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Engineering Mathematics II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Engineering Mathematics II"

Copied!
50
0
0

Teks penuh

(1)

E ngineering Mathematics II

Prof. Dr. Yong-Su Na (32-206, Tel. 880-7204)

Text book: Erwin Kreyszig,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9th Edition, Wiley (2006)

(2)

Ch. 13 Complex Numbers and Functions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13.2 Polar Form of Complex Numbers. Powers and Roots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13.5 Exponential Function

13.6 Trigonometric and Hyperbolic Functions 13.7 Logarithm. General Power

2

(3)

Ch. 13 Complex Numbers and Functions

(복소수와 복소함수)

내용: 복소수와 복소평면에서의 기하학적 표현,

Cauchy-Riemann 방정식에 근거핚 해석성에 대핚 검사법,

초등 복소함수

(4)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복소수와 복소평면)

Complex Numbers (복소수): 실수 x, y의 순서쌍 z = (x, y) = x+iy

Real Part (실부): x = Re z

Imaginary Part (허부): y = Im z

Imaginary Unit (허수단위): i = (0, 1)

Pure Imaginary (순허수): z = iy (x = 0)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Division

Addition:

Multiplication:

Subtraction:

Division:

x1 iy1  x2 iy2  x1 x2 i y1 y2

x1 iy1  x2 iy2  x1x2 y1y2 i x1y2 x2y1

x1 iy1  x2 iy2  x1 x2 i y1 y2



21 12 22 22 1222 1222 2221 1222

2 2

1 1

y x

y x y i x y

x

y y x x iy

x iy x

iy x iy x iy

x iy x

(5)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복소수와 복소평면)

Ex. 1, 2 Sum, Product, Difference and Quotient of Complex Numbers z1 = 8+3i, z2 = 9-2i

(6)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복소수와 복소평면)

z1+z2 = 17+i, z1-z2 = -1+5i, z1z2 = 78+11i, z1/z2 = 66/85+(43/85)i

Ex. 1, 2 Sum, Product, Difference and Quotient of Complex Numbers z1 = 8+3i, z2 = 9-2i

(7)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복소수와 복소평면)

Complex Plane (복소평면): 복소수를 평면상의 점으로 기하학적으로 표시핚 것

(8)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복소수와 복소평면)

Complex Conjugate Number (공액복소수) 의 공액복소수

iy x z iy x

z :

   z z

y i z z

z x

z

2 Im 1

2 ,

Re 1

z1 z2 z1 z2, z1 z2 z1 z2

2 1 2

1 2

1 2

1 ,

z z z

z z z z

z 



Ex. 3 Complex Conjugate Numbers z1 = 4+3i, z2 = 2+5i

(9)

13.1 Complex Numbers. Complex Plane

(복소수와 복소평면)

PROBLEM SET 13.1

HW: 2

(10)

13.2 Polar Form of Complex Numbers.

Powers and Roots

(복소수의 극형식. 거듭제곱과 귺)

Polar Form (극형식):

Absolute value or modulus (절대값 또는 크기):

Argument (편각):

Principal Value (주값):

Triangle Inequality:

Generalized Triangle Inequality:

cos isin

r iy x

z

x z arctan y

arg

z

z

z :arg , Arg

Arg

의 주값

2 1

2

1 z z z

z

n

n z z z

z z

z1 2 1 2 z

z y

x r

z 2 2

(11)

13.2 Polar Form of Complex Numbers.

Powers and Roots

(복소수의 극형식. 거듭제곱과 귺)

Multiplication and Division in Polar Form (극형식에서의 곱셈과 나눗셈)

Multiplication:

곱의 절대값은 각 인자의 절대값들의 곱과 같다.

곱의 편각은 각 인자의 편각의 합과 같다.

Division:

De Moivre’s Formula

1 1 2 2 2 2

1

1 r cos isin , z r cos isin

z

1 2 1 2

2 1 2

1 z rr cos isin z

1 2 1 2

2 1 2

1 cos isin

r r z z

z1z2 z1 z2

arg z1z2 arg z1arg z2

2 1

2 1 2

1 2

1 , arg arg z arg z

z z z

z z

z

r cos isin n rncosn isin n

cos sin , sin2 2cos sin 2

cos 2 2 Prove!

cos isin n cosn isin n

(12)

13.2 Polar Form of Complex Numbers.

Powers and Roots

(복소수의 극형식. 거듭제곱과 귺)

Roots (귺)

nth Root (n 제곱귺): 을 만족하는 w 값들

nth roots of unity (단위 n 제곱귺):

0, 1, , 1

2 ,

2 sin

cos

k n

n i k

n r k

z n

n

0, 1, , 1

2 ,

2 sin cos

1 k n

n i k

n

n k

n = 3 n = 4 n = 5

핚 꼭지점이 1에 있으면서 단위원에 내접핚 n개의 변을 가진 정다각형의 꼭지점들

wn

z

Prove!

(13)

13.2 Polar Form of Complex Numbers.

Powers and Roots

(복소수의 극형식. 거듭제곱과 귺)

PROBLEM SET 13.2

HW: 26 (a), (b), (c), 35

(14)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Circles and Disks. Half-Planes (원과 원판. 반평면)

Unit Circle (단위원):

Open Circular Disk (열린 원판):

Closed Circular Disk (닫힌 원판):

Neighborhood (귺방): 인 열린 원판

Open Annulus (열린 환형):

Closed Annulus (닫힌 환형):

(Open)Upper Half-Plane ((열린)상반평면): y > 0인 점들의 집합

Lower Half-Plane (하반평면): y < 0인 점들의 집합

Right Half-Plane (우반평면): x > 0인 점들의 집합

Left Half-Plane (좌반평면): x > 0인 점들의 집합

1 z

a z

a z

a z

2

1

z a

2

1

z a

(15)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For Reference: Concepts on Sets in the Complex Plane (복소평면에서 집합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

Point Set (점집합): 유핚 또는 무핚의 많은 점들의 집합

Open (열렸다): 집합의 모든 점이 오로지 집합에 속해 있는 점들로만 구성된 근방을 가지고 있을 때

Connected (연결되었다): 집합의 어떤 두 점도 집합에 속하는 점들로만 이루어진 유핚핚 선분의 Broken Line(파선)으로 이어질 때

Domain (영역): Open Connected Set (열린 연결집합)

Complement (여집합): 집합에 속하지 않는 복소평면 내의 모든 점들의 집합

Boundary point (경계점): 점의 모든 근방이 집합에 속하는 점과 속하지 않는 점을 둘 다 포함하는 점

Boundary (경계): 모든 경계점의 집합

Region (영역): Domain과 그의 경계점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합으로 이루어진 집합

~ Domain

(16)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Complex Function (복소함수): 복소수 집합의 각각의 원소에서의 함수값이라 불리는 복소수 w를 지정해 주는 규칙

Complex Variable (복소변수): z

Domain (정의역): 복소변수의 집합 S

Range (치역): 함수의 모든 값의 집합

   z u x y iv x y

f

w , ,

Ex. 1 Function of a Complex Variable (복소변수의 함수)

. Find u and v and calculate the value of f at z=1+3i.

 z z z f

w 2 3

(17)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Complex Function (복소함수): 복소수 집합의 각각의 원소에서의 함수값이라 불리는 복소수 w를 지정해 주는 규칙

Complex Variable (복소변수): z

Domain (정의역): 복소변수의 집합 S

Range (치역): 함수의 모든 값의 집합

   z u x y iv x y

f

w , ,

Ex. 1 Function of a Complex Variable (복소변수의 함수)

. Find u and v and calculate the value of f at z=1+3i.

 z z z f

w 2 3

 

i  i i i i i

f

y xy

v x y

x z

f u

15 5

9 3 6 9 1 3

1 3 3

1 3

1

3 2

, 3 Re

2 2 2

(18)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Limit, Continuity, Derivative (극한, 연속성, 도함수)

Continuity:

Derivative:

 

  근방에서 정의되고 근접한 모든 대해 값이 근접

함수 ,

lim

0 0

0

l f

z z

z z

f l z f

z z

    lim    

0 0

0

이다 정의되고

가 연속

에서 가

함수 f z z z f z f z f z

z

z

        

0 0 0

0 0 0

0

lim lim

' z z

z f z f z

z f z z

z f

f z z z

실수의 경우에는 단지 실수축을 따라서만 x가 x0로 접근핛 수 있지만, z는 복소평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z0에 접근 핛 수 있음.

(19)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Ex. 3 Differentiability. Derivative (미분가능성. 도함수)

The function f(z)=z2 is differentiable for all z and has the derivative f’’(z)=2z.

    z z  z z

z

z z z

z z

z z z

z z f

z z

z 2 lim 2 2

lim lim

' 2

0 2 2

2 0 2 2

0

Differentiation Rules (미분 규칙)

 ' ', ' ' ',  ' ' ', ' ' 2 ' g

fg g f g fg f

g f fg g

f g f cf

cf 



 z z0에서 미분가능이면 z0에서 연속이다. f

  성립

규칙 거듭제곱

연쇄법칙과 zn ' nzn1

(20)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Ex. 4 Not Differentiable

 z z x iy

f

   

.

0 1

0 1

않는다 존재하지

에서도 어떠한

극한은 z

x y y

i x

y i x z

z z

z z z z

z f z z f

복소함수의 미분가능성은 보다 엄격한 조건을 요구함.

(21)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Analytic Functions (해석함수)

Analytic (해석적): 함수가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정의되고 미분가능일 때

Analytic Functions: 정의역에서 해석적인 함수

Ex. 5 Polynomials, Rational Functions (다항식. 유리함수)

 

   

     

) 0

) ( (

.

)

, (

Function) (Rational

.

.

, , , 1

2 2 1

0 2

점제외 인

해석적이다 도

다항식 는

유리함수

해석적이다 도

다항식

해석적이다 복소평면에서

전 은 거듭제곱

정수

z h

z h z z g

h z z g

f

z c z

c z c c z f

z z

n

n

(22)

13.3 Derivative. Analytic Function

(도함수와 해석함수)

PROBLEM SET 13.3

HW: 15, 17, 22

(23)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Cauchy-Riemann Equation:

Cauchy-Riemann Equation

가 핚 점 의 어떤 근방에서 정의되고 연속이며

미분가능하다.

→ 그 점에서 uv의 1계 편도함수가 졲재하고 Cauchy-Riemann 방정식을 만족핚다.

Cauchy-Riemann Equation

x y

y

x v u v

u , iy

x z

 z ux ivx iuy vy

f

'

   

      .

.

1

Riemann

Cauchy

,

,

해석적이다 는

복소함수 그

갖는다 편도함수를

계 연속인 만족하는

방정식을 정의역에서

가 및

연속함수 가지는

실수값을 두

의 및 실변수

x,y iv x,y u z f

y x v y

x u y

x

Prove!

     z u x y iv x y

f , ,

(24)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Ex. 2 Cauchy-Riemann Equations.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analytic?

     z u x y iv x y e y i y

f , , x cos sin

(25)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  .

Riemann

- Cauchy

sin

, sin

, cos

, cos

sin

, cos

해석적이다 에서

모든 는

만족 방정식을

z z

f

y e

v y

e u

y e

v y e

u

y e

v y

e u

x x

x y

x y

x x

x x

Ex. 2 Cauchy-Riemann Equations.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analytic?

     z u x y iv x y e y i y

f , , x cos sin

(26)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Ex. 3 An Analytic Function of Constant Absolute Value Is Constant

f(z) is analytic in a domain D and |f(z)|=k=const in D, then f(z)=const in D.

(27)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 

 

 

상수

상수

적용 방정식

상수 적용

방정식 적용

미분

상수

f

v v

v

u u

u v

u k

f v

u v

u k

u v u u

v u

vu uu

vu uu

vv uu

vv uu

k v

u iv

u f

k z

f

y x

y x

y x

x y

y x

y y

x x

0

Riemann -

Cauchy

0

0

ii

0

0

0

i

0

, 0

0

, 0

Riemann -

Cauchy

0

, 0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Ex. 3 An Analytic Function of Constant Absolute Value Is Constant

f(z) is analytic in a domain D and |f(z)|=k=const in D, then f(z)=const in D.

(28)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Laplace’s Equation

     

.

2

.

, ,

갖는다 편도함수를

연속인 만족하며

방정식을 라플라스

각각 에서

해석적이다 에서

정의역

D v u

D y

x iv y x u z f

xx yx

yy xy

xy yy

yx xx

x y

y x

v u

v u

v u

v u

v u

v u

,

, ,

0 0

2 2

yy xx

yy xx

v v

v

u u

u

Harmonic function: 연속인 이계 편도함수를 갖는 라플라스 방정식의 해

Conjugate harmonic function (공액조화함수): 두 조화함수 uv가 핚 정의역 D에서 Cauchy-Riemann 방정식을 만족하면, 그들은 D에서 어떤 해석함수 f의 실수부 및 허수부가 된다. 이 때 vD에서 u의 공액조화함수라 함.

(29)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Ex. 4 How to Find a Harmonic Conjugate Function by the Cauchy-Riemann Equations

Verify that u=x2-y2-y is harmonic in the whole complex plane and find a harmonic conjugate function v of u.

(30)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 

 z u iv x y y i xy x c z iz ic

f

c x xy v

c x dx h

y dh dx

y dh v

x h xy v

y u

v x u

v

v u

u u

u y

u x u

x

y x

x y

yy xx

y x

2 2

2

2

2 2

1

1 2

2

2

1 2

, 2

.

0

2

, 2

1 2

, 2

구하기 공액조화함수

조화함수이다 는

Ex. 4 How to Find a Harmonic Conjugate Function by the Cauchy-Riemann Equations

Verify that u=x2-y2-y is harmonic in the whole complex plane and find a harmonic conjugate function v of u.

(31)

13.4 Cauchy-Riemann Equations.

Laplace’s Equation

PROBLEM SET 13.4

HW: 11, 23, 27

(32)

13.5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Exponential Function (복소 지수함수):

Further Properties

y i y

e z

ez exp x cos sin

 

 

        

.

sin cos

sin cos

'

'

iii

.

ii

0 sin

, 1 cos

0

i

확장이다 자연스러운

의 실지수함수

도함수 의

해석적이다 대하여

에 모든 은

대하여 에

실수

x z

z x

x x

x x

x z

z z

z z

x z

e e

e y ie

y e

y e

i y

e e

e e

e

z e

y y

y e

e x

z

. )

(

완전함수 모든 에 대하여 해석적인 함수 이다

z

ez

) (

sin cos

,

2 1 2

1 e e

특히

e e e e y i y

오일러 공식

ez z z z z x iy iy

cos sin 1

:

극형식

z r i rei e2i

복소수의

0 ez

Prove!

(33)

13.5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Periodicity: ez2i ez

띠 무한 만드는

값이 모든

의 기본영역

된다 있게

안에 수평띠

인 폭

값은 모든

있는 수

가질 가

: ) Region al

(Fundament

.

2

z z

e w e

w

Ex. 1 Function Values. Solution of Equations.

i ez 3 4

(34)

13.5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Periodicity: ez2i ez

띠 무한 만드는

값이 모든

의 기본영역

된다 있게

안에 수평띠

인 폭

값은 모든

있는 수

가질 가

: ) Region al

(Fundament

.

2

z z

e w e

w

Ex. 1 Function Values. Solution of Equations.

i ez 3 4

0, 1, 2,

2 927 . 0 609 . 1

927 . 0

8 . 0 sin

, 6 . 0 cos

4 sin

, 3 cos

, 5

609 . 1 5 ln

5

n i n i

z

y y

y y

e y

e e

x e

e

x x

x

x z

(35)

13.5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PROBLEM SET 13.5

HW: 15, 22

(36)

13.6 Trigonometric and Hyperbolic Functions

(삼각함수와 쌍곡선 함수)

Definitions

Properties

z z z z

z z z

z z z

e i e

z e

e

z iz iz iz iz

sin csc 1

cos ,

sec 1 sin ,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