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의 관광자원가치 측정을 위한 조사 ,
2007
CODE BOOK
자료번호 A1-2007-0116
연구책임자 박기묵 연구수행기관
조사년도 2007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3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3년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박기묵 . 2007. 사찰의 관광자원가치 측정을 위한 조사 , 2007 . 자료서비스기 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3 년 . 자료번호 : A1-2007-0116.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2013. 사찰의 관광자원가치 측정을 위한 조사 , 2007
CODE BOOK . pp. 1-5.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1-2007-0116 사찰의 관광자원가치 측정을 위한 조사, 2007
q1 팔공산 방문 목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등산을 하기 위해 1 121 30.6 30.6
동화사를 방문하기 위해 2 104 26.3 26.3
통일대불(부처)을 보기 위해 3 54 13.6 13.6
팔공산의 경치를 구경하기 위해 4 116 29.3 29.3
기타 5 1 0.3 0.3
396
100.0 100.0
q2 팔공산 접근 교통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가용 1 205 51.8 51.8
대중교통 2 156 39.4 39.4
관광버스 3 30 7.6 7.6
기타 4 5 1.3 1.3
396
100.0 100.0
q3 팔공산 관광 기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하루 1 385 97.2 97.2
1박 2일 2 6 1.5 1.5
2박 3일 3 3 0.8 0.8
그 이상 5 2 0.5 0.5
396
100.0 100.0
3. 귀하는 팔공산국립공원을 관광하는 기간을 어느 정도로 계획하시고 있습니까?
1. 귀하는 팔공산국립공원을 방문하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2. 귀하는 팔공산국립공원을 관광하기 위해 어떤 교통편을 이용하셨습니까?
1
q4 팔공산 관광 비용 (교통비, 시주금 제외) (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원 0 90 22.7 22.7
1 원 1 3 0.8 0.8
3,000 원 3000 57 14.4 14.4
7,500 원 7500 73 18.4 18.4
8,000 원 8000 2 0.5 0.5
15,000 원 15000 59 14.9 14.9
25,000 원 25000 52 13.1 13.1
40,000 원 40000 35 8.8 8.8
60,000 원 60000 8 2.0 2.0
75,000 원 75000 1 0.3 0.3
85,000 원 85000 6 1.5 1.5
125,000 원 125000 3 0.8 0.8
150,000 원 150000 1 0.3 0.3
175,000 원 175000 1 0.3 0.3
350,000 원 350000 1 0.3 0.3
무응답 999999 4 1.0 1.0
396
100.0 100.0
q5 동화사에 시주할 금액 (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원 0 168 42.4 42.4
1 원 1 7 1.8 1.8
3,000 원 3000 81 20.5 20.5
7,500 원 7500 47 11.9 11.9
13,000 원 13000 1 0.3 0.3
15,000 원 15000 33 8.3 8.3
25,000 원 25000 18 4.5 4.5
5. 귀하는 팔공산국립공원내 동화사에 얼마의 시주를 할 예정입니까?
4. 귀하는 팔공산국립공원을 다녀가는데 교통비와 시주금 외에 전체적으로 얼마를 지출할 계획
이십니까?
A1-2007-0116 사찰의 관광자원가치 측정을 위한 조사, 2007
40,000 원 40000 14 3.5 3.5
60,000 원 60000 5 1.3 1.3
85,000 원 85000 7 1.8 1.8
125,000 원 125000 2 0.5 0.5
150,000 원 150000 2 0.5 0.5
450,000 원 450000 1 0.3 0.3
850,000 원 850000 1 0.3 0.3
무응답 999999 9 2.3 2.3
396
100.0 100.0
q6 응답자 거주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강원도영월 1 0.3 0.3
경기고양 1 0.3 0.3
경기도고양 1 0.3 0.3
경기도성남 2 0.5 0.5
경기도수원 1 0.3 0.3
경기수원 1 0.3 0.3
경기일산 1 0.3 0.3
경남거제 1 0.3 0.3
경남김해 1 0.3 0.3
경남마산 2 0.5 0.5
경남합천 3 0.8 0.8
경북경산 3 0.8 0.8
경북경산시 1 0.3 0.3
경북경주 1 0.3 0.3
경북구미 5 1.3 1.3
경북상주 1 0.3 0.3
경북점촌 1 0.3 0.3
경북청송 1 0.3 0.3
경북포항 1 0.3 0.3
경산 10 2.5 2.5
경산시 1 0.3 0.3
경산옥산동 1 0.3 0.3
6. 귀하의 거주지는?
3
경주 2 0.5 0.5
구미 1 0.3 0.3
구미시 7 1.8 1.8
군위 1 0.3 0.3
김천 1 0.3 0.3
김해 2 0.5 0.5
남구 6 1.5 1.5
달서구 19 4.8 4.8
달성군 2 0.5 0.5
대구 1 0.3 0.3
대구남구 8 2.0 2.0
대구달서구 26 6.6 6.6
대구동구 34 8.6 8.6
대구마구 1 0.3 0.3
대구북구 32 8.1 8.1
대구서구 16 4.0 4.0
대구수성 1 0.3 0.3
대구수성구 31 7.8 7.8
대구시지 1 0.3 0.3
대구중구 3 0.8 0.8
대구칠곡 1 0.3 0.3
대전동구 2 0.5 0.5
대전서구 1 0.3 0.3
대전시중구 1 0.3 0.3
대전유성구 1 0.3 0.3
동구 31 7.8 7.8
마산 5 1.3 1.3
밀양 1 0.3 0.3
부산 9 2.3 2.3
부산금정구 2 0.5 0.5
부산남구 1 0.3 0.3
부산동래구 1 0.3 0.3
부산사하구 1 0.3 0.3
부산시 2 0.5 0.5
부산시진구 1 0.3 0.3
부산신구 1 0.3 0.3
A1-2007-0116 사찰의 관광자원가치 측정을 위한 조사, 2007
부산영도구 1 0.3 0.3
부산해운대 1 0.3 0.3
북구 19 4.8 4.8
서구 22 5.6 5.6
서울 5 1.3 1.3
서울구로구 1 0.3 0.3
서울마포구 1 0.3 0.3
서울용산구 1 0.3 0.3
성주군 1 0.3 0.3
수성구 17 4.3 4.3
수원 1 0.3 0.3
양산 1 0.3 0.3
영천 3 0.8 0.8
울산 4 1.0 1.0
울산동구 2 0.5 0.5
울산시북구 1 0.3 0.3
울산중구 1 0.3 0.3
울진 1 0.3 0.3
중구 3 0.8 0.8
진해 2 0.5 0.5
창원 2 0.5 0.5
청도 2 0.5 0.5
청송 1 0.3 0.3
칠곡군 1 0.3 0.3
포항 3 0.8 0.8
포항시 1 0.3 0.3
무응답 1 0.3 0.3
396
100.0 100.0
dq1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163 41.2 41.2
여자 2 233 58.8 58.8
396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