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 2013
CODE BOOK
자료번호 A1-2013-0072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3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5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5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3. 노후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 2013 . 연구수행
기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
도 : 2015 년 . 자료번호 : A1-2013-0072.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5. 노후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2013 CODE BOO
K . pp. 1-6.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1-2013-0072 노후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2013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340 50.7 50.7
여자 2 331 49.3 49.3
671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4 671 100.0 100.0
671
100.0 100.0
area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163 24.3 24.3
부산 2 41 6.1 6.1
대구 3 30 4.5 4.5
인천 4 43 6.4 6.4
광주 5 27 4.0 4.0
대전 6 20 3.0 3.0
울산 7 19 2.8 2.8
경기 8 169 25.2 25.2
강원 9 16 2.4 2.4
충북 10 22 3.3 3.3
충남 11 24 3.6 3.6
전북 12 20 3.0 3.0
전남 13 13 1.9 1.9
경북 14 26 3.9 3.9
경남 15 36 5.4 5.4
제주 16 2 0.3 0.3
671
100.0 100.0
1
job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문직 3 3 0.4 0.4
사무직 5 3 0.4 0.4
학생 12 662 98.7 98.7
무직/실업 14 3 0.4 0.4
671
100.0 100.0
inc_h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216 32.2 32.2
0-100만원 미만 1 27 4.0 4.0
100-200만원 미만 2 59 8.8 8.8
200-300만원 미만 3 108 16.1 16.1
300-400만원 미만 4 106 15.8 15.8
400-500만원 미만 5 74 11.0 11.0
500-600만원 미만 6 34 5.1 5.1
600-700만원 미만 7 15 2.2 2.2
700-800만원 미만 8 8 1.2 1.2
800만원 이상 9 24 3.6 3.6
671
100.0 100.0
inc_i 월평균 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214 31.9 31.9
0-100만원 미만 1 396 59.0 59.0
100-200만원 미만 2 30 4.5 4.5
200-300만원 미만 3 14 2.1 2.1
300-400만원 미만 4 10 1.5 1.5
400-500만원 미만 5 2 0.3 0.3
500-600만원 미만 6 2 0.3 0.3
700-800만원 미만 8 1 0.1 0.1
800만원 이상 9 2 0.3 0.3
671
100.0 100.0
A1-2013-0072 노후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2013
q1 현재 학생인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학(2,3년제) 재학 2 87 13.0 13.0
대학교(4년제) 재학 3 583 86.9 86.9
대학원(석사, 박사) 재학 4 1 0.1 0.1
671
100.0 100.0
q2 노인의 기준 나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0세부터 1 2 0.3 0.3
55세부터 2 6 0.9 0.9
60세부터 3 180 26.8 26.8
65세부터 4 277 41.3 41.3
70세부터 5 192 28.6 28.6
75세부터 6 8 1.2 1.2
80세 이상 7 6 0.9 0.9
671
100.0 100.0
q3 노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
==> 데이터 참조
q4 평소 노인 공경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공경한다 1 59 8.8 8.8
어느 정도 공경하는 편이다 2 550 82.0 82.0
별로 공경하지 않는 편이다 3 59 8.8 8.8
전혀 공경하지 않는다 4 3 0.4 0.4
671
100.0 100.0
문1. 귀하께서는 현재 학생이십니까?
문2. 귀하가 생각하는 노인의 기준은 몇 세부터입니까?
문3. 노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입니까? 한 가지만 간단하게 응답해 주십시오.
문4. 귀하는 평소 노인들을 얼마나 공경하십니까?
3
q5 주변의 노인들이 짐이 된다고 느낀 적이 있는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느낀 적이 없다 1 162 24.1 24.1
가끔 느낀 적이 있다 2 470 70.0 70.0
자주 느끼는 편이다 3 33 4.9 4.9
매우 자주 느낀다 4 6 0.9 0.9
671
100.0 100.0
q6 노인들이 짐이 된다고 느끼는 경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스스로 생계를 해결 못할 것 같아서 1 69 10.3 13.6
질환으로 몸이 불편한 분이 많아서 2 108 16.1 21.2
세대차이를 느껴서 3 40 6.0 7.9
주변에 참견하길 좋아하는 성격 때문에 4 167 24.9 32.8 노인 냄새나 차림새 등이 지저분하게 느껴질 때 5 42 6.3 8.3 행동이 느리고 활발하지 못해서 6 19 2.8 3.7
기타 99 64 9.5 12.6
비해당 0 162 24.1
671
100.0 100.0
q6_et 노인들이 짐이 된다고 느끼는 경우: 기타
==> 데이터 참조
q7 향후 부모님을 모시고 살 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모님과 함께 살 것이다 1 250 37.3 37.3
따로 살 것이다 2 182 27.1 27.1
잘 모르겠다 3 239 35.6 35.6
문6. 그렇다면 노인들이 짐이 된다고 느낄 때는 언제입니까? 해당 사항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 기타
문7. 향후 귀하는 부모님을 모시고 살 의향이 있습니까?
문5. 귀하께서는 우리 주변의 노인들이 짐이 된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문6. 그렇다면 노인들이 짐이 된다고 느낄 때는 언제입니까? 해당 사항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A1-2013-0072 노후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2013
q8 노후(65세 이후)에 자녀와 함께 살고 있을 것인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녀와 따로 살 것이다 1 626 93.3 93.3
자녀와 함께 살 것이다 2 45 6.7 6.7
671
100.0 100.0
q9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기 원하는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로울 것 같아서 1 35 5.2 77.8
경제적 도움이 필요할 것 같아서 2 2 0.3 4.4
기타 99 8 1.2 17.8
비해당 0 626 93.3
671
100.0 100.0
q9_et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기 원하는 이유: 기타
==> 데이터 참조
q10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것을 원하는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식한테 짐이 되기 싫어서 1 129 19.2 20.6
자유롭고 싶어서(서로의 사생활 때문에) 2 475 70.8 75.9
기타 99 22 3.3 3.5
비해당 0 45 6.7
671
100.0 100.0
문8. 귀하는 노후(65세 이후)에 자녀와 함께 살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문9.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기 원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9.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기 원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기타
문10.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지 않으려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5
q10_et 노후에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것을 원하는 이유 :기타
==> 데이터 참조
q11 노후(65세 이후)에 생계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녀에게 모두 의존 할 것이다 1 2 0.3 0.3
모두 내 힘으로 해결 할 것이다 2 242 36.1 36.1
자녀에게 일부만 지원받을 것이다 3 427 63.6 63.6
671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