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의 개요
ADAS는 차량의 프런트 및 사이드, 리어에 장착된 센서 디바이 스를 통해 주변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ADAS 기술이 발전되면서 차량에 탑재된 센서, 고정밀도 지도, 통신 기능 등에 의해 드라이버를 대신해 시스템이 운전의 주도권을 가지는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자율주행의 레벨에 따라 6
단계로 정의된다.
ADAS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는 레이더, 라이다, 카메라(적외 선), 초음파 센서 등이 있으며, 모빌아이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최초로 ADAS 개념을 도입하였다.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은 차량 주변과 차량 내 운전 행동 을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사전에 감지한다. 이 기술은 차량 기반 지능형 안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충돌을 예방하고 충돌 심각도를
KEY FINDING
1. ADAS 시장은 차량 주변과 차량 내 운전 행동을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은 물론 운전 경험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구매자의 선호도 변화, 생활 수준 향상 및 인프라 향상과 같은 요인으로 시장 성장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시장 성장률이 두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 세계 ADAS 시장규모는 2020년 270억 달러에서 CAGR 기준 11.9%로 성장하여 2030년 8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 국내 ADAS 시장규모는 2017년 6.93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8.29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확산 이후 친환경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2030년 29.7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부터 2030년까지 CAGR 기준 13.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4. ADAS 시장은 소수의 글로벌 플레이어가 지배하고 있어 시장진입강도는 매우 높은 시장이라 할 수 있으며, ADAS 시장에서 견인력을 얻기 위해 신제품 개발, 확장, 파트너십 및 협업, 합병 및 인수 등을 진행하고 있다. ADAS 시장은 안전하고 편리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안전 기능의 성장률은 앞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으로 ADAS를 의무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 향후 시장의 성장은 매우 큰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분석본부 수도권지원 책임연구원
이 호 신
Tel: 02-3299-6018 e-mail: [email protected]ADAS 산업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첨단운전자지원 시스템)
산업 분야의 사업기회와 추진전략
02 03
완화함으로써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은 물론 운전 능력을 향상시킨다.자율주행 기술단계에서 보통 레벨 1~2단계를 업계에서는 ADAS 라고 통칭하고 있다. ADAS 및 안전 기능의 채택 증가, 차량 및 보행 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초점, 고급 안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 한 OEM의 이니셔티브, 자율 차량의 출현으로 ADAS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30년까지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과 북미가 그 뒤를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 국, 일본, 인도 및 한국과 같은 국가는 미래에 신기술의 주요 채택자 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중국의 높은 차량 생산량이 이 지역 시장 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SAE J3016 자율주행 기술 단계
자료: SAE, Wevolver, Gartner,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1.02.
북미 및 유럽 지역의 ADAS 시장 성장은 엄격한 안전 규정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2016년에 미국 고속도로 교통 안전국(NHTSA;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과 고속도로 안전 보험 연구소(IIHS;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는 2022년까지 자동 비상 제동(AEB; Automatic Emergency Braking) 표준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OEM이 기능이 풍부한 차량으로 소비자를 확대하고 유치하기 위 해 신흥 국가에 점점 더 집중함에 따라 남미를 비롯한 아프리카 지역 은 상당한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자의 선호도 변화, 생 활 수준 향상 및 인프라 향상과 같은 다른 요인도 ADAS 시장을 주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고 판매가 급감했으며 글로벌 자동차 분야의 주요 업체들은 전략을 재고해야 했다. 모델 및
프로젝트 출시 일정 재조정, 딜러 네트워크 안정화, 현금 관리 및 투 자 포트폴리오 검토는 전 세계 승용차 및 상용차의 생산 및 판매에 영 향을 미쳐 2020년 ADAS 시장은 전년 대비 하락했으며, ADAS 시장 에서 안전 기능의 개발 및 구현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ADAS 시장은 시스템 유형별로 Adaptive Cruise Control(ACC), Adaptive Front Light(AFL),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 Driver Monitoring System), 야간시각 시스템(Night Vision System), 지 능형 주차 지원(IPA; Intelligent Park Assist), 차선 이탈 경보 시스 템(LDW; Lane Departure Warning), 자동 비상 브레이크(AEB;
Automatic Emergency Braking), 사각지대 감지(BSD; Blind Spot Detection), 전방 충돌 경고(FCW; Forward Collision Warning)로 분류된다.
정의 자율주행 無 운전자 지원 부분 자율주행 조건부 자율주행 고도 자율주행 완전 자율주행
자율 수준 운전자 FEET-OFF HANDS-OFF EYES-OFF MIND-OFF 승객
제어 주체 인간 인간/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운행 책임 인간 인간 인간 인간/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하드웨어 요구성능
• ECU 프로세서:
20TOPS 이상
• 램 : 24GB 이상
• 저장공간: 256GB 이상
• 데이터링크:
100Mbps 이상
• ECU 프로세서:
200TOPS 이상
• 램 : 48GB 이상
• 저장공간: 512GB 이상
• 데이터링크:
100Mbps 이상
• ECU 프로세서:
2000TOPS 이상
• 램 : 128GB 이상
• 저장공간: 2TB 이상
• 데이터링크:
1Gbps 이상
2) 자동차 소프트웨어 산업에서의 정책 및 규제현황
안전 기능은 전 세계 자동차 소비자에게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전 세계 정부는 차선 이탈 경고(LDW) 및 자동 비상 제동(AEB)과 같은 기능의 통합을 의무화했다. 따라서 운전자를 지원하고 사고 수를 줄 이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안전 기능이 개발되었다. 또한, 세계 주요국 들은 자율주행차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생태계 활성화, R&D 프로젝 트추진, 기업 기술개발 지원, 산학연관 협력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 고 있다. 미국은 원천기술 개발에서 안전 규제에 이르기까지 무인자 동차 관련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후방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자율 주행차 관련 인적 요인 연구(Human Factor Research), 전자제어시 스템 안전성(Electronic Control System Safety) 연구, 개발시스템 성능요건(Develop System Performance Requirements) 등 3가 지 영역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자 율주행 자동차 실용화에 대응한 관련 정책 및 규제 관련 권고사항도 개발 중이다.
국내는 자동차 관리법에 의해 자율주행차 임시 운행을 위해서 는 국토교통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하며, 기간은 5년으로 규정하 고 있다. 자동차 관리법에서는 자율주행차를 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 작 없이 자동차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로 규정하고 있으며, 자 율주행차의 안전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자동차 관리법의 시행규칙 을 두고 있다.(자율주행차 안전운행요건 및 시험운행에 관한 규정, 2017.03.31.) 안전운행 요건을 확인하기 위해 5,000km의 사전 시 험주행 거리를 요구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하고, 자율주행모드 작동 중 운전자가 언제든지 시스템 작동을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외부 적 사이버 공격을 방지 및 대응하기 위한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국 내는 자율주행 선진국과 달리 자율주행 Lv.3 수준에서만 임시 운행을 허가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 사고 책임을 시험주행자인 운전자에 게 부여하고 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2030 국가 로드맵,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 략’을 세워 미래자동차 산업의 국가 비젼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자 율주행차 미래시장을 선점하고, 미래차 서비스 시대를 준비하는 내 용으로 추진하는 전략이다.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제도 도입(성능검증·보험·운전자의무 등)‧정비시기를 단축하여 세계 최 초 제도·인프라(통신시설 인프라,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완비 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핵심부품(시스템·부품·통신) 투자로 2027년 자율차 기술 강국 도약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차 서비스 시대 준비의 경우 민간 주도 3대 서비스(자율셔틀,
자율택시, 화물차, 군집주행), 공공수요(자율주행 무인순찰 등) 기반 9대 서비스 확산을 추진중이다.
3) 시장동향 및 전망
시장 규모
MarketsandMarkets, ADAS Market 2030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ADAS 시장은 2020년 270억 달러에서 CAGR 기준 11.9%로 성장하여 2030년 8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차량의 안전 및 보안 기능에 대 한 수요 증가로 인해 2030년까지 ADAS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 상되며, 유럽은 2020년 ADAS 시장의 38.9%의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북미가 34.8%, 아시아 태평양이 25.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국가들은 2022년 이후에 엄격한 안전규정 및 필수 안전 기 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러한 의무 사항은 ADAS 시장에 긍정적인 전망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전 세계 ADAS 시장은 243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였으며, 2020년은 코로나19의 확산 여파로 2019년보다 적은 27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후 수요의 증가로 급격한 성장을 기록하여 2030년에는 829억 달러 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2 2030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자료: 관계부처합동, 2030 국가로드맵,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 2019.10.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92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92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5년 2026년 CAGR(’21~’26)
ADAS시장 153.6 181.7 211.1 243.0 277.1 313.0 15.3
표 1 세계 ADAS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달러, %)
자료: MarketsandMarkets Analysis, Optical Transceiver, August 2021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년 2025년 2028년 2030년 CAGR(’20~’30)
ADAS 693 792 899 829 1,265 1,748 2,268 2,971 13.6
표 2 국내 ADAS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달러, %)
자료: MarketsandMarkets, ADAS Market 2030, 2020.06.
북아메리카 34.8%
8.8%
아시아태평양 25.8%
16.7%
유럽 38.9%
9.9%
열 0.5%
26.8%
시장점유율(2020) CAGR(2020-2030) 그림 3 지역별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 2020년
자료: MarketsandMarkets, ADAS Market 2030, 2020.06.
국내 ADAS 시장은 생활 방식의 개선, 대도시의 증가, 꾸준히 증가 하는 인구로 승용차 생산 및 판매 증가로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정부의 엄격한 차량 및 도로 안전 규정 마련으로 제한된 기반 시설과 증가하는 사고 건수와 같은 요인은 안전 규정의 도입을 촉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현대·기아차 등 현지 OEM이 국내 시장 점유 율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 ADAS 시장의 성장을 이 끄는 또 다른 요인은 국내 전기차 수요 증가다. 정부는 2030년 말까 지 탄소 배출량을 37%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국토
교통부는 2019년 1월부터 승용차에 자동긴급제동장치(AEB)와 차선 이탈경고장치(LDW)를 의무화했다. 따라서, 첨단자동차에 적용되는 ADAS 기술의 적용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6.93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2020년 코로나19로 인 해 8.29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확 산 이후 자동차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2030년 29.7억 달러의 시장 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부터 2030년까지 CAGR 기준 13.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 현황
ADAS 시장은 소수의 글로벌 플레이어가 지배하고 있으며, 여 러 지역 플레이어로 구성된다. 주요 업체로는 Robert Bosch(독 일), Continental(독일), Denso(일본), Valeo(프랑스), Aptiv(영국), ZF(독일), Magna(캐나다), 현대모비스(한국) 및 Veoneer(스웨덴) 등이 있다. 이 회사들은 ADAS 시장에서 견인력을 얻기 위해 신제품 개발, 확장, 파트너십 및 협업, 합병 및 인수 등을 진행하고 있다.
▶ Robert Bosch
모빌리티 솔루션 부분을 통해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예측 비상 제 동 시스템, 후방 교차 교통 경보 시스템, 도로 표지 보조 시스템, 지 능형 헤드라이트 제어 시스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등 과 같은 자동차 운전 보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2018 년 4월, 운전자가 차선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고속도로 지원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Bosch는 2020년 1월 자동차용 장거리 LiDAR센서를 개발한 최초의 회사가 되었다. 이 레이저 기반 거리 측정 기술은 SAE레벨 3에서 5까지의 주행 기능에 사용되며 고속 도로와 도시에서 장거리 미 근거리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벤츠와 제휴하여 사람의 개입이 거의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은 레벨 4 자율 주차 대행에 대한 승인을 업었다. 2021년 말까 지 레벨 4 자율 주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 Continental
Continental은 1871년에 설립되었으며, 독일 하노버에 본사를 두 고 있다. 1995년에 자동차 산업에서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자동
차 시스템을 위한 별도의 사업부를 설립했다. 자동차 그룹은 섀시 및 안전 부문에서 비상 브레이크 지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사 각지대 감지, 후방 교차 교통 경보 신호 보조 장치, 지능형 헤드램 프 컨트롤, 차선 이탈 경고 등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운전자에게 수막현상의 위험에 대해 경고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을 개발하고 있다. 2020년 2월 미국 텍사스주에 ADAS 신규 생산 공장을 만들고 있으며, 향후 3년간 1억900만 달 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새로운 생산 시설은 2021년부터 레이더를 생산할 예정이다.
▶ ZF Friedrichshafen AG
ZF Friedrichshafen은 1915년에 설립되었으며,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5년 TRW Automotive를 인수했다. 자동 비상 제 동,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전방 레이더 전면 카메라, 고속도로 주행 보조 장치 등과 같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7년 6월, 비전 제로 차량의 운전자 조작 보조 및 잘못된 방향에 대한 진입을 제한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국내 기업으로 모듈 코어/부품 및 애프터 세이즈 부 품의 2가지 주요 사업 부분으로 운영이 되고 있다. 자동차 부품 부 문에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자율 비상 제동, 교통 표지 인식, 사 각 지대 감지, 스마트 주차 지원 시스템 및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 과 같은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제조한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몇 년 동안 ADAS 시스템 개발에 주력해 왔다. 예를 들어 2018년 4월에 는 자동 주차 기술을 도입했다.
그림 4 ADAS 시장의 생태계 분석
자료: MarketsandMarkets, ADAS Market 2030, 2020.06.
ADAS
Tier 1
Sensor
Software
Processor
OEMs
➀ 소비자 니즈에 기반한 사업 전략 수립
자동차 정보제공 시스템의 성능은 음성인식의 정확도에 따라 차 이를 나타내며, 뛰어난 음성 인식기반 음성 명령 및 대화형 비서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음성을 통한 정보 조회 및 차량의 적절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인공지능을 탑재한 음성 명 령과 같은 편의 기능을 개발하여 소비자 니즈를 명확히 파악한 후 기존 시장진출 기업이 다소 미흡하였던 분야로의 틈새시장 공략 및 선점을 통한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➁ 외부 통신을 통한 해킹 문제 해결
다양한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ADAS 는 외부 통신에 의해 시스템을 해킹당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4G 및 5G 통신에서의 보안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며, V2X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의 적용이 필 요하다.
➂ 카메라 및 AI 기술의 융합 서비스 개발
카메라와 초음파, LiDAR 및 레이더와 같은 기타 센서의 입력이 필요한 ADAS는 점점 더 지능적이고, 저렴하고 통합하기 쉬워지 고 있다. 카메라는 항상 ADAS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시스템 은 필터링 및 처리를 위해 실시간 피드를 ADAS로 보내는 카메 라로부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한다.
ADAS는 깜박임, 반사 및 기타 이상 현상을 제거한 후 처리된 비 디오 피드가 측면 장착 디스플레이로 전달된다. 피드는 정지 신 호, 보행자, 차선 표시, 인접 차량 및 기타 식별 가능한 물체를 인식하도록 분석된다. 이처럼 다양한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기술 을 개발하는 전략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④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부족에 대응되는 기술개발
ADAS는 효과적인 기능을 위해 잘 구성된 도로, 차선 표시, GPS 가용성과 같은 기본 인프라가 필요하다. 또한 V2V 및 V2X 통신에는 적절한 연결 인프라가 필요하다. 고속도로의 경우 차 선 변경, 물체 감지, 차량간 거리, 교통과 같은 정보와 내비게이 션 및 연결과 같은 서비스는 반자율 및 자율주행에서 매우 중요 하다. 멕시코, 브라질, 인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고속도로 의 IT 인프라 개발이 선진국에 비해 더디기 때문에 이를 공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06
또한 자체 개발한 RSPA(Remote Smart Parking Assist) 및 통 합 MEB(Mobis Electronic Brake) 기술의 생산에 착수할 계획이다.
4)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ADAS 시장은 각 국가별 안전장치 의무화와 운전자 편의성 니즈 증가로 기술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 니즈의 증가로 스마트카를 비롯한 첨단자동차 기술에 ADAS 시스템의 채택이 증가 하여 향후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자동차 산업은 안전 기능의 급속한 발전을 진행하고 있다. 보다 안 전하고 편리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안전 기능의 성장률은 앞 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운전 미숙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는데 ADAS는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유럽 정부는 비상 제동 시스템 및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과 같은 ADAS를 의무화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22년까지 승용차 부문에 고급 비상 제동 및 차선 유지 지원을 의무화하기도 했다. 졸음 및 주의 감지, 주의 산 만 인식, 지능형 속도 지원과 같은 기타 안전 기능은 2022년 이후 유 럽의 모든 차량에 의무적으로 적용이 된다. 이러한 규정이 많을수록 ADAS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ADAS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를 적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중저가 자동차에는 적용이 쉽지 않다.
또한, 기존 시장선점 기업들로 인해 시장진입 장벽이 크게 작용하는 산업 분야여서 향후 유연하고 개방적인 산
업구조로 변화될 수 있는 해결책이 필 요하다. 따라서 사업 리스크에 대한 전략적 최소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 단된다. 위와 같은 기술 및 시장 특 성을 기반으로 모색할 수 있는 사업 화 전략은 다음과 같다.
그림 5 ADAS 시장의 신 사업기회 분석
Policy Market
미래자동차 산업의 정책적 장려
• 정부의 자동긴급제동장치와 차선이탈경고 장치 의무화를 통한 ADAS 수요 증가
• 관계부처 합동으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수립을 통한 지원
적용 분야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 전기차, 수소차 등 첨단 스마트카 증가로 안전 및 편의성이 적용된 ADAS 수요 증가
• 신흥국가의 안전시스템 도입 증가와 민간(자율셔틀, 택시, 화물차 등) 및 공공기관의 수요 증가
Society Technology
안전 규정에 의한 수요 증가
• 비상제동을 비롯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등의 니즈가 증가하여 수요증가 요인이 됨
• 첨단 안전장치 적용 차량 증가와 자율주행 인프라 완비를 통한 ADAS 시스템의 수요 증가
안전시스템 적용으로 수요증가
• 운전 보조 지원 기능의 채택 증가와 고급차에 대한 수요증가로 ADAS 적용 증가
• OEM들의 모든 차량에 대한 안전시스템 적용 확대로 필수 안전 기 능 표준 설정에 따른 수요 증대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순위 기업명
1 Robert Bosch
Gmbh (독일) 2 Continental
(독일) 3 ZF
Friedrichshafen
(독일) 4 Denso
(일본) 5 Aptiv
(영국) 표 3 글로벌 ADAS 시장의 주요 기업 랭킹(2019년)
자료: MarketsandMarkets, ADAS Market 2030, 2020.06.
07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92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산업 | ASTI MARKET INSIGHT 2022- 092
분원 (우) 0245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 02)3299-6114 F. 02)3299-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