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 기법을 활용한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유경상*․김승준**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Urban Railway System Based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Gyeong-Sang Yoo*․Seung-Jun Kim**
2)3)
요약:기존의 경전철 노선을 비롯하여 다수의 민간 철도 사업이 요금제, 수익성, 재정지원 등의 여러 측면에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킴에 따라 초기 사업검토 단계에서 이뤄지는 경제성, 재무성 평가 와 더불어 운영 측면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와 검증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의 효율 적인 운영시스템 도입을 목적으로 시작된 민자 철도사업의 운영 평가를 위해 기존의 도시철도 16개 노 선과 경전철 2개 노선을 대상으로 11가지 투입요소와 6가지 산출요소를 고려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철도 서비스 취약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충분한 수요 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기존 도시철도보다 공급용량이 적어 경제성, 재무성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는 경전철 노선의 경우에도 민간 운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높은 운영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제성, 재무성 등의 개별 사업 노선에 대한 건설 단계의 평가 방법과 함께 운영 측면에서 운영효율성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도시철도 건설 정책대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도시철도, DEA, 운영효율성, 민자사업, 재정사업
ABSTRACT: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planned the LRT(Light Rail Transit) lines to redress past inequa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nd announced that the projects would be implemented in private participation manner. However the launch of railway projects has been delayed due to high risk of government subsidies and low farebox return during operation peri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mprehensive assessment covering various aspects of urban railway projects with focus on operational efficiency. This paper analyses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the 2 LRT lines, based on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16 heavy-rail lines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LRT lines are high enough to launch the capital invest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olicy making for the urban railway system
Key Words:Urban Railway, DEA, Efficiency, LRT, Private Public Participation
*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초빙연구위원(Visiting Research Fellow,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Research, The Seoul Institute), 교 신저자(E-mail: [email protected], Tel: 02-2149-1117)
**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연구위원(Research Fellow, Dept. of Transportation System Research, The Seoul Institute)
Ⅰ. 서론
도시부 도로의 혼잡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지불되는 엄청난 사회적 비용의 심각성이 지속적 으로 대두되면서 높은 인구밀도를 나타내는 서울 시의 경우 대량수송, 정시성, 친환경 등의 장점을 지닌 도시철도에 대한 투자가 대안으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대중교통 취약 지역 주민의 통행 편의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도시철도 노선 신설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 되어 왔다.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철도 사업의 경우 원 활한 건설재원 확보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현 재 경전철 사업을 비롯한 다수의 철도 사업이 민 간투자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민 간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도입을 목적으로 시작 된 민간투자 철도 사업에 대하여 사업검토 단계 에서 경제성 및 사업성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평 가가 이뤄지고 있으나, 실제 운영 단계에서의 운 영 평가는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도시철도 9호선과 용인 경전철을 비롯하여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된 노선들이 실 제 운영 단계에서 수요, 수익성, 재정지원, 요금제 측면에서 많은 사회적 문제들을 일으킴에 따라 사업검토 단계에서부터 경제성 및 사업성뿐만 아 니라 운영 단계에 대한 사전 평가 및 검증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새롭게 계획되고 있는 도시철도 노선들에 대하여 기존 도시철도 노선과의 운영효율성을 비 교․분석하고, 신규 노선 운영 시 그 운영 상태를 미리 파악해봄으로써 도시철도 건설 정책 대안 수립에 기여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 었다.
Ⅱ.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1. 이론적 배경
도시철도의 경우 공공 SOC 부문으로서 투입 및 산출요소의 원가 측정이 어려우며, 다수의 서 비스를 생산하는 특성이 있다. 공공 부문의 이러 한 특성으로 인하여 운영효율성 분석 시 DEA(자 료포락분석)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연 구에서도 이 모형을 사용하여 기존 도시철도 및 신규 경전철 계획노선의 사전 운영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포락분석 모형은 Charnes et al.(1978)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된 자료분석기법으로서 생산 또는 비용함수를 추정하지 않고 실제 운영업체별 자료에 근거하여 선형계획기법을 적용, 생산변경 을 기준으로 각 운영업체의 상대적인 기술적 효 율성을 평가하는 비모수 접근법이다. 이러한 자 료포락분석은 효율성 평가대상들이 효율성 프론 티어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상대적인 비효율성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며, 크게 CCR(Charnes, Cooper and Rhodes) 모형과 BCC (Banker, Charnes and Cooper) 모형으로 구분된 다. CCR 모형은 의사결정단위 규모의 변화에 따 른 효과의 정도가 일정한 비례 관계에 있다고 가 정하여 효율성을 분석한다. 반면 BCC 모형은 규 모의 효과가 의사결정단위에 대하여 변동적임을 가정한 모형으로 효율성 점수는 0~1까지로 표시 함으로써 의사결정단위 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나 타낸다. 공공 SOC의 경우 투입요소의 변화에 따 라 산출이 일정한 비례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CCR 모형을 사용하 기로 한다.
저자(연도) 투입요소 산출요소
김성호 외(2000) 노선연장, 차량 수, 직원 수 여객km, 톤km
오미영 외(2002) 기사 및 행정직원, 정비직원, 차량대수, 연료사용량 운행거리, 승객 수 이재훈․정경훈(2004) 직원 수, 기관차 수, 객차 수, 화차 수, 1인당 GDP, 노선연장 여객km, 톤km, 수송수입,
영업계수
김민정(2004) 인건비, 동력비, 전동차비, 유지보수비, 궤도비 전동차km
오미영․김성수(2005) 기사, 관리직원, 정비직원, 차량대수, 연료사용량 운행거리, 승객 수 오미영․김성수(2008) 기사, 관리직원, 정비직원, 차량대수, 연료사용량 운행거리, 승객 수, 사고비용
김재윤․심광식(2008) 직원 수, 역 수, 차량 수, 노선연장 수송인원, 수입
한진석 외(2009) 노선거리, 정류소 수, 배차간격, 차량대수, 운영비 총수익금, 승객 수 한진석 외(2010) 노선거리, 정류소 수, 배차간격, 차량대수, 연료사용량 총수익금, 승객 수 한종학․김재경(2010) 운행거리, 대당 운행거리, 운행횟수, 운행대수 전체수입금, 전체이용건수
Oum and Yu(1994) 직원 수, 에너지 소비량, 토지 및 구조물비, 장비비, 차량 수 여객km, 톤km, 여객열차km, 화물열차km Cantos et al.(1999) 직원 수, 에너지 및 장비소비량, 기관차 수, 객차 수, 화차 수, 노선연장 여객km, 톤km Coeli and Prerlman(1999) 직원 수, 화차용량, 객차 좌석 수, 노선연장 여객km, 톤km
Cowie(1999) 직원 수, 자본, 토지경사도 열차km
Nolan et al.(2001) 차량, 행정직원, 유류, 노선거리, 비행정직, 노동인원 차량km
Graham(2008) 직원 수, 차량용량, 노선연장 여객 수, 여객km, 열차km
Odeck(2008) 정부지급액, 운영비용 교통량, 차로 수
<표 1>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운영효율성 분석 연구
과거
⇒
최근 산출요소 수송
실적 승객–km, 톤–km,
열차–km 등 산출
요소 수송
실적 승객–km, 톤–km, 열차–km 등
투입 요소
노동 노동, 행정직원,
정비인원, 운전기사 등 투입
요소
노동 노동, 행정직원,
정비인원, 운전기사 등
자본 자본비용, 차량 등 자본 자본비용, 차량 등
중간재 영업비용, 유류 등 중간재 영업비용, 유류 등
+ 외생
변수 GDP, 운행거리, 운행횟수, 운행대수, 노선거리, 역 수, 차량용량 등
<그림 1> 투입․산출요소의 변화 2. 선행연구 고찰
자료포락분석 기법을 활용한 효율성 분석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외에서 지속적으 로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국외에서는 1990 년대부터 Oum and Yu, Cantos et al., Cowie 등을
비롯하여 최근 Graham 및 Odeck에 이르기까지 철도 운송업체에 대하여 기술적 효율성과 순기술 적 효율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국내에서도 2000년대 초반부터 김성호, 한진석, 오미영 등에 의하여 국내 철도 분야의 운 영효율성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가관 노선
서울메트로 1․2․3․4호선
도시철도공사 5․6․7․8호선
메트로9 9호선
한국철도공사 경부선(장항선), 경인선, 경원선, 중앙선, 안산․과천선, 분당선,
일산선, 경의선, 경춘선
인천교통공사 1호선
코레일 공항철도 공항철도
부산교통공사 1․2․3․4호선
대구도시철도공사 1․2호선
광주도시철도공사 1호선
대전도시철도공사 1호선
<표 2> 전국 도시철도 기관 및 노선(2011년 기준) 이들 선행연구에서는 여객-km, 톤-km, 수송 수입, 수송인원과 같은 철도 운송에 따른 실적이 산출요소로 지속적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투입요소의 경우 1990년대에는 인건비, 동력비, 차량 수, 기관차 수 등의 노동/자본/중간 재의 일반적 생산함수 요소들이 사용되었으나, 2000년대 전후를 기점으로 1인당 GDP, 운행거리, 운행횟수, 운행대수, 노선거리, 역 수 등과 같은 외생변수들이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기존 도시철 도 노선뿐만 아니라 신규로 계획되고 있는 노선에 대해서도 서로 비교/평가를 시도하였고, 노선의 합리성과 대중교통 이용증진을 대변할 수 있는 외 생변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 1. 분석자료 구축 및 분석방법 선택
1)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을 위
하여 수도권의 서울메트로, 도시철도공사, 메트로 9, 한국철도공사(광역전철) 등을 비롯하여 지방 도시철도 기관의 노선들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자료가 공개되지 않은 메트로9와 타 도시철도 와 성격이 다른 공항철도 및 광역전철, 그리고 2011년에 개통한 부산 4호선을 제외한 총 16개 노선을 분석 대상 노선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도시철도의 효율성과 신규 계획노 선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가관 노선
서울메트로 1․2․3․4호선
도시철도공사 5․6․7․8호선
인천교통공사 1호선
부산교통공사 1․2․3호선
대구도시철도공사 1․2호선
광주도시철도공사 1호선
대전도시철도공사 1호선
<표 3>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대상 노선
신규 계획 노선의 경우 ‘서울특별시 10개년 도 시철도 기본계획(2008)’에서 제시된 경전철 노선 중 운영계획 자료 구득이 가능한 신림선과 서부 선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림 2> 신림선 계획 노선(노선연장: 7.7km)
<그림 3> 서부선 계획 노선(노선연장: 12.05km)
<표 4> 경전철 계획 노선 운영계획(2010) 계획 노선 인건비
(백만 원) 수도광열비
(백만 원) 승차인원 (천 명/년) 신림선 4,445 5,299 17,841 서부선 4,671 5,335 17,489
2) 자료포락분석의 투입요소 및 산출요소 도시철도 노선에 대한 운영효율성 분석을 위하 여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인건비, 보유차량 수, 역 수, 수도광열비와 같은 노동/자본/중간재 성격의 투입요소들로 고려하였으며, 복합적이고 다변화 된 도시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 기 위하여 외생변수들을 함께 고려하였다. 본 논 문에서 사용된 외생변수로는 선행연구에서 활용 된 열차편성 수, 영업거리, 소요시간, 표정속도 등 과 더불어 노선의 합리성을 대변할 수 있는 환승 노선 수와 대중교통 이용증진을 대변할 수 있는 km당 승객 수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경제학 관점에서의 DEA 기법 적 용 시에는 노동/자본/중간재만을 투입요소로 효 율성 평가 후 외생변수에 대한 영향은 토빗 모형 이나 회귀식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교통부문에서의 최근의 연구추세와 본 연구의 목 적상 외생변수의 상관관계 및 영향보다는 기존 도시철도 노선 및 신규 경전철 계획노선의 운영 효율성을 상대적인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 데 있으므로 외생변수를 DEA 분석 시 동시에 고려 하였다.
앞서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철도 운영효 율성 분석을 위한 기존 도시철도 16개 노선과 경 전철 2개 계획노선에 대한 11가지 투입요소 및 6 가지 산출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산출된 투입․산 출요소를 통하여 운영효율성 분석을 위한 자료포 락분석을 수행하였다.
구분 요소 단위 특성
투입요소
인건비 백만 원 노동
보유차량 수 량 자본
역 수 개 중간재
수도광열비 백만 원 중간재
열차편성 수 편 외생
영업거리 km 외생
소요시간 분 외생
표정속도 km/h 외생
운행횟수(평일) 회 외생
환승노선 수 개 외생
km당 승객 수 인/km 외생
산출요소
수송인원 연간 천 명
일평균 천 명
승차인원 연간 천 명
일평균 천 명
수송수입 연간 백만 원
일평균 백만 원
<표 5> 운영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산출요소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을 위한 노선별 자료 는 시계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 2년간 (2009년, 2010년)의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3) 분석가정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투입요소 중 인건비 및 수 도광열비의 경우 각 호선별로 자료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각 호선별 영업거리, 역 수, 유지보수 노선연장, 열차편성 수, 보유차량 수 등을 기반으 로 호선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고, 산출요소로 사용된 수송실적자료의 경우 승차인원과 수송인 원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도시철도는 공공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하 여 투입지향기법(Input-Oriented)보다 투입요소 량을 고정한 상태에서 산출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산출지향기법(Output Oriented)을 선택하 여 분석하였다.
2. 도시철도 효율성 분석 결과
1) 기존 도시철도 노선의 운영효율성
민간의 효율적인 운영기법 도입을 위하여 추진 된 민자사업에 대한 운영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하 여 현재 운행이 이뤄지고 있는 도시철도 노선들 에 대한 운영효율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추후 경전철 노선을 비롯하여 신 규 민자 도시철도 사업의 운영 단계에서의 효율 성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표 6>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메 트로 및 도시철도와 같은 수도권 도시철도 노선 의 경우 운영기관의 비대화에 따라 인건비 및 수 도광열비가 매우 크게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안정 적이고 충분한 수요 확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운영효율성을 보였다. 특히 수도권 도시철 도 노선 중에서도 수요가 많은 1, 2, 7호선의 운영 효율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도시 철도의 경우 부산교통공사 1호선과 대전지하철 이 높은 운영효율성을 보였다. 부산교통공사 1호
선 및 대전지하철은 인건비 및 수도광열비의 낮 은 투입량 대비 수송실적이 높아 운영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기관 호선 2009년 2010년
서울메트로 1호선 1 1
서울메트로 2호선 1 1
서울메트로 3호선 0.8258 0.7929 서울메트로 4호선 0.7962 0.8015 도시철도공사 5호선 0.8707 0.9173 도시철도공사 6호선 0.7051 0.7463
도시철도공사 7호선 0.9901 1
도시철도공사 8호선 0.8778 0.9 인천교통공사 인천 0.5294 0.4371
부산교통공사 1호선 1 1
부산교통공사 2호선 0.5622 0.5968 부산교통공사 3호선 0.5704 0.5978 대구도시철도공사 1호선 0.7395 0.7304 대구도시철도공사 2호선 0.628 0.6419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 0.5858 0.5282
대전도시철도공사 대전 1 1
<표 6> 기존 도시철도의 운영효율성 분석 결과
기관 호선 승차인원
/인건비 승차인원 /수도광열비 서울메트로 1호선 2.75 19.77 서울메트로 2호선 2.20 19.68 서울메트로 3호선 1.25 11.61 서울메트로 4호선 1.69 14.60 도시철도공사 5호선 1.79 14.93 도시철도공사 6호선 1.56 14.57 도시철도공사 7호선 2.21 19.28 도시철도공사 8호선 1.59 17.76
인천교통공사 인천 0.31 2.94
부산교통공사 1호선 1.99 15.33 부산교통공사 2호선 1.02 9.80 부산교통공사 3호선 0.79 10.01 대구도시철도공사 1호선 1.40 8.24 대구도시철도공사 2호선 1.19 7.97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 0.78 4.61 대전도시철도공사 대전 1.48 10.32
<표 7> 도시철도 기관별 주요 투입․산출요소비(2010년)
반면, 이들을 제외한 지방 도시철도 노선들의 경우 투입된 인건비 및 수도광열비 등 투입요소 에 비하여 충분한 수요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운영효율성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2010년도의 노선별 운영효율성은 전반적으로 2009년 보다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으나, 서울메 트로 3호선, 인천교통공사 등 일부노선의 경우 오 히려 2009년보다 운영효율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도시철도공사 7호선의 운 영효율성이 개선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4> 기존 도시철도의 운영효율성(2010년)
<그림 5> 기존 도시철도의 운영효율성(2009년)
2) 경전철 노선의 운영효율성
기존 도시철도 노선에 대한 운영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현재 운영 중인 노선들의 운영 수준을 판 단해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민간의 효율적 인 운영시스템이 반영된 경전철 노선에 대한 운 영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경제성, 재무성, 사업성 평가와 더불어 운영 단계에서의 효율성 수준을 평가해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16개 전국 도시철도 노선과 2개
경전철 계획노선을 포함하여 자료포락분석을 재 실시하였다.
<표 8> 및 <표 9>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신 림선의 경우 서울메트로 1, 2호선, 부산 1호선, 대 전지하철과 더불어 운영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 났다. 서부선의 경우 수도권 도시철도의 1, 2, 7호 선 보다 다소 낮은 운영효율성을 보였으나, 타 수 도권 및 지방 도시철도보다는 높은 운영효율성을 보여, 상대적으로 인건비 및 수도광열비에 대한 투입이 작은 경전철의 운영효율성이 높게 나타나 는 것을 알 수 있다.
기관 호선 2009년 2010년
서울메트로 1호선 1 1
서울메트로 2호선 1 1
서울메트로 3호선 0.8258 0.7929 서울메트로 4호선 0.7962 0.8015 도시철도공사 5호선 0.8707 0.9173 도시철도공사 6호선 0.7051 0.7463
도시철도공사 7호선 0.9901 1
도시철도공사 8호선 0.8778 0.9 인천교통공사 인천 0.568 0.4466
부산교통공사 1호선 1 1
부산교통공사 2호선 0.5622 0.5968 부산교통공사 3호선 0.6303 0.6645 대구도시철도공사 1호선 0.7395 0.7304 대구도시철도공사 2호선 0.628 0.6419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 0.5858 0.5282
대전도시철도공사 대전 1 1
계획노선(경전철) 신림선 1 1
서부선 0.9543 0.9506
<표 8> 도시철도 운영효율성 분석 결과(경전철 포함)
지방 도시철도 노선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규 모가 작은 경전철 노선보다도 운영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급용량 대비 충분한 수요 확
보가 어려운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도권 내 도시철도 노선의 경우 운영기관의 방 대한 규모로 인한 인건비 및 수도광열비 등에 대 한 투입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구밀도를 지닌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충분한 수요 확보 가 가능한 것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기관 호선 승차인원
/인건비 승차인원
/수도광열비 서울메트로 1호선 2.75 19.77 서울메트로 2호선 2.20 19.68 서울메트로 3호선 1.25 11.61 서울메트로 4호선 1.69 14.60 도시철도공사 5호선 1.79 14.93 도시철도공사 6호선 1.56 14.57 도시철도공사 7호선 2.21 19.28 도시철도공사 8호선 1.59 17.76
인천교통공사 인천 0.31 2.94
부산교통공사 1호선 1.99 15.33 부산교통공사 2호선 1.02 9.80 부산교통공사 3호선 0.79 10.01 대구도시철도공사 1호선 1.40 8.24 대구도시철도공사 2호선 1.19 7.97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 0.78 4.61 대전도시철도공사 대전 1.48 10.32
계획노선 (경전철)
신림선 4.01 3.37 서부선 3.74 3.28
<표 9> 도시철도 기관별 투입․산출요소비(2010년)(경전철 포함)
현재 계획되고 있는 대부분의 경전철 노선들이 도시철도 서비스 취약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수 요 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기존 도시철도 노선에 비하여 공급용량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운영효율 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자동화된 열차운영시스템 및 선진 운영노하우를 기반으로 하는 민간의 효 율적인 운영시스템 도입이라는 최초 민자사업의
추진 목적이 달성된 효과라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도시철도 노선 건설 시 경제성과 사 업성이 낮은 노선이라도 적절한 규모의 철도 서 비스 제공 시 수요확보와 더불어 운영여건 개선 을 통하여 높은 운영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6> 2009년 운영효율성 분포(경전철 포함)
<그림 7> 2010년 운영효율성 분포(경전철 포함)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본 논문은 현재 경제성, 재무성, 사업성 등 건 설 단계의 평가만 이뤄지고 있는 민간투자 경전 철 노선에 대하여 실제 운행 시 운영 수준이 어떠 한지를 기존 도시철도 노선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하여 운영 측면의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하여 DEA(자료포락분석) 기법을 활 용하여 기존 도시철도 16개 노선과 경전철 2개 계획노선에 대한 11가지 투입요소 및 6가지 산출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투입․산출요소를 통
하여 각 노선의 운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기존 도시철도의 운영효율성 분석 결과 수도권 도시철도의 경우 인건비 및 수도광열비 등 투입요 소의 규모가 큼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충분한 수요확보가 가능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높은 운영효율성을 나타냈다. 반면, 지방 도시철도의 경 우 각 지역의 도심을 통과하는 1호선의 경우 높은 운영효율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부분 의 노선이 투입요소 대비 낮은 수송실적으로 인하 여 저조한 운영효율성을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기존 도시철도보다 규모가 작고 인건비 및 수도광열비 등의 투입요소량이 적은 경전철의 경우 민간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도입 을 통하여 투입요소량을 낮춤으로써 공급용량 대 비 상대적으로 높은 수송실적 확보가 가능해져 수도권 내 주요 도시철도 노선 수준의 높은 운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경전철 계획노선들이 대중교통 서비 스 취약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수요 확보가 어렵 고, 기존 도시철도 노선에 비하여 공급용량이 작 아 경제성, 재무성 측면에서 사업추진의 어려움 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민간의 효율적인 운영시 스템 도입과 운영여건 개선을 통하여 높은 운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경전 철 노선 외에도 기 계획되고 있는 신규 도시철도 노선들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뤄진다면 경제성, 재무성 등의 개별 사업 노선에 대한 건설 단계 평 가와 함께 운영 측면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도시 철도 건설정책 대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김민정, 2004, “한국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의 효율성과 생 산성 분석: 자료포락분석기법과 확률적 비용변경 접근법을 이용하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김성호․홍순흠․최태성, 2000, “한국철도의 상대적 운영 효율성 평가", 한국철도학회 2000년 추계학술대 회 논문집 , 17~23.
김재윤․심광식, 2008, “DEA 모형을 활용한 지하철 운영 기관의 효율성 평가”, 산업경제연구 , 21(4):
1697~1723.
서울메트로, 2009, 2010, 서울메트로 수송계획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2009, 2010, 도시철도공사 수송
계획 .
오미영․김성수, 2005, “서울의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 른 시내버스업체의 생산성 변화”, 대한교통학회 지 , 23(7): 53~62.
이선우, 2008, “서울의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시내버스 업체의 생산성 변화(사고비용을 고려한 자료포락분 석기법을 이용하여”, 대한교통학회지 , 26(4): 7 7~86.
오미영․김성수․김민정, 2002,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 용한 서울 시내버스운송업의 효율성 분석", 대한 교통학회지 , 20(2): 39~52.
이재훈․정경훈, 2004, 우리나라 철도 산업의 효율성 분 석 , 교통개발연구원.
한국철도공사, 2009, 2010, 광역철도 수송현황 . 한종학․김재경, 2010, 준공영제 시행이후 인천시내버스
노선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발전연구원.
한진석․김혜란․고승영, 2009,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간선버스노선 효율성 평가”, 대한교통학 회지 , 27(6): 45∼53.
이선우, 2010, “유해산출물을 고려한 서울시 간선버스노 선의 효율성 평가”, 대한교통학회지 , 28(5): 43
∼54.
Cantos, P., Pastor, J. M. and Serrano, L., 1999,
“Productivity, efficiency and technical change in the European railways: a non-parametric approach", Transportation, 26: 337~357.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 429~444.
Coeli, T., and Prerlman, S., 1999, “A comparison of parametic and non-parametic distance functions:
With application to European railway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17:
326~339.
Cowie, J., 1999, “The Technical Efficiency of Public and Private Ownership in the Rail Industry: the Case of Swiss Private Railways",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33: 241~252.
Graham, D. J., 2008,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urban railways: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estimates”, Transport Research Part E, 44: 84~99.
Nolan, J. F., Ritchie, P. C. and Rowcroft, J. R., 2001,
“Measuring efficiency in the public sector using nonparametric frontier estimators: a study of transit agencies in the USA",Applied Economics,
33: 913~922.
Odeck, J., 2008, “The effect of mergers 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2: 696~708.
Oum, T. H. and Yu, C., 1994, “Economic efficiency of railway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a comparative study of the OECD countries' railway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28: 121~138.
http://www.djet.co.kr(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http://www.dtro.or.kr(대구도시철도공사)
http://www.gwangjusubway.co.kr(광주도시철도공사) http://www.humetro.busan.kr(부산교통공사) http://www.ictr.or.kr(인천교통공사)
원 고 접 수 일:2012년 10월 10일 1차심 사 완료 일 :2012년 10월 16일 최종원고채택일:2012년 10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