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Chapter 3 지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Chapter 3 지구"

Copied!
5
0
0

Teks penuh

(1)Chapter 3 지구 Chapter 3 지구 3.1 지구의 개관 3.1.1 지구의 생성 기원  지구 생성에 대한 여러가지 학설 . 자연의 법칙에 합치되는 일반성(Generality)이 없으며 모두 가설의 수준에 머물러 있음 (각 가설은 지구와 관련된 여러가지 현상에 대해 일부만을 설명할 수 있음), 일례로 오늘날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이론은 성운설 ∙ 성운설(星雲說) ☞ 그림 3-1 (p75) - 원자간 인력(Attractive Force)에 의해 뭉치고 분자 간에 서로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물질이 생성, 이것이 기원이 되어 지구가 생성 - 기체 간 압력을 이기고 뭉친다는 것에 대해 설명이 부족, 수소와 Helium 같은 원자나 분자들이 다양한 원소로 전환된다는 것에 대한 관찰과 실험은 없었음. . 일반적인 법칙으로 지구의 생성에 대한 과학적인 증명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생성에 대한 역사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이 맞는다고 할 수도 없음 (관찰할 수 없는 사건은 과학의 대상으로 취급할 수 없다). 3.1.2 지구의 나이  여러가지 가설에 따르면 지구의 나이는 수천만년 ~ 수십억년 사이로 추측함  지구의 나이를 추측한 몇 가지 이론; 동일과정설, 방사성 동위 원소(Isotope) 반감기(Half Period)에 의한 지구 나이 계산, 냉각 속도에 의한 지구 나이의 계산 (W. T. Kelvin) 등 1. 동일과정설(Uniformitarianism): J. Hutton, “자구론(Theory of Earth)” - 지구가 나이를 먹는 과정에 대한 방식과 강도가 현재나 과거에 동일하다는 가정 - 퇴적층이 쌓이는 속도와 퇴적암 층의 두께를 이용하여 지구의 나이를 9,500 만년으로 추산 (퇴적층의 두께를 퇴적 속도로 나누어 지구의 나이를 계산, 퇴적 속도; 1 cm/수백년) - 문제점 1) 지층은 퇴적, 침식을 반복하므로 퇴적층만으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 2) 퇴적 속도는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르다 (이미 동일과정설에 배치) <-> 현재주의(Actualism; 특정 시기에는 그 시기의 상황에 맞는 동일과정이 존재, 시기에 따라 과정이 다르다) 3) (나무의 수명보다 훨씬 긴 시간 퇴적되었을 것으로 계산되는) 퇴적암 층을 관통하고 있는 다지층(多地層) 나무 화석의 존재 ☞ 그림 3-2 (p77) - 종합하여 말하자면, 퇴적이라는 열역학(Thermodynamics)적 현상과 속도론(Kinetics)은 별개의 분야이므로 이를 혼동한 동일과정설은 맞지 않는다 (S. J. Gould) 현상적 동일과정설(속도와 물질 조건의 동일성을 가정, Kinetics)과 진정한 동일과정설(방법론적 동일과정설, Thermodynamics) Introduction to Science & Engineering. by DHLee. Fall, 2013 Dept. of SCEE, Kukdong University.

(2) Chapter 3 지구 Chapter 3 지구 3.1.2 지구의 나이 (cont’d) 2.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에 따른 나이 계산법 ☞ 표 3-2 (p81), 표 3-3 (p82) - 이론적으로 가장 신빙성이 있는 방법, 약 30 억년 ~ 45억년(지구에 떨어진 운석)으로 지구의 나이 추정 - 문제점 1)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 과정이 배우 복잡하고 수 많은 요소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구의 역사와 같이 긴 시간을 통하여 동위원소의 붕괴 과정에 동일한 조건이 주어졌다고 가정하는 것은 무리이다 2) 어느 특정 원소를 기준으로 반감기를 계산할 때, 그 특정 원소의 모원자 (시간 t=0 의 모원자의 양이 문제, 모두 모원자였을 것이라는 가정을 반드시 옳다고 할 수 없음) 3) 동일한 암석에서 측정 대상이 되는 서로 다른 원소의 반감기에 의한 나이 측정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음. 3. 지각의 냉각 속도에 따른 지구의 나이 계산 (W. T. Kelvin) - 지구 내부의 온도와 지각 온도의 차이를 지각의 냉각속도로 나누어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 2,500만년 ~ 1억년 - 문제점: 지구 생성 시에 지각의 온도가 지구 내부의 온도와 동일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 4. 염분 농도로부터 바다의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 (D. Livingston) ☞ 표 3-1 (p80) - 바다가 지구 생성 시에 민물이었을 것으로 가정, 육지에서 염분이 하천을 따라 운반되는 속도를 통해 지구의 나이를 계산 - 태초의 바다가 민물이라는 가정에 무리가 있음 (지각은 두께 200 m 이상 소금으로 구성되었다는 무리한 가정 필요, 해저에 침전된 염분까지 포함하면 그 두께는 700 m 이상이 된다). • 이 외에도 몇 가지 계산 근거가 있지만, 이들 방법에 의하면 지구의 나이는 훨씬 짧게 계산된다 . 예 1: 바다에 유입되는 인(P)의 양으로 계산하면 7,000년. . 예 2: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에 의한 방법과 배치되는 결과는 a-붕괴 시에 방출되는 Helium(He)의 양으로 계산하면 지구의 나이는 1,200년 밖에 되지 않음 . 예 3: 대체로 달과 지구의 나이를 동일하게 보는데, 달에서 가져 온 암석에 존재하는 동위원소를 가지고 측정하면 지구의 나이는 수만년 밖에 되지 않음 ☞ Read p84. Introduction to Science & Engineering. by DHLee. Fall, 2013 Dept. of SCEE, Kukdong University.

(3) Chapter 3 지구 Chapter 3 지구 3.1.3 지구의 구조 (+ 3.2.4 지구의 내부) • 지금까지 지구의 구조는 크기와 모양, 부피, 밀도 등과 더불어 지표로부터 10 km 정도 밖엔 확인되지 않음 . 지구의 내부 구조는 중력, 지진파, 자기 등의 현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추측하는 정도 3 3 . 중력을 이용한 실험으로 계산된 지구 질량은 5.98 x 1027 kg, 이를 근거로 계산된 평균 밀도는 5.52 g/cm (지표면 평균 밀도가 2.7 g/cm 이므로 지구 내부는 밀도가 아주 큰 물질로. 채워져 있음을 시사) . 지진파 (P-Wave, S-Wave, Surface Wave 등)를 이용하면 지구 내부의 구조에 대한 약간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이들 지진파는 서로 다른 매질의 표면에서 반사, 굴절하는 현상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그림 3-4 (p85)와 같이 추정. 3.1.4 지구의 환경 • 지구 환경의 생물 생존 적정성 . 지구와 태양, 달과의 거리, Energy 공급원(태양), 대기 환경(공기), 자전축의 기울기, 자전 속도 ☞ Read p87, 88. 3.2 지각과 지구 내부 3.2.1 광물과 암석 • 대륙 지각 (지표면에서 35 km 깊이) > 암석(Rock, 여러 종류의 광물의 혼합물) > 광물(Mineral) > 원소(Chemical Element) ☞ 표 3-5 (p86) • 광물(Minerals). (a). . 천연으로 산출되는 무기물 결정질 고체(Inorganic, Crystalline, Solid) . 지구 상의 광물은 대부분 (~90%)이 규산염 광물(Silicate Minerals, 그 이유 ☞ 표 3-5, p86), 다음으로 철고토 광물. (b). Photo (a) 감람석(Forsterite), (b) Fayalite(철감람석). (Ferromagnesian Minerals, e.g. 휘석, 각섬석, 감람석, 흑운모), 그 외 단원소 광물, 황화광물, 탄산염 광물, 황산염 광물, 인산염 광물 등. Introduction to Science & Engineering. by DHLee. Fall, 2013 Dept. of SCEE, Kukdong University.

(4) Chapter 3 지구 Chapter 3 지구 3.2 지각과 지구 내부 (cont’d) 3.2.1 광물과 암석 • 화학적 의미의 염(鹽, Salt)과 염기(鹽基, Base) . 산(酸, Acid)과 염기가 반응하면 물을 생성하고 남는 물질로서 금속 Ion과 전기음성도가 강한 원소 간 결합물을 염이라 한다, 즉 [산] + [염기] -> [염] + H2O 예) HCl + NaOH -> NaCl + H2O . 염은 자연계에 흔히 광물(Minerals) 형태로 존재, 그 전형적 예인 규산염은 지구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산소(O)와 규소(Si)의 화합물인 다양한 Si-O(SixOy) 사슬이 Ion 상태의 금속과 결합한 형태로 존재 ☞ 우측 그림. 기본 단위 (SiO4)4-. • 암석의 종류 (외형 상 특징, 조직 – 크기/배열/형태, 편리 – Shistocity, ☞ 우측 위 사진).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 Read p89~91. 3.2.2 지표의 변화, 3.2.3 흙과 식생, 3.2.4 지구의 내부 ☞ Read p92~106 • 지표 변화의 요인. 또 다른 기본 단위 (Si2O5)2-. 풍화 작용(Weathering Processes), 침식 작용(Erosion), 운반 작용(Transportation), 퇴적 작용(Sedimentation). 3.3 물의 순환 • 물의 역할 . 사람 몸의 ~70% 구성 성분, 생물체 세포 원형질의 ~80%, 생명체를 지탱해 주는 생체 내의 생화학 물질의 생성은 모두 물 속에서의 화학 반응으로 형성. Figure (Si2O5)2- 3차원 형상. . 만유 용매*1(Universal Solvent) 역할의 구조적 배경. . 지구 대기의 온도 조절 역할 물은 물리적으로 비열(Specific Heat*2이 가장 큰 물질 - > 밤과 낮의 온도 차이가 크지 않도록 조절 바다 (지구 표면적의 71%)와 강 , 수증기 (대기와 더불어 온도 완충 지대의 역할)의 존재 *1. Introduction to Science & Engineering. 만유용매: 지구 상의 거의 모든 물질과 섞이는 성질 (예외; 유용성 지방). by DHLee. *2. 단위 질량을 1도(1°) 올리거나 내리는데 필요한 열 Energy의 크기 (cal/gr∙deg). Fall, 2013 Dept. of SCEE, Kukdong University.

(5) Chapter 3 지구 Chapter 3 지구 3.3 물의 순환 (cont’d) • 물의 구조적 특징 1) 화학적으로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로 형성 2) 분자 구조적으로 수소, 산소 원자의 배치가 공간적으로 비대칭, 전기적으로 쌍극자(Dipole)를 형성, 액체 상태에서 ~37%가 빈 공간 (상대적으로 1차 결합보다 약한 수소 결합의 존재로 타 물질과 전기적 결합이 가능, 물리적으로 다른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많다) 3) 밀도의 특징 . 물질은 고체 상태가 될수록 (=온도가 낮아질수록) 일반적으로 밀도가 증가 . 물의 밀도는 영상 4°C (액체 상태)에서 최대, 수중 생물의 존재가 가능 ☞ 표 3-6, p108. 3.4 대기의 순환 ☞ Read p118~134 • 대기의 중요한 구성 성분: 질소(N2), 산소(O2), 이산화탄소(CO2), Ozone(O3) . 공기의 성분: 질소 78%, 산소 21%, Argon (0.93%), 이산화탄소 (0.034%), + 미량 원소 Neon, Helium, Methane, Krypton, N2O, Xe, Ozone ☞ 표 3-10, p120 3.4.2 대기의 역할 • 대가의 일반적, 성분 별 역할 1) 질소: 생명체의 단백질 영양소()의 공급원 ☞ Read p121 2) 산소: 생명체 Energy 공급원(산소 호흡에 의한 포도당의 분해), 음식물의 산화에 의한 Energy 발생 ☞ Read p121 3) 이산화탄소: 온실효과(Green House Effect) 에 의한 대기 보온 -> 부작용) 지나친 화석 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GHG*) 증가의 문제 ☞ Read p123 4) Ozone 층: 성층권에 존재하는 Ozone(O3)이 모여 이룬 대기층으로 지나친 자외선의 통과를 막아 주고, 우리 인체에 해로운 여러가지 우주선(Cosmic Rays)과 g선 등을 차단해 준다 5) 매질(Medium): Energy (태양열, 태양광) 전달 및 완충 전달, 소리 전달 ☞ Read p124. 6) 대류에 의한 정화 (Purification by Convection, Correction) ☞ Read p124. *. Green House Gas: 온실 효과를 나타내는 기체로서 이산화탄소 이외에도 Methane(CH4), 이산화질소(N2O), PFC(Perfluoro Compounds, 과불화 화합물), HFC(Hydrofluoro Compounds, 불화수소 탄화물) 등이 있는데, 상세한 것은 제 9장 환경과 오염에서 다루기로 함. Introduction to Science & Engineering. by DHLee. Fall, 2013 Dept. of SCEE, Kukdong University.

(6)

Referensi

Dokumen terkait

And in data 3, the translator have some weakness or problem in the using of appropriate diction, appropriate word in the target language because they can not find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