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의 개요
전기자동차 충전소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소는 충전기, 양방향 통 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제어 모듈, 충전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 며, 전력 계통과 연계되어 구성되므로 향후 V2G(Vehicle To Grid)와 연계된 스마트 충전소의 설치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자동
차 충전소는 전력 회사에서 공영 주차장에 설치하거나 민간 회사에서 이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소에는 다양한 전기 충전 커넥터 표준을 준수하는 다양한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되어 운영된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기기 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기기인 정류기를 통해 직류 전압을 배터리에 보내어 충전한다.
KEY FINDING
1. 세계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은 2020년 39억 9,900만 달러에서 2027년 493억 4,500만 달러로 연평균 48.6% 성장할 전망이다.
2. 전기자동차 보급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공공 부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공공 부문의 시장이 연평균 55.3% 성장하여 2027년에는 민간부분의 시장 규모를 추월할 전망이다.
3.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장은 전기자동차 충전소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2025년까지 급속 충전기 12,000기, 완속 충전기 500,000기가 설치되어 연평균 57.5% 성장할 전망이다.
4. 전기자동차 충전소 구축을 통해 얻은 사용자 이용행태 데이터, 전력 부하에 따른 최적의 전력 사용 패턴을 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충전 플랫폼을 구축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세대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5. 무선충전 기술 수준을 향상시켜 전기자동차용 무선 충전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실증을 위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데이터분석본부 수도권지원 책임연구원
권 영 일
Tel: 02-3299-6031 e-mail: [email protected]전기자동차 충전소
각국 정부의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사업기회와
시장진입 전략
02 03
구 분 모양 비 고
AC단상(5핀)(Type1) - 완속충전 표준, 가장 많이 사용(한국, 미국, 일본) - 220V/32A , 7KW급 - 대부분 국내 PHEV 차량의 충전 타입
AC3상(7핀)(Type2) - 르노, Tesla의 충전기 커넥터로 사용 - 3상을 지원하는 7개의 핀으로 구성
- 급속충전과 완속충전 모두 사용 가능 - 다른 표준들과 달리 고속 충전에서 교류 전원 사용 - 최대 용량은 43KW AC, 유럽에서 주로 사용
DC 콤보
CCS Type1 - 미국, 한국의 표준 - AC단상에 DC 연결핀이 있는 구조 - 100kW 이상 급속 충전 지원
CCS Type2 - 미국, 유럽의 급속 충전 표준 - AC3상의 7핀에 DC 연결핀이 있는 구조
차데모(CHAdeMO) - 일본 중심의 급속 충전 표준 - 차량 공간 많이 차지 - 시장 점유율 감소 중
슈퍼차저 - Tesla 표준, 30분내 80%까지 충전 - 타제조사 차량 충전 불가능 - 유럽의 충전구는 Type2와 같은 모양이나 미국과 일본에서는 다른 모양 표 1 전기자동차 충전기 규격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방식에는 전기자동차에 플러그를 연결하 여 에너지를 직접 공급하는 접촉충전 방식과 배터리 자체를 통째로 교환하는 배터리교환 방식,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여 배 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접촉 충전 방식에는 충전 속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직류를 이용하여 상대적 으로 빠르게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 방식, 교류를 이용하여 급속 충 전에 비해 느리게 충전하는 완속 충전 방식이 있다.
급속 충전 방식은 충전기에서 배터리로 직접 직류(DC) 전력을 공 급해 충전하는 방식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시간 이내로 80%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최근에 100kW 급, 150kW급 급속 충전기가 설치되고 있다. 국내의 급속 충전 규격 은 DC콤보 중 CCS(Combined Charging System) Type1, Type2, AC3상(7핀), 차데모(CHAdeMo), 슈퍼차저(Supercharger) 등이 있 다. 전기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는 Tesla(Tesla)는 슈처차저라고 하는 고속충전 규격의 충전기를 설치하였다.
완속 충전 방식은 충전기가 교류(AC)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자동차 에 탑재되어 있는 OBC(On Board Charger)가 교류(AC)를 직류(DC) 로 변환해 배터리에 충전한다. 완속 충전기는 7kW(32A, 220V)로 동작하며, 전기자동차 배터리 용량의 10% 정도를 충전하는데 약 1 시간이 소요된다. 완속 충전기는 주택, 주차장(공용/아파트/오피스텔 등) 등에 설치된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규격에 따라서 AC단상(5핀), AC3상(7핀), 차데모(CHAdeMO), DC콤보로 분류할 수 있고, DC콤보를 CCS Type1과 CCS Type2로 구분할 수 있다. 완속 충전기는 AC단상(5핀) 을 주로 사용하며, 급속 충전기는 차데모(CHAdeMO)와 DC콤보를 주로 사용한다. AC3상(7핀) 충전기는 완속 충전 방식과 급속 충전 방 식을 모두 지원한다.
그림 1 전기자동차용 완속/급속 충전기
자료: Google 자료 검색하여 정리, 미국에서 Type2는 AC3상(7핀)과 CCS Type2를 의미
2) 시장동향 및 전망
시장 규모
세계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은 2020년 39억 9,900만 달러에서 2027년 493억 4,500만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전기자동차 충전 소(充電所)는 2017년 835천개소(units) 설치되었으며, 2020년부
터 연평균 48.6% 성장하여 2027년에 30,758천개소가 설치될 것 으로 전망된다.
세계 지역별로 주요국들의 연평균 시장 성장률을 보면 아시아에 서는 중국의 성장률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42.4%,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49%로 예측되며, 유럽에서는 독 일, 북미에서는 미국이 가장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 보급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공공 부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가정에서 편하 게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 싶어하는 수요 증가로 인해 민간 부문 충
전소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공공 부문의 시장이 연평 균 55.3% 성장하여 2027년에는 민간부분의 시장 규모를 추월할 전 망이다.
완속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연평균 성장률보다 급속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연평균 성장률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완속/급속 충전소를
합한 전체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은 2020년부터 연평균 46.6% 성 장하여 2027년에는 30,758천개소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 2017 2018 2019 CAGR(%) 2020E 2022E 2025E 2027E CAGR(%)
중국 600 776 1,217 42.4 1,661 3,343 11,150 27,077 49.0
미국 48 67 79 27.6 96 156 452 1,062 41.0
일본 40 51 58 21.2 67 97 195 349 26.5
독일 25 26 39 26.1 44 70 190 421 37.9
프랑스 22 24 30 17.3 45 67 145 272 29.1
기타 100 120 157 25.3 202 302 736 1,577 34.1
합계 835 1,064 1,580 37.5 2,115 4,035 12,868 30,758 48.6
표 2 주요국의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 전망 (단위 : 천개소, %)
자료: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RKET- GLOBAL FORECAST TO 2027’, Marketsandmarkets, 2020 토대로 재작성
구분 2017 2018 2019 CAGR(%) 2020E 2022E 2025E 2027E CAGR(%)
공공 251 338 538 46.4 778 1,721 6,241 16,938 55.3
민간 584 727 1,041 33.5 1,337 2,314 6,627 13,820 39.6
계 835 1,065 1,579 37.5 2,115 4,035 12,868 30,758 46.6
표 3 세계 전기자동차 부문별 충전소 설치 전망 (단위 : 천개소, %)
자료: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RKET- GLOBAL FORECAST TO 2027’, Marketsandmarkets, 2020
전기자동차 충전소 | ASTI MARKET INSIGHT 2022- 035 전기자동차 충전소 | ASTI MARKET INSIGHT 2022- 035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소에는 2∼8대 정도의 충전기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며, 정부의 “BIG3 산업별 중점 추진과제” 발표 자료에 의 하면 기자동차 충전기 시장은 2025년까지 517,000기가 설치되어 연평균 57.5% 성장할 전망이다. 향후 설치될 급속충전기와 완속충
전기의 구체적인 설치 대수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예산 확보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에 급속충전기 50,527기, 완속충 전기 466,473기가 설치될 것으로 전망 된다.
2021년 9월 기준 전국에 전기자동차 충전기(공용)가 76,715 기 설치되었다. 여기에 정부 보조금을 받아 개인이 설치한 약 3만 기의 비공용 충전기까지 합치면 10만기가 넘는다. 국내에 보급된 201,520대의 전기자동차와 비교하면 전기자동차 충전기 1대당 전 기자동차 대수는 2.62대에 대응하는 규모로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국내의 인구 밀도를 고려하면 평균적으로는 미국·유럽·일본 보다 충 전인프라 접근성이 뛰어나지만 지역별로 편차가 심한 편이다. 2021 년 9월 기준 전국에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급속 13,202기, 완 속 63,513기로 모두 76,715기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 환경부와 한 국전력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급속충전기가 전체 70% 정도이다. 한 국전력공사는 완속 충전기도 운영하고 있어서 국내 민간·공기업 통 틀어 가장 큰 전력 설비용량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충전기 는 1시간 동안 최대 50㎾와 100㎾의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시설로, 완속(7㎾)충전기보다 충전 속도가 약 10배 정도 빠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에 18,610기의 공용 충전기가 설치되 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충전기가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서울(10,031기), 대구(5,334기), 제주(4,719기), 경북 (4,766), 경남(4,719기)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E) 2025(E) CAGR(%)
전기자동차(대) 25,593 55,843 90,923 137,636 239,000 1,130,000 60.6 충전기(기) 13,676 27,352 44,792 64,188 96,000 517,000 57.5
급속충전(기) 3,343 5,213 7,396 9,805 14,343 50,527 40.4
완속충전(기) 10,333 22,139 37,396 54,383 81,657 466,473 61.0
충전기 1기당 전기자동차 대수 1.9 2.0 2.0 2.1 2.5 2.2
표 5 주요국의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 전망
자료 : BIG3 산업별 중점 추진과제(무공해차 충전인프라 구축상황 점검)(’21.7),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이용 현황 분석(’21.12), 무공해차 통계누리집(www.ev.or.kr)을 토대로 재작성
구분 2017 2018 2019 CAGR(%) 2020E 2022E 2025E 2027E CAGR(%)
완속 충전소 589 738 1,062 34.3 1,376 2,452 7,099 15,890 41.8
급속 충전소 246 326 518 45.1 736 1,583 5,769 14,868 53.6
소계 835 1,064 1,580 37.5 2,115 4,035 12,868 30,758 46.6
표 4 세계 전기자동차 유형별 충전소 설치 전망 (단위 : 천개소, %)
자료: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RKET- GLOBAL FORECAST TO 2027’, Marketsandmarkets, 2020, 토대로 재작성
경쟁 현황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에는 ChargePoint(미국), Shell(네덜 란드), SemaCharge Network, Blink Charging(미국), BYD(중 국) 및 Tesla(미국) 등이 참여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용 무선 충전기 를 판매하는 주요 업체는 Robert Bosch(독일). Continental(독 일), WiTricity Corporation(미국), ZTE Corporation(중국) 및 Hella KGaA Hueck & Co.(독일) 등이다.
북미 지역의 전기자동차 충전 서비스 기업은 전력 공급, 하드웨 어 제조(부품, 설치, 유지 관리), 충전소 리테일 서비스 및 네트워크 관리용 소프트웨어, 고객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2021년 기준 북 미 지역에는 약 100개의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련 회사가 있으며,
Chargepoint가 27,833개소, Tesla 6,303개소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Volkswagen은 유럽과 중국, 북미 등 에 2025년까지 45,000기의 충전기를 확보할 계획이다. GM은 미국 전역에 40,000기의 충전기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유럽지역에 서는 Schneider Electric, ABB, Siemens, Efacec, Engie 등이 전 기자동차 충전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제네시스 통합 충전소브 랜드 '이핏(E-pit)'을 17개소, 현대자동차 전용 충전소브랜드 '하이차 저(Hi-Charger)'를 7개소 설치하였으며, 이핏(94기)과 하이차저(15 기)를 합쳐 모두 109기의 초급속 충전기(350㎾급)를 운영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한국전기자동차충전서비스를 통해 다른 충전 사업자와의 서비스 호환성을 강화하는 충전기 운영 관제, 충전사업
구분 전기차 대수 충전기 대수
급속 완속
급속충전기 1대당 전기차 대수
수도권 79,362 31,363 4,210 27,153 18.9
서울 33,434 10,031 1,398 8,633 23.9
경기 35,385 18,610 2,378 16,232 14.9
인천 10,543 2,722 434 2,288 24.3
경상권 49,056 20,287 3,338 16,949 14.7
경북 10,013 4,766 1,058 3,708 9.5
경남 10,274 4,719 870 3,849 11.8
부산 10,480 4,055 356 3,699 29.4
대구 15,122 5,334 776 4,558 19.5
울산 3,167 1,413 278 1,135 11.4
전라권 18,582 8,489 1,824 6,665 10.2
전북 6,286 2,861 679 2,182 9.3
전남 7,574 3,076 824 2,252 9.2
광주 4,722 2,552 321 2,231 14.7
충청권 24,409 9,128 1,692 7,436 14.4
충북 6,801 2,610 551 2,059 12.3
충남 8,847 3,580 690 2,890 12.8
대전 7,134 2,124 308 1,816 23.2
세종 1,627 814 143 671 11.4
강원도 6,266 2,729 823 1,906 7.6
제주도 23,845 4,719 1,315 3,404 18.1
전국 201,520 76,715 13,202 63,513 15.3
표 6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기 지역별 유형별 설치 현황(2021.9월 기준) (단위 : 천기, %)
자료 :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이용 현황 분석(’21.12),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
자와 회원 간의 충전 중개 시스템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국내의 정 유업체들은 주요 거점 소재 주유소를 중심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 구축을 확대할 방침이다. GS칼텍스는 2019년 전기자동차 충전 서 비스를 시작한 이후 2021년 전국 70여개 주유소와 LPG 충전소에 서 100여기의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운영하고 있다. SK에너지는 2023년까지 전국 190개 주유소에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설치할 계 획이다. 에쓰오일은 2021년 4월 주유소에 전기자동차 충전 서비스 를 도입했다. 한국전력과 카카오모빌리티는 전기자동차 충전 플랫폼 구축을 위해 카카오내비와 ‘'차지링크(ChargeLink)’를 연계하여 운 행 중 가까운 충전소를 찾아주고 결제까지 가능한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기 시장에는 약 11개 기업이 참여 하고 있으며, 시그넷이브이, 중앙제어, 대영채비 등 3개사가 대부분 의 시장을 점유하며 경쟁하고 있다.
3) 분석자 인사이트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세금 감면과 보조금 지원
미국 정부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구축을 위한 지원제도 및 프로그 램을 연방 정부, 지방 정부에서 다양하게 설계하여 추진하고 있다. 연 방정부는 주 경계를 초월하는 광역적 충전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주 정부는 각종 세금 감면 제도와 보조금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 국 정부는 “충전인프라 구축 촉진 가이드라인(2015.9.23.)”과 ”신충 전인프라 보조금 지원 방안(2016-2020년, 2016.1)“에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보급 목표, 충전방식 표준화, 민간투자자 활성화를 위한 주요 지침, 보조금 지원 방안을 제시하여 추진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2022년 하반기 공공부문 친환경차 의무구매 비율을 80%에서 100%로 높이고, 민간 부문은 대규모 차량 보유 사업자 중 심으로 친환경차 구매목표 제도를 도입한다. 친환경차 도입 확산은 국산 자동차 제조사의 기술력을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 관련 생태계에 포함된 여러 중소기업에도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정부는 2022년 사회·경제구조를 '탄소중립'으로 전환하고, '2050 탄 소중립' 달성을 위해 친환경·디지털 분야 성과를 확산시키며, '미래 모 빌리티 보급'을 지원하여 전기자동차 보급목표를 상향하는 정책을 수 립하여 진행할 예정이므로 전기자동차 충전소 설치를 위한 보조금 지 원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소 보급은 환경 부 주도로 한국환경공단과 자동차환경협회에 위탁하여 시작되었으 며, 주로 급속 충전기 위주의 보급 사업을 진행하였다. 정부는 편리한 전기자동차 충전환경 조성을 위해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확대 보급하
고 무선충전, 배터리교환 등 충전기 관련 신기술 실증을 위한 적극적 인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 전소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자동차 보급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관련 충전소의 보급 도 증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소 이용자 편의 증진을 위해서는 충전 수요가 있는 장소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하며, 해당 충전 수요 에 맞는 충전소 보급이 필요하다. 초기 전기자동차의 구매자들은 충 전소가 잘 구축되어있는 곳에 거주하는 높은 교육 수준, 상위 소득 계 층의 남성 운전자들이 우선적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 을 고려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 방안 및 구축 계획이 필요하며, 이러한 계획이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공동주택 거주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거주지 및 직장 주변 전기자 동차 완속 충전기 보급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이는 장시간 충 전으로 인한 전력 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완속 스마트충전 기 보급과 연관되어 있다. 스마트 충전은 전기자동차 소유자로 하여금 가장 저렴한 시간에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이용자 에게 높 은 편의성을 제공하므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한 주요 요인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7월부터 2022년까지 전기 자동차 충전용 전기 사용 요금이 단계적으로 인상될 예정이므로, 이로 인해 전기자동차 이용자들의 충전 서비스 품질 개선 요구가 증대할 것 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공용 충전소로의 접근 용이성, 충전과 지불 단 계에서의 이용자 불편사항을 반영한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최적의 전력 사용 패턴을 복합적으로 분석가능한 차세 대 충전 서비스 제공으로 시장 확대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충전 기 술력 뿐만 아니라 정부, 전력망 공급자, 충전 네트워크 운영자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도시 지역이나 다가구 주택에서 사용 가능 한 다양한 충전 솔루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거주지 및 직장에서의 완속 충전기 수요가 높으므로 완속 충전기 보급기준을 정하여 완속 충전기 설치를 확대하고, 충전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한 급속충전기 설치에 적극적인 보조금을 지급하여 전체적인 충 전소 시장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충전소 설치 시에 민간 투자를 늘리고, 이용자 친화적 서비스를 발굴하며, 전기자동차 충전 관련 생
태계를 개편하는 등 민간 부문의 사업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소 구축을 통해 얻은 사용자 이용행태 데이터, 편 리한 결제 시스템, 전력 부하에 따른 최적의 전력 사용 패턴을 복합적 으로 분석할 수 있는 충전 플랫폼을 구축하고 무선 충전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전력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충전 기 술, 무선 충전 기술 개발을 통한 기술 우위 확보
전기자동차 충전소 구축에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세 계적인 기술표준을 준용하는 한편, 무선 충전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정립하여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터보 충전기술은 800V의 출력으로 충전 시간을 20분 미만으로 단축 하는 기술이다. 포르쉐는 베를린-아들러쇼프 단지에서 터보 충전을 위 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각국의 업체들과 협력하여 전기자동 차 사용자에게 터보 충전을 제공하는 고속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 획이다. ABB는 800V의 고출력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Terra HP 충전 시스템을 통해 기술적으로 발전된 충전소를 설치하였다.
스마트 충전 기술은 사용 가능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프로세스를 최적화한다. 스마트 충전은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을 통해 가용한 전력 용량을 설치된 모든 충전기에 비례적으로 분배시 킴으로써 최적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으로 여러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생성된 충전 데이터를 수집하여 효 율적인 충전에 활용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스마트 충전기술은 배전 설비 관련 비용절감이 가능하여 공동주택 및 상가 등에서 장시간 완 속 충전기로 충전하는 전기자동차가 많은 충전소의 부하관리에 적합 한 기술이다. 무선충전 기술을 활용하면 전기자동차가 주차 중에 전 선 연결 없이 충전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이 국제표준을 선점 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서 우리나라 표준안 3종과 일본이 제안한 3종 등 관해서 논의하고 있으므로 무선충전 기 술 개발을 통한 국제 충전 표준 선점을 위한 실증단계에서 정부의 적 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전기자동차 충전소 사업은 대기업 주도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중 소·중견 기업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필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 기, 충전기 제작에 필요한 부품 및 차별화된 충전 서비스 모델을 개발 하여 충전소 시장에 진입할 필요가 있다.
표 7 국내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장의 사업기회 분석
Policy Market
• 충전소 설치 장려를 위한 각종 세금 감면 제도와 보조금 지원 확대
•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친환경·디지털 분야 성과를 확산하
고, ‘미래 모빌리티 보급’을 지원하여 전기자동차 보급목표 상향
• 무선충전, 배터리교환 방식 충전기 관련 실증을 위한 정책적 지원
• 도시 지역이나 다가구 주택에서 사용 기능한 다양한 충전 솔루션 제 시로 시장 활성화
• 완속 충전기/급속 충전기 보급 확대로 시장 활성화 도모
• 최적의 전력 사용 패턴을 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충전 플랫폼을 구축하고 무선 충전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충전 서비 스 제공으로 시장 확대
Society Technology
•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자동차/충전소의 보급 증가
• 공동주택 거주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거주지 및 직장주변 전기자 동차 완속 충전기 설치 시에 사회적인 수용성 제고
• 전기자동차 이용자들의 충전 서비스 품질 개선 요구 증대
• 터보 충전으로 전기자동차 충전 시간 단축
• 사용 가능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프로세스 최적화한 스마트 충전 기술 개발
• 무선 충전 기술 개발을 통한 국제 충전 표준 선점
06 07
전기자동차 충전소 | ASTI MARKET INSIGHT 2022- 035 전기자동차 충전소 | ASTI MARKET INSIGHT 2022- 035
분원 (우) 0245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 02)3299-6114 F. 02)3299-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