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에 대한 인식조사 , 2011
CODE BOOK
자료번호 A1-2011-0055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1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3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3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1. 외모에 대한 인식조사 , 2011 . 연구수행기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3 년 . 자료번호 : A1-2011-0055.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3. 외모에 대한 인식조사, 2011 CODE BOOK . pp.
1-6.
주의사항
이 코드북의 빈도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것임 .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1-2011-0055 외모에 대한 인식조사, 2011
q1 취업이력서에 없어도 되는 항목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생년월일 1 23 2.7 2.7
증명사진 2 62 7.3 7.3
학력 3 115 13.5 13.5
신장, 몸무게 4 420 49.3 49.3
가족관계 5 233 27.3 27.3
852
100.0 100.0
q2 취업최종면접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되는 판단기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연, 지연 등 인맥 1 99 11.6 11.6
해당분야의 전문지식(스펙) 2 207 24.3 24.3
첫인상이나 이미지 등 외모 3 85 10.0 10.0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 등의 인성 4 388 45.5 45.5
재치있고 조리있는 말솜씨 5 73 8.5 8.5
기타 6 0 0.0 0.0
852
100.0 100.0
q3 외모에 대한 관심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관심이 많다 1 122 14.3 14.3
대체로 관심이 있는 편이다 2 588 69.0 69.0
대체로 관심이 없는 편이다 3 130 15.3 15.3
전혀 관심이 없다 4 12 1.4 1.4
852
100.0 100.0
Q1. 취업 이력서에서 없어도 될 사항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필요 없다고 생각되 는 한 가지만 응답해 주십시오.
Q2. 취업 최종 면접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판단 기준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Q3. 귀하는 외모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갖고 계십니까?
1
q4 우리사회에서 외모의 중요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중요하다 1 356 41.7 41.7
어느 정도 중요하다 2 467 54.7 54.7
거의 중요하지 않다 3 27 3.1 3.1
전혀 중요하지 않다 4 3 0.4 0.4
852
100.0 100.0
q5 배우자나 애인의 성형수술에 관한 찬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 1 21 2.4 2.4
찬성 2 74 8.6 8.6
상관없다 3 332 39.0 39.0
반대 4 337 39.6 39.6
매우 반대 5 88 10.3 10.3
852
100.0 100.0
q6 성형수술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면 성형수술 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91 45.8 45.8
없다 2 462 54.2 54.2
852
100.0 100.0
q7 미용목적의 성형수술 경험여부 (기미/점 제거 포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41 28.3 28.3
없다 2 611 71.7 71.7
852
100.0 100.0
Q4. 우리 사회에서 외모는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Q5. 만약 당신의 배우자나 애인이 성형수술을 한다면, 당신은 어떤 반응을 보이시겠습니까
Q6. 만약 성형수술을 해서 취업에 도움이 된다면, 성형 수술을 하실 생각이 있습니까?
Q7. 귀하께서는 미용 목적으로 성형수술을 한 경험이 있습니까? (기미/점 제거도 포함됩니다)
A1-2011-0055 외모에 대한 인식조사, 2011
q8 (성형수술 하였다면) 성형수술 한 부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눈 1 52 6.1 21.5
코 2 21 2.4 8.5
턱 3 0 0.0 0.2
이마 4 0 0.0 0.1
보톡스 주사 7 5 0.6 2.0
색소 기미/점 제거 8 148 17.3 61.2
지방 흡입 및 비만 치료 9 2 0.2 0.8
기타 10 14 1.6 5.7
비해당 88 611 71.7
852
100.0 100.0
q9 (성형수술 하였다면) 성형수술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만족한다 1 29 3.4 12.1
만족하는 편이다 2 103 12.0 42.5
보통이다 3 78 9.2 32.3
불만족스런 편이다 4 17 2.0 7.0
매우 불만족스럽다 5 15 1.7 6.1
비해당 88 611 71.7
852
100.0 100.0
q10 (성형수술 하였다면) 성형수술 사실 공개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라고 부인한다 1 2 0.3 0.9
가능하면 숨긴다 2 41 4.8 17.0
물어보면 솔직히 대답한다 3 174 20.4 72.0
자신 있게 먼저 말한다 4 24 2.9 10.1
비해당 88 611 71.7
852
100.0 100.0
(Q7의 1번 응답자만)
Q8. 귀하께서는 어떤 부분을 성형했습니까?
(Q7의 1번 응답자만)
Q9. 귀하는 성형한 것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Q7의 1번 응답자만)
Q10. 귀하는 성형 사실에 대해 타인에게 어떤 태도를 취하십니까?
3
q11 향후 미용목적의 성형 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79 44.5 44.5
아니오 2 473 55.5 55.5
852
100.0 100.0
q12 (앞으로 성형수술 의향 있다면) 적당한 성형수술 횟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회 1 154 18.0 40.5
2회 2 155 18.2 40.8
3회 3 57 6.6 14.9
4회 4 1 0.1 0.2
5회 5 2 0.2 0.4
만족할 때까지 6 12 1.4 3.1
비해당 88 473 55.5
852
100.0 100.0
q13 (앞으로 성형수술 의향 있다면) 성형수술비용 마련방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모님의 도움 1 33 3.8 8.6
월급이나 아르바이트 등 자비 2 320 37.6 84.5
대출 3 1 0.1 0.2
기타 4 25 3.0 6.6
비해당 88 473 55.5
852
100.0 100.0
dq1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502 58.8 58.8
여 2 351 41.2 41.2
(Q11의 1번 응답자만)
Q13. 만약 당신이 성형수술을 하게 된다면, 비용은 어떻게 마련하시겠습니까?, 이미 성형수술을 하신 분의 경우 어떻게 마련하셨습니까?
Q11.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미용 목적의 성형을 할 의향이 있습니까?
(Q11의 1번 응답자만)
Q12. 그렇다면, 몇 회 정도의 성형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성형이 필요한 부분을 횟수에 포함시
켜주세요. (예를 들어 눈과 코라면 2회라고 응답하시기 바랍니다)
A1-2011-0055 외모에 대한 인식조사, 2011
dq2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5-19세 3 3 0.3 0.3
20대 4 226 26.6 26.6
30대 5 620 72.7 72.7
40대 6 3 0.4 0.4
60대 이상 8 0 0.0 0.0
852
100.0 100.0
dq3 응답자 거주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203 23.8 23.8
부산 2 48 5.6 5.6
대구 3 38 4.5 4.5
인천 4 60 7.1 7.1
광주 5 22 2.6 2.6
대전 6 23 2.8 2.8
울산 7 7 0.8 0.8
경기 8 196 23.0 23.0
강원 9 18 2.1 2.1
충북 10 17 2.0 2.0
충남 11 18 2.1 2.1
전북 12 29 3.4 3.4
전남 13 44 5.2 5.2
경북 14 91 10.7 10.7
경남 15 36 4.2 4.2
제주 16 1 0.2 0.2
무응답 99 1 0.1 0.1
852
100.0 100.0
dq4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원 1 271 31.8 31.8
자영업 2 51 6.0 6.0
고등학생 5 3 0.4 0.4
대학생 6 125 14.6 14.6
대학원생 7 7 0.8 0.8
5
공무원 9 22 2.5 2.5
교직자 10 12 1.4 1.4
전문직 11 25 3.0 3.0
의료인 12 18 2.1 2.1
법조인 13 0 0.0 0.0
종교인 14 1 0.1 0.1
언론인 15 2 0.2 0.2
농/축/수산/임업 16 1 0.2 0.2
금융/증권/보험 17 6 0.7 0.7
유통 18 12 1.4 1.4
정보통신 19 8 0.9 0.9
건설 20 12 1.4 1.4
제조 21 10 1.2 1.2
서비스 22 34 4.0 4.0
스포츠 23 0 0.0 0.0
군인 24 2 0.2 0.2
방송인 25 0 0.0 0.0
예술가 26 4 0.5 0.5
부동산 27 4 0.5 0.5
일용직 29 1 0.1 0.1
무직 30 41 4.8 4.8
무응답 99 135 15.8 15.8
852
100.0 100.0
dq5 응답자 가구소득 (세후 기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14 13.4 13.4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 100 94 11.0 11.0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150 130 15.2 15.2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200 219 25.7 25.7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300 217 25.5 25.5
500만원 이상 800만원 미만 500 53 6.2 6.2 8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 800 11 1.3 1.3
1000만원 이상 1000 14 1.7 1.7
852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