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PA 전문가 의견조사 , 2012 (1 차 ) : 고졸자 취업 확대방안
CODE BOOK
자료번호 A1-2012-0295
연구책임자 장지원
연구수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조사년도 2012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7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7년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장지원 . 2012. KIPA 전문가 의견조사 , 2012 (1 차 ) : 고졸자 취업 확대방안 . 연구수행기관: 한국행정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 년도: 2017년. 자료번호: A1-2012-0295.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7. KIPA 전문가 의견조사, 2012 (1차) : 고졸자 취업
확대방안 CODE BOOK . pp. 1-13.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group 응답자 구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교수 1 10 20.0 20.0
공무원 2 10 20.0 20.0
연구기관 3 10 20.0 20.0
기업 4 10 20.0 20.0
취업담당교사 5 10 20.0 20.0
50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8 세 28 1 2.0 2.0
32 세 32 1 2.0 2.0
34 세 34 1 2.0 2.0
36 세 36 1 2.0 2.0
38 세 38 1 2.0 2.0
39 세 39 1 2.0 2.0
40 세 40 3 6.0 6.0
41 세 41 4 8.0 8.0
42 세 42 3 6.0 6.0
43 세 43 4 8.0 8.0
44 세 44 3 6.0 6.0
45 세 45 1 2.0 2.0
46 세 46 2 4.0 4.0
47 세 47 2 4.0 4.0
48 세 48 2 4.0 4.0
49 세 49 2 4.0 4.0
50 세 50 4 8.0 8.0
51 세 51 3 6.0 6.0
52 세 52 2 4.0 4.0
54 세 54 5 10.0 10.0
55 세 55 1 2.0 2.0
58 세 58 1 2.0 2.0
59 세 59 1 2.0 2.0
60 세 60 1 2.0 2.0
50 100.0 100.0
n1 노동시장에서 고졸자의 취업을 사회문제로 인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지 않다 1 0 0.0 0.0
: 2 3 6.0 6.0
: 3 5 10.0 10.0
: 4 6 12.0 12.0
: 5 24 48.0 48.0
매우 그렇다 6 12 24.0 24.0
50 100.0 100.0
n2 고용시장에서 고졸자의 취업기회 열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지 않다 1 1 2.0 2.0
: 2 4 8.0 8.0
: 3 0 0.0 0.0
: 4 10 20.0 20.0
: 5 22 44.0 44.0
매우 그렇다 6 13 26.0 26.0
50 100.0 100.0
n3 노동시장에서 고졸자의 근로환경 열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지 않다 1 0 0.0 0.0
: 2 1 2.0 2.0
: 3 2 4.0 4.0
: 4 11 22.0 22.0
: 5 18 36.0 36.0
매우 그렇다 6 18 36.0 36.0
50 100.0 100.0
1. 귀하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있어 고졸자의 취업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생각 하십니까?
2. 귀하는 우리나라의 고용시장에서 고졸학력자의 취업기회가 전문대졸이상 학력자의 취업기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귀하는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서 고졸자의 근로환경(임금, 복리후생등)이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의 근로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생각하십니까?
n3_1 고졸자의 취업기회 불평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0 0.0 0.0
: 2 2 4.0 4.0
: 3 3 6.0 6.0
: 4 14 28.0 28.0
: 5 21 42.0 42.0
매우 심각함 6 10 20.0 20.0
50 100.0 100.0
n3_2 고졸자의 근로환경 불평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0 0.0 0.0
: 2 1 2.0 2.0
: 3 7 14.0 14.0
: 4 14 28.0 28.0
: 5 14 28.0 28.0
매우 심각함 6 13 26.0 26.0
무응답 9 1 2.0 2.0
50 100.0 100.0
n4_1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1: 고졸자용 일자리 부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0 0.0 0.0
: 2 8 16.0 16.0
: 3 11 22.0 22.0
: 4 14 28.0 28.0
3-1. 귀하는 고졸학력자의 일자리와 관련된 아래의 불평등 중에서 어느 것이 상대적으 로 더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고졸자의 취업기회 불평등
3-1. 귀하는 고졸학력자의 일자리와 관련된 아래의 불평등 중에서 어느 것이 상대적으 로 더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② 고졸자의 근로환경 불평등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1) 고졸자용 일자리 부족
: 5 14 28.0 28.0
매우 심각함 6 3 6.0 6.0
50 100.0 100.0
n4_2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2: 기업의 경력자 채용경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1 2.0 2.0
: 2 9 18.0 18.0
: 3 13 26.0 26.0
: 4 15 30.0 30.0
: 5 9 18.0 18.0
매우 심각함 6 3 6.0 6.0
50 100.0 100.0
n4_3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3: 3D업종/중소기업 기피현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1 2.0 2.0
: 2 3 6.0 6.0
: 3 4 8.0 8.0
: 4 9 18.0 18.0
: 5 18 36.0 36.0
매우 심각함 6 15 30.0 30.0
50 100.0 100.0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2) 기업의 경력자 채용경향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3) 3D업종/중소기업 기피현상
n4_4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4: 학력 차별 및 학벌주의 문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0 0.0 0.0
: 2 1 2.0 2.0
: 3 3 6.0 6.0
: 4 3 6.0 6.0
: 5 20 40.0 40.0
매우 심각함 6 23 46.0 46.0
50 100.0 100.0
n4_5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5: 관련 능력 및 자격(자격증) 부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2 4.0 4.0
: 2 12 24.0 24.0
: 3 10 20.0 20.0
: 4 15 30.0 30.0
: 5 9 18.0 18.0
매우 심각함 6 1 2.0 2.0
무응답 9 1 2.0 2.0
50 100.0 100.0
n4_6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6: 직업훈련 부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2 4.0 4.0
: 2 8 16.0 16.0
: 3 14 28.0 28.0
: 4 12 24.0 24.0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4) 학력 차별 및 학벌주의 문화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5) 관련 능력 및 자격(자격증) 부족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6) 직업훈련 부족
: 5 12 24.0 24.0
매우 심각함 6 2 4.0 4.0
50 100.0 100.0
n4_7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7: 가구소득의 부족으로 대학진학이 어려워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2 4.0 4.0
: 2 11 22.0 22.0
: 3 19 38.0 38.0
: 4 10 20.0 20.0
: 5 5 10.0 10.0
매우 심각함 6 3 6.0 6.0
50 100.0 100.0
n4_8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8: 취업정보 등 정보의 부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1 2.0 2.0
: 2 12 24.0 24.0
: 3 18 36.0 36.0
: 4 10 20.0 20.0
: 5 8 16.0 16.0
매우 심각함 6 1 2.0 2.0
50 100.0 100.0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7) 가구소득의 부족으로 대학진학이 어려워서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8) 취업정보 등 정보의 부족
n4_9 고졸자의 취업이 어려운 이유9: 본인의 취업의지 부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6 12.0 12.0
: 2 4 8.0 8.0
: 3 12 24.0 24.0
: 4 14 28.0 28.0
: 5 10 20.0 20.0
매우 심각함 6 4 8.0 8.0
50 100.0 100.0
n5 최근 고졸학력자의 취업기회 확대에 초점을 둔 정부의 접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반대 1 1 2.0 2.0
: 2 2 4.0 4.0
: 3 3 6.0 6.0
: 4 7 14.0 14.0
: 5 15 30.0 30.0
매우 동의 6 22 44.0 44.0
50 100.0 100.0
n6 고졸학력자의 근로환경 개선에 초점을 둔 정부의 접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반대 1 0 0.0 0.0
: 2 2 4.0 4.0
: 3 4 8.0 8.0
: 4 9 18.0 18.0
: 5 17 34.0 34.0
매우 동의 6 18 36.0 36.0
50 100.0 100.0
4. 귀하는 현재 사회구조에서 고졸자 취업이 어려운 다음의 이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9) 본인의 취업의지 부족
5. 귀하는 최근 고졸학력자의 취업기회 확대에 초점을 둔 정부의 접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귀하는 고졸학력자의 근로환경 개선에 초점을 둔 정부의 접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n6_1 고졸자의 취업기회 확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1 2.0 2.0
: 2 1 2.0 2.0
: 3 5 10.0 10.0
: 4 12 24.0 24.0
: 5 22 44.0 44.0
매우 심각함 6 7 14.0 14.0
무응답 9 2 4.0 4.0
50 100.0 100.0
n6_2 고졸자의 근로환경 개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젼혀 심각하지 않음 1 0 0.0 0.0
: 2 1 2.0 2.0
: 3 2 4.0 4.0
: 4 15 30.0 30.0
: 5 15 30.0 30.0
매우 심각함 6 16 32.0 32.0
무응답 9 1 2.0 2.0
50 100.0 100.0
n7_1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1: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등 실업계고 교육 내실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0 0.0 0.0
: 2 1 2.0 2.0
: 3 3 6.0 6.0
6-1. 귀하는 고졸학력자의 일자리와 관련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아래의 정부 접근 방법중 상대적으로 더 우선시 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고졸자의 취업기회 확대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등 실업계고 교육 내실화
6-1. 귀하는 고졸학력자의 일자리와 관련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아래의 정부 접근 방법중 상대적으로 더 우선시 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② 고졸자의 근로환경 개선
: 5 17 34.0 34.0
매우 효과가 크다 6 21 42.0 42.0
50 100.0 100.0
n7_2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2: 직업훈련 지원 및 확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0 0.0 0.0
: 2 1 2.0 2.0
: 3 5 10.0 10.0
: 4 16 32.0 32.0
: 5 21 42.0 42.0
매우 효과가 크다 6 7 14.0 14.0
50 100.0 100.0
n7_3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3: 고졸자 고용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0 0.0 0.0
: 2 2 4.0 4.0
: 3 9 18.0 18.0
: 4 10 20.0 20.0
: 5 17 34.0 34.0
매우 효과가 크다 6 12 24.0 24.0
50 100.0 100.0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고졸자 고용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직업훈련 지원 및 확대
n7_4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4: 고졸자 채용 할당제 부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3 6.0 6.0
: 2 5 10.0 10.0
: 3 8 16.0 16.0
: 4 10 20.0 20.0
: 5 12 24.0 24.0
매우 효과가 크다 6 12 24.0 24.0
50 100.0 100.0
n7_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3 6.0 6.0
: 2 7 14.0 14.0
: 3 7 14.0 14.0
: 4 10 20.0 20.0
: 5 16 32.0 32.0
매우 효과가 크다 6 7 14.0 14.0
50 100.0 100.0
n7_6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6: 9급 등 특정 공무원 채용을 고졸자로 한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5 10.0 10.0
: 2 7 14.0 14.0
: 3 8 16.0 16.0
: 4 12 24.0 24.0
: 5 6 12.0 12.0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5) 채용(시험)제도 개선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6) 9급 등 특정 공무원 채용을 고졸자로 한정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고졸자 채용 할당제 부과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5: 채용(시험)제도 개선(직무수행과 관련성 낮은 과목, 차별요소
배재)
매우 효과가 크다 6 11 22.0 22.0
무응답 9 1 2.0 2.0
50 100.0 100.0
n7_7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7: 학력보다 능력중심 채용관행 확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1 2.0 2.0
: 2 4 8.0 8.0
: 3 7 14.0 14.0
: 4 4 8.0 8.0
: 5 14 28.0 28.0
매우 효과가 크다 6 20 40.0 40.0
50 100.0 100.0
n7_8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8: 고졸자 채용가능 직무 지속 발굴,확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0 0.0 0.0
: 2 2 4.0 4.0
: 3 7 14.0 14.0
: 4 13 26.0 26.0
: 5 10 20.0 20.0
매우 효과가 크다 6 18 36.0 36.0
50 100.0 100.0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7) 학력보다 능력중심 채용관행 확대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8) 고졸자 채용가능 직무 지속 발굴·확대
n7_9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9: 고졸 인턴경험자중 정규직 채용제도 도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0 0.0 0.0
: 2 3 6.0 6.0
: 3 8 16.0 16.0
: 4 15 30.0 30.0
: 5 16 32.0 32.0
매우 효과가 크다 6 8 16.0 16.0
50 100.0 100.0
n7_10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10: 先 취업 後 진학 정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6 12.0 12.0
: 2 3 6.0 6.0
: 3 7 14.0 14.0
: 4 8 16.0 16.0
: 5 11 22.0 22.0
매우 효과가 크다 6 15 30.0 30.0
50 100.0 100.0
n7_11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11: 해외취업기회의 확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효과가 작다 1 7 14.0 14.0
: 2 5 10.0 10.0
: 3 11 22.0 22.0
: 4 12 24.0 24.0
: 5 9 18.0 18.0
매우 효과가 크다 6 6 12.0 12.0
50 100.0 100.0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0) 先 취업 後 진학 정책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1) 해외취업기회의 확대
7. 귀하는 기업의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정책)은 얼마나 효과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 고졸 인턴경험자중 정규직 채용제도 도입
n7_1_1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 중 가장 중요한 것: 1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실업계고 교육 내실화 1 15 30.0 30.0
직업훈련 지원 및 확대 2 2 4.0 4.0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3 6 12.0 12.0
채용 할당제 부과 4 5 10.0 10.0
채요제도 개선 5 2 4.0 4.0
특정 공무원 채용을 고졸자로 한정 6 5 10.0 10.0
능력중심 채용관행 확대 7 11 22.0 22.0
채용가능 직무 지속 발굴, 확대 8 3 6.0 6.0
선 취업 후 진학 정책 10 1 2.0 2.0
50 100.0 100.0
n7_1_2 고졸자 채용기회 확대 방안 중 가장 중요한 것: 2순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실업계고 교육 내실화 1 2 4.0 4.0
직업훈련 지원 및 확대 2 4 8.0 8.0
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3 9 18.0 18.0
채용 할당제 부과 4 4 8.0 8.0
채요제도 개선 5 1 2.0 2.0
특정 공무원 채용을 고졸자로 한정 6 2 4.0 4.0
능력중심 채용관행 확대 7 9 18.0 18.0
채용가능 직무 지속 발굴, 확대 8 6 12.0 12.0
인턴경험자중 정규직 채용제도 도입 9 4 8.0 8.0
선 취업 후 진학 정책 10 8 16.0 16.0
해외취업기회의 확대 11 1 2.0 2.0
50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