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REPORT
아시아 각국의 활발한 법제 교류를 위한
ALIN 2018년도 총회 및 국제학술회의 개최
ALIN 국제학술행사 각 세션에서 진행된 발표 및 토론은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최근 국제 정세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한국법제연구원은 향후에도 ALIN의 사무국으로서 ALIN 회원기관 등과의 활발한 교류협력을 통해 주요 이슈가 되는 법적 쟁점 등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백영주(한국법제연구원 국제협력실 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은 2018년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아시아 법령정보네트워크(ALIN) 2018년도 총회 및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ALIN은 아시아 각국의 법제정보 교류를 통한 상호이해와 협력의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네트워크로 한국법제연구원이 사무국을 맡아 운영하고 있으며, 아시아 18개국의 32개 회원기관이 모여 매년 국제학술대회, 전문가포럼, 공동연구 등의 연구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올해에는 몽골법제연구원(National Legal Institute of Mongolia)과 공동으로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ALIN 총회 및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으며, 40여 명의 아시아 지역 법제 전문가를 포함하여 약 100여 명의 청중이 참석하여 성황리에 행사가 마무리 되었다.
6월 27일에 개최된 ALIN 총회에서 이익현 한국법제연구원장은 개회사를 통하여 법과대학과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ALIN 회원기관의 범위를 입법 활동 관계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까지 확대하여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어 김형건 국제협력실장은 회원기관들부터 각 국가의 법제 발전과 관련된 최신 입법 뉴스(ALIN Legislative News)를 제공받아 이를 올해 새롭게 개편되는 ALIN 홈페이지에 공유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정보 제공 역할을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ALIN 총회에는 네팔 입법위원회(Nepal Law Commission), 태국 내각사무처(Office of the Council of State of Thailand), 베트남 의회 산하 입법연구원(Vietnam Institute for Legislative Studies)이 옵서버 자격으로 처음 참가하였는데, 이들 기관을 대표해 참석한 관계자들은 소속 기관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ALIN 가입과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했다. 그 밖에도, 2019년도 ALIN 총회 및 국제학술회의 공동 주최 기관에 관한 논의, 향후 ALIN에 활동의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하는 자리 등에서는 참석한 여러 회원기관 대표들의 활발한 의견 교환이 있었다.
6월 28일에는 ‘아시아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법적 과제(Legal Challenges for Stronger Economic Cooperation in Asia)’라는 주제 하에 ALIN 국제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 포럼은 총 3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각각 공정거래와 비관세장벽, 해외투자에 있어서의 국내 분쟁 해결절차,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대한 전문가들의 열띤 발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이익현 원장은 비관세장벽이 오늘날 무역협상에 있어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으며,
국제교류성과
68
세계 각국이 무역협상을 통해 비관세조치를 없애거나 줄이는 데 노력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자의 시각에서 분쟁에 대한 효과적인 법적 원조 가능성과 안전망의 존재는 투자 여부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번 학술회의를 통해 아시아 각국이 이러한 법적 과제에 어떻게 대응하여야할지 의견을 공유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제와 관련하여 Sanjimyatav Bazar 몽골국립대 교수는 기조발제에서 지역 간 무역 및 경제 통합을 위한 비관세장벽 감소에 필요한 중요 조건들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어서 시작된 첫 세션에서는 베트남 국가와 법 연구소의 Pham Thi Thuy Nga 부소장이 베트남의 비관세장벽 제거와 감소 현황 등에 관하여 발표하였고, 말레이시아 말라야대학 법과대학의 Pardis Moslemzadeh Tehrani 교수는 디지털정보시대의 공유경제 규제변화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다.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 법과대학 학장인 Sigit Riyanto 교수는 아세안 경제공동체의 과제와 기회에 대하여, 그리고 네팔 카트만두대학 법과대학 학장인 Bipin Adhikari 교수는 비관세 장벽에 대한 네팔의 경험을 공유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몽골국립대학 법과대학의 Baigal Enkh-Amgalan 교수가 현재 몽골의 해외투자분쟁의 법적 쟁점에 대해 논하였고, 홍콩대학 법과대학의 Zhao Yun 학장은 도메인 네임 분쟁과 향후 온라인 분쟁해결의 발전에 대해 발표하였다. 한국법제연구원 재정경제법제연구실의 이기평 부연구위원은 해외투자자와 한국정부 간의 투자분쟁에 관한 대표적 사례 세 가지를 소개하면서 그러한 사례 분석이 가지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어 네팔 입법위원회 Madhab Paudel 의장의 네팔 해외투자의 법적 구조에 대한 발표를 끝으로 제2세션이 마무리되었다.
마지막 제3세션에서는 필리핀 민다나오대학 법과대학 Alizedney M. Ditucalan 학장이 필리핀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대해 발표를 진행하였고, 방글라데시 다카대학 법과대학의 Shima Zaman 교수는 외국중재판정의 집행에 관한 의견을 행사 참석자들과 공유하였다.
ALIN 국제학술행사 각 세션에서 진행된 발표 및 토론은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최근 국제 정세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한국법제연구원은 향후에도 ALIN의 사무국으로서 ALIN 회원기관 등과의 활발한 교류협력을 통해 주요 이슈가 되는 법적 쟁점 등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ALIN 총회에 참석한 유관기관 관계자들
69
Vol. 60 - Fall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