및 기대수명 ···59
[그림4-1]직위 및 전문성을 기준으로 한 고령자직업훈련 모형 ···120
A A AB B BS S ST T TR R RA A AC C CT T T A
A
A S S St t t u u ud d dy y yo o on n nP P Po o op p pu u ul l l a a at t t i i i o o on n na a ag g ge e ei i i n n ng g ga a an n nd d dL L La a ab b bo o or r r
M M Ma a ar r rk k ke e et t tP P Po o ol l l i i i c c cy y yi i i n n nK K Ko o or r re e ea a a
제 제 제1 1 1장 장 장 서 서 서 론 론 론
제 제
제111절절절 문문문제제제의의의 제제제기기기 및및및 연연연구구구의의의 목목목적적적
인구의 고령화는 각 나라별로 정도와 속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21세기 대 부분의 선진국가에서 맞게 될 공통의 사회적 현상이다.
우리나라도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그리고 평균수명의 증대로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진전되고 있다.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인 사회를 가리키는 ‘고령화사회(Aging Society)’에 진입하였고,2004년에는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417만명으로 전 체인구의 8.7%를 차지하고 있으며,2019년에는 노인인구의 비율이 14.3%에 도달 하여 ‘고령사회(AgedSociety)'로 진입하게 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는 단기간에 급격한 경제,사회,문화적 변 화를 초래할 수 있어 고령사회 도래에 대한 정책적 대비를 미리 해두지 않는 경 우 사회적으로는 성장 동력을 상실하여 지속적인 사회발전이 어려울 것이며,개 인적 차원에서도 자율성이 보장되는 고 수준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 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즉 인구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의 상대적 축소,여성경제활동의 지속적 증가에 도 불구하고 총인구 중 비근로 연령인구의 비율의 상승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을 저하시키고 취업자수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고령화는 근로기간중에 저축했던 돈으로 생활하는 계층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경제 전체의 저 축과 투자 감소를 초래하고,취업자수의 감소 및 경제성장의 둔화에 따른 조세수 입의 감소,사회보험료 수입의 감소 및 복지지출 확대로 인해 재정수지를 악화시 킬 가능성이 크다.특히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후에 경험하게되는 빈곤 질병 등 사회적 위험에 대처할 공적체계의 구축 및 실현에 소요되는 예산의 증대로
인해 아동 및 청소년과 같은 다른 연령층에 대한 지출의 감소를 초래 할 우려가 있다.
지금까지의 연령차별적 사회에서 벗어나 연령통합적인 사회구성원리를 구현하 여야만 구조적인 지체없이 고령사회에서도 지속적인 사회․문화․경제적인 발전 이 가능할 것이다.
고령화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활 수 있는 최선의 방책은 가급 적 많은 노동력이 고용상태를 오래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근로 유인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연금․고용보험 등의 사회보장제도를 개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분리이론(disenagementtheory)이 주장한 것처럼 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을 감 소시킴으로써 개인적인 차원의 높은 생활만족감과 더불어 사회기능의 안정에 기 여할 수 있다는 분리이론의 주장과는 달리 자원봉사,간병 및 생산 활동에 참여 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 제고에 기여하고 개인적으로도 활동적인 노화(active aging)를 영위할 수 있게 된다.일과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제한하는 연령제한을 제거한다면 노년기에 사회복지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록 고령화의 파급효과가 2010년 이후에나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더라도 통상 고령화 대책은 그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장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금 당장 준비하지 않으면 고령화가 수반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연구는 노동시장에서 고령자와 연관된 제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적출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제
제222절절절 연연연구구구 방방방법법법 및및및 범범범위위위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관해서 서술하였다.제2장에서는 인구의 고령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을 하였고,제3장에서는 본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기 관에서 발간하는 통계 연(월)보 각종자료,선행연구 문헌 등을 수집하여 분석 통합하 는 문헌조사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본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노인복지(의료 및 사회보장)에 관한 현황을 분석하여 문 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다음과 같이 논문을 구성하였다.
제3장에서는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취업자의 분포,임금근로자의 규모 변화 등 노동시장 전반에 관한 개괄적인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적출하였다.제4장은 제3 장에서 분석한 것을 토대로 선진국 정책을 참고하여 현실적합성이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제5장에서는 연구내용을 요약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제
제 제2 2 2장 장 장 고 고 고령 령 령화 화 화의 의 의 사 사 사회 회 회․ ․ ․경 경 경제 제 제적 적 적 효 효 효과 과 과
고령화가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크게 ① 노동력 인구의 규모와 구성 변화 야기,② 전체 사회의 저축률 감소 초래,③ 고령자의 건강과 생계유지를 위해 들어가는 사회보장비용의 증가와 이로 인한 국가재정의 부담 증대 등이 다.1)
제제제111절절절 노노노동동동시시시장장장에에에 미미미치치치는는는 영영영향향향
고령화가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크게 ① 노동력 인구의 규모와 구성 별 고령화의 진전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때,다음의 두 가지를 개 념적으로 구분하여야 한다.하나는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차 지하는 비중과 절대 규모의 감소문제이며,다른 하나는 생산가능인구의 연령별 구성의 변화이다.
<표2-1>에 의하면 1963년 이후 전반적인 생산가능인구의 추이를 보여 주고 있다.1963년 14.6백만명에 불과하던 생산가능인구는 1974년 20백만명을,1989년 30백만명을 초과하였으며 2003년 현재 37백만명에 이르고 있다.생산가능인구 증 가율은 인구구조 변화와 맞물려 전반적으로 단조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나 모든 기간에서 적용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1964년 2.86%에서 1968년까지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이 남녀 공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 1.90%까지 하락하였으 며,그 이후 1972년까지 3.87%까지 상승한 후 다소간의 변동은 있으나 단조 하 락추세를 보여 2003년에는 1.02%까지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추세는 생산가능인구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낮추는 추 1)이절은 안주엽,『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
pp.34〜38,138〜147에서 참조하였음.
세로 나타나고 있다.1960년대 52% 수준을 상회하였던 여성의 비중은 1970년대 중반 51.7%까지 하락하였으며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03년에는 51.5%로 떨어졌 다.
<<<표표표222---111>>>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추추추이이이:::111999999111〜〜〜222000000333
(단위:천명,%)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36.
생산가능인구 구조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는 것이 노동력 공급의 측면에서 더욱 중요할 것이다.연령대별 가용한 인적자원 중 실제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인구 의 비중이 노동력공급의 중요한 변수일 것이기 때문이다.여기서는 1983년부터 2003년까지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1993〜2003년에 치중한다.
<표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1983〜1993년 사이 에는 연평균 2.18%라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1993〜2003년 사이에는
생산가능인구 증가율 여성의
비중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1963 1970 198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14,551 17,468 24,463 30,887 31,535 32,020 32,526 33,046 33,659 34,274 34,851 35,347 35,757 36,186 36,579 36,963 37,340
6,881 8,274 11,804 14,907 15,231 15,451 15,697 15,948 16,276 16,599 16,886 17,124 17,307 17,522 17,720 17,921 18,119
7,670 9,194 12,659 15,980 16,304 16,570 16,829 17,098 17,382 17,675 17,965 18,223 18,451 18,664 18,859 19,042 19,220
2.86 3.66 2.84 2.06 2.10 1.54 1.58 1.60 1.85 1.83 1.68 1.42 1.16 1.20 1.09 1.05 1.02
3.08 3.88 3.22 1.96 2.17 1.44 1.59 1.60 2.06 1.98 1.73 1.41 1.07 1.24 1.13 1.13 1.10
2.67 3.45 2.49 2.15 2.03 1.63 1.56 1.60 1.66 1.69 1.64 1.44 1.25 1.15 1.04 0.97 0.93
52.71 62.63 51.75 51.74 51.70 51.75 51.74 51.74 51.64 51.57 51.55 51.55 51.60 51.58 51.56 51.52 51.47
1.39%로 급속하게 하락하였다.이러한 저출산과 인구고령화 추세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연령대별로 보면,1993〜2003년 사이 15〜19세,20〜24세,25〜29 세 연령계층에서는 생산가능인구가 오히려 줄어들었으며,감소율은 연령계층이 낮을 수록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
<
<표표표222---222>>>연연연령령령계계계층층층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전전전체체체
(단위:천명) 전체 1983 1988 1993 1998 2003 1983〜1993 1993〜2003 15세이상
15〜64세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26,213 24,352 3,721 3,342 3,671 2,883 2,376 2,316 2,089 1,637 1,307 1,061 799 541 275 245
29,602 27,435 4,319 3,045 4,144 3,676 2,756 2,427 2,326 2,063 1,530 1,151 873 610 412 273
32,525 30,087 3,933 3,732 4,169 4,358 3,701 2,677 2,245 2,120 1,818 1,333 973 692 430 343
35,346 32,276 3,982 3,279 4,389 4,152 4,333 3,613 2,610 2,172 2,024 1,722 1,204 833 583 450
37,340 33,352 3,165 3,349 3,854 4,392 4,126 4,281 3,562 2,573 2,120 1,931 1,669 1,080 665 572
2.18 2.14 0.56 1.11 1.28 4.40 4.53 1.46 0.73 2.62 3.35 2.31 1.99 2.49 4.57 3.42
1.39 1.04 -2.15 -1.08 -0.78 0.08 1.09 4.81 4.72 1.96 1.55 3.77 5.54 4.56 4.46 5.25 자료: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각년도 원자료.
그 이후 40〜44세까지는 연령계층이 높아질 수록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30〜34세는 0.08%에 그친 반면 40〜44세 연령층은 4.81%
에 이르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다시 55〜59세 연령계층까지는 1.55%까 지 증가율이 낮아지다가 그 이후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는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이러한 현상은 <표2-3>와 <표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성과 여성을 구 분하였을 때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
<
<표표표222---333>>>연연연령령령계계계층층층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남남남자자자
(단위:천명,%) 전체 1983 1988 1993 1998 2003 1983〜1993 1993〜2003 15세이상
15〜64세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12,633 11,913 2,028 1,363 1,811 1,458 1,216 1,194 1,035 744587 478 352219 5991
14,295 13,497 2,259 1,217 2,055 1,898 1,398 1,265 1,172 1,036 690 508 367236 12966
15,696 14,791 1,997 1,538 2,123 2,233 1,892 1,364 1,138 1,055 872 581 397282 13987
17,123 15,968 2,016 1,375 2,214 2,133 2,193 1,841 1,325 1,097 978 798 494314 213135
18,119 16,545 1,626 1,404 1,962 2,225 2,113 2,156 1,799 1,292 1,057 911 740436 238161
2.19 2.19 -0.15 1.22 1.60 4.36 4.51 1.34 0.96 3.55 4.03 1.97 1.21 2.57 4.36 4.00
1.45 1.13 -2.03 -0.91 -0.79 -0.04 1.11 4.69 4.69 2.05 1.95 4.60 6.41 4.44 5.52 6.38 자료: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각년도 원자료.
<
<
<표표표222---444>>>연연연령령령계계계층층층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여여여자자자
(단위:천명,%) 전체 1983 1988 1993 1998 2003 1983〜1993 1993〜2003 15세이상
15〜64세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13,580 12,440 1,694 1,980 1,860 1,375 1,160 1,122 1,054 893721 582 447322 184187
15,307 13,938 2,061 1,828 2,089 1,778 1,358 1,162 1,154 1,027 840 643 507373 282207
16,829 15,296 1,937 2,194 2,046 2,125 1,810 1,313 1,107 1,065 946 752 576410 291256
18,223 16,308 1,966 1,905 2,176 2,019 2,140 1,773 1,285 1,076 1,046 924 710519 370315
19,220 16,807 1,539 1,945 1,892 2,167 2,012 2,125 1,763 1,282 1,063 1,020 930645 427412
2.17 2.09 1.35 1.03 0.96 4.45 4.55 1.58 0.49 1.78 2.76 2.59 2.57 2.43 4.68 3.23
1.34 0.95 -2.27 -1.20 -0.78 0.19 1.07 4.93 4.76 1.86 1.17 3.10 4.91 4.63 3.92 4.85 자료: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각년도 원자료.
<표2-5>에서 보듯이 생산가능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율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1993년〜2003년 사이 1.39% 증가에 그쳤던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증 가율이 더욱 하락하여 2003〜2020년 사이에는 0.80%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기간을 세분하여 보면,2003〜2010년 사이에는 1.09%를 기록하겠으나,2010〜2015년 사이에 는 0.82%,2015〜2020년 사이에는 0.37%로 급격하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를 연령계층별로 보면,15〜19세 연령계층에서 40〜44세 연령계층까지는 생산가 능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것이며,그 이상 연령계층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추 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
<표표표222---555>>>연연연령령령대대대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전전전망망망
(단위:천명) 1983 1993 1997 1998 2003 2010 2015 2020 전체 26,213 32,525 34,851 35,346 37,340 40,270 41,947 42,723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3,721 3,342 2,671 2,833 2,376 2,316 2,089 1,637 1,307 1,061 799541 275245
3,933 3,732 4,169 4,358 3,701 2,677 2,245 2,120 1,818 1,333 973692 430343
3,954 3,396 4,374 4,196 4,292 3,398 2,545 2,105 2,006 1,657 1,132 837 530429
3,982 3,279 4,389 4,152 4,333 3,613 2,610 2,172 2,024 1,722 1,204 833 583450
3,165 3,349 3,854 4,392 4,126 4,281 3,562 2,573 2,120 1,931 1,669 1,080 665572
3,346 2,364 3,757 3,821 4,323 4,165 4,167 3,923 2,820 2,218 1,863 1,520 1,027 956
3,060 2,696 2,985 3,793 3,836 4,277 4,140 4,138 3,848 2,718 2,167 1,624 1,288 1,377
2,376 2,412 3,318 3,021 3,809 3,798 4,255 4,118 4,063 3,721 2,656 1,922 1,391 1,864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141.
그러나 <표2-6>에서 생산가능인구 감소율이 가장 큰 연령계층은 30〜34세로 연 평균 2.18% 감소하는 반면 25〜29세 연령계층에서는 연평균 0.8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생산가능인구가 증가하는 연령층을 보면,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계층은 80세 이상이지만 65〜69세 연령계층에서는 2.77%로 낮은 반면 60〜64세 연령계층에 서는 3.94%에 이르고 있다.
<
<
<표표표222---666>>>연연연령령령대대대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증증증가가가율율율 전전전망망망
(단위:천명)
〜19931983 1993
〜2003 2003
〜2010
〜19971993 1998
〜2003 2003
〜2010 2010
〜2015 2015
〜2020 전체 2.18 1.39 1.74 1.10 0.80 1.09 0.82 0.37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0.56 1.11 1.28 4.40 4.53 1.46 0.73 2.62 3.35 2.31 1.99 2.49 4.57 3.42
-2.15 -1.08 -0.78 0.08 1.09 4.81 4.72 1.96 1.55 3.77 5.54 4.55 4.46 5.25
0.13 -2.33 1.21 -0.95 3.77 6.15 3.18 -0.18 2.49 5.60 3.84 4.88 5.38 5.77
-0.49 0.42 -2.57 1.13 -0.97 3.45 6.42 3.45 0.94 2.31 6.75 5.34 2.67 -14.94
-1.67 -1.91 -0.88 -2.18 -0.47 -0.70 1.05 2.80 3.90 3.94 2.77 3.45 4.43 7.19
0.80 -4.86 -0.36 -1.97 0.67 -0.39 2.27 6.21 4.16 2.01 1.58 5.00 6.40 7.60
-1.77 2.66 -4.50 -0.15 -2.36 0.53 -0.13 1.07 6.42 4.15 3.07 1.33 4.65 7.58
-4.94 -2.20 2.14 -4.45 -0.14 -2.35 0.55 -0.10 1.09 6.48 4.15 3.43 1.54 6.24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142.
다음 <표2-7>에서 <표2-11>까지는 연령대별 생산가능인구와 증가율 전 망을 성별로 보여주고 있다.
남자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은 0.86%로 여자 생산가능인구 증가율 0.73%보 다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그러나 연령계층별 생산가능인구구조는 성별차 이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이 둔화되는 가운데 연령계층별로 증가율이 다른 결 과 생산가능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상당히 달라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전 반적으로 저연령층의 비중은 줄어들고 고연령층의 비중은 늘어나게 되는데, 그 경계는 45〜49세 연령계층이 있다.또 2003년 현재 가장 비중을 많이 차 지하는 연령계층은 30〜34세로 나타나고 있으나 2020년에는 45〜59세 연령 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분포가 완 만하다.
<<<표표표222---777>>>성성성별별별․․․연연연령령령대대대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전전전망망망:::남남남자자자
(단위:천명) 1983 1993 1997 1998 2003 2010 2015 2020 전체 12,633 15,696 16,886 17,123 18,119 19,694 20,579 20,973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2,028 1,363 1,811 1,458 1,216 1,194 1,035 744 587478 352219 9159
1,997 1,538 2,123 2,233 1,892 1,364 1,138 1,055 872581 397282 13987
1,997 1,428 2,213 2,156 2,181 1,733 1,294 1,060 968762 460334 191110
2,016 1,375 2,214 2,133 2,193 1,841 1,325 1,097 978798 494314 213135
1,626 1,404 1,962 2,225 2,113 2,156 1,799 1,292 1,057 911 740436 238161
1,752 937 1,922 1,969 2,211 2,129 2,103 1,963 1,402 1,088 859675 403282
1,579 1,130 1,550 1,965 1,980 2,196 2,107 2,078 1,911 1,335 1,029 742 539437
1,204 958 1,744 1,592 1,977 1,969 2,177 2,088 2,028 1,829 1,269 906 602630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143.
<<<표표표222---888>>>성성성별별별․․․연연연령령령대대대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전전전망망망:::여여여자자자
(단위:천명) 1983 1993 1997 1998 2003 2010 2015 2020 전체 13,580 16,829 17,965 18,223 19,220 20,576 21,368 21,750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1,694 1,980 1,860 1,375 1,160 1,122 1,054 893 721582 447322 184187
1,937 2,194 2,046 2,125 1,810 1,313 1,107 1,065 946752 576410 291256
1,957 1,968 2,162 2,040 2,111 1,665 1,250 1,045 1,038 895 672503 339320
1,966 1,905 2,176 2,019 2,140 1,773 1,285 1,076 1,046 924 710519 370315
1,539 1,945 1,892 2,167 2,012 2,125 1,763 1,282 1,063 1,020 930645 427412
1,594 1,427 1,835 1,852 2,111 2,036 2,064 1,960 1,418 1,130 1,005 846 624674
1,481 1,565 1,435 1,827 1,856 2,082 2,033 2,059 1,937 1,383 1,138 882 749941
1,172 1,455 1,573 1,428 1,831 1,829 2,078 2,030 2,035 1,892 1,387 1,016 1,789234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143.
<
<
<표표표222---999>>>성성성별별별․․․연연연령령령대대대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증증증가가가율율율 전전전망망망:::남남남자자자
(단위:천명)
〜19931983 1993
〜2003 2003
〜2010
〜19971993 1998
〜2003 2003
〜2010 2010
〜2015 2015
〜2020 전체 2.19 1.45 1.84 1.14 0.86 1.20 0.88 0.38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0.15 1.22 1.60 4.36 4.51 1.34 0.96 3.55 4.03 1.97 1.21 2.57 4.36 4.00
-2.03 -0.91 -0.79 -0.04 1.11 4.69 4.69 2.05 1.95 4.60 6.41 4.44 5.52 6.38
0.00 -1.84 1.04 -0.88 3.63 6.18 3.27 0.12 2.65 7.01 3.72 4.33 8.25 6.07
-4.21 0.43 -2.39 0.84 -0.73 3.22 6.32 3.33 1.57 2.67 8.41 6.80 2.24 3.59
-1.75 -2.23 -0.69 -1.95 -0.39 -0.53 1.13 2.86 3.91 4.19 3.23 4.40 5.61 8.36
1.08 -5.62 -0.29 -1.73 0.65 -0.18 2.25 6.16 4.11 2.58 2.15 6.44 7.79 8.35
-2.06 3.83 -4.21 -0.04 -2.18 0.62 0.04 1.14 6.40 4.17 3.69 1.92 6.01 9.14
-5.28 -3.26 2.39 -4.12 -0.03 -2.15 0.65 0.09 1.19 6.49 4.28 4.08 2.24 7.60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144.
<
<
<표표표222---111000>>>성성성별별별․․․연연연령령령대대대별별별 생생생산산산가가가능능능인인인구구구 증증증가가가율율율 전전전망망망:::여여여자자자
(단위:천명)
〜19931983 1993
〜2003 2003
〜2010
〜19971993 1998
〜2003 2003
〜2010 2010
〜2015 2015
〜2020 전체 2.17 1.34 1.65 1.07 0.73 0.98 0.76 0.35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
1.35 1.03 0.96 0.45 4.55 1.58 0.49 1.78 2.76 2.59 2.57 2.43 4.68 3.23
-2.27 -1.20 -0.78 0.19 1.07 4.93 4.76 1.86 1.17 3.10 4.91 4.63 3.92 4.85
0.27 -2.69 1.38 -1.02 3.92 6.11 3.09 -0.48 2.35 4.47 3.93 5.26 3.92 5.67
-4.78 0.42 -2.75 1.42 -1.22 3.69 6.53 3.57 0.32 1.99 5.54 4.41 2.91 5.50
-1.59 -1.69 -1.08 -2.42 -0.55 -0.88 0.97 2.74 3.89 3.70 2.38 2.71 3.67 6.67
0.50 -4.32 -0.43 -2.22 0.69 -0.61 2.28 6.26 4.20 1.48 1.12 3.96 5.57 7.29
-1.45 1.86 -4.80 -0.27 -2.55 0.44 -0.30 0.99 6.44 4.12 2.52 0.85 3.72 6.90
-4.57 -1.46 1.86 -4.81 -0.27 -2.56 0.45 -0.29 1.00 6.47 4.03 2.86 1.03 5.58 자료:안주엽,『중장기인력수급 전망 2005〜2020』,한국노동연구원,2005.11.p.144.
제 제
제222절절절 자자자본본본시시시장장장에에에 미미미치치치는는는 영영영향향향
전통적인 생애주기이론(LifeCycleModel)을 고령화에 적용하면 고령화가 진전 될수록 전체 사회의 저축률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2)고령화의 진전은 통상 근로계층의 비중이 감소하고 비근로계층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로계층은 소득을 창출하고 저축을 하는 인구집단인 반면,비근로계층은 기존의 저축을 이용하여 현재의 소비를 충당하는 집단이라는 것이다.3)
<<<표표표222---111111>>>저저저축축축률률률의의의 결결결정정정요요요인인인 분분분석석석
한 국 일 본 대 만
성장률 0.49(0.13) 0.18(0.09) 0.56(0.18) 피부양인구 비율 -2.75(0.57) -2.23(0.28) -3.38(1.17) 시간추세 -0.01(0.004) -0.46(0.04) -1.43(0.47)
주 안은 표준오차 자료 이혜훈․홍기석
총량변수들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과 국가간 비교연구들은 이러한 생애주기이 론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총량변수를 이용하여 저축률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생애주기이론과 일치하는 결론을 얻 었음을 보여주고 있다(<표2-11>참조).4)저축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방정식에 서 고령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피부양 인구 비율의 회귀계수에 대한 추정치가 음 의 유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고령화의 진전과 저축률간의 음의 상관관계는 고 령화의 정도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총저축은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 2)제2절과 제3절은 장지연,『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Ⅰ)』,한국노동연
구원,2003.6pp.15~20에서 참조하여 기술함.
3)이혜훈,“고령화와 재정의 대응과제”,강문수․이혜훈 편저,『경제사회 여건변화 와 재정의 역할』,비봉출판사,2001.
4)장지연,『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Ⅰ)』,전게서,p.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