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19 Lecture 19
Comb Actuator Design : Mechanical Springs Comb Actuator Design : Mechanical Springs and Damping
and Damping
• Push-Pull Springs
• Folded Beam
• Stiffness of Folded Beam
• Rayleigh’s Method
• Effective Mass of Spring Beam: Fixed-Fixed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1
• Effective Mass of Spring Beam: Fixed-Free
• Shear Damping
• Q factor, Q
- Compressive와 Tensile stress를 같이 받는 스프링 구조가 잔류 응력의 영향을 덜 받음.
Spring Structure and Push
Spring Structure and Push--Pull SpringsPull Springs
Spring B
M A
compressive
tensile
Mass
Mass
A
tensile
3 3
L I k E⋅
⋅
= Spring Stiffness Spring Stiffness
E : Young’s modulus I : Moment of inertia
L3
12 Wh3
I = W
L
h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3
3 3
3 12 4
3 ⎟
⎠
⎜ ⎞
⎝
⋅ ⎛
⎟⎟=
⎠
⎜⎜ ⎞
⎝
= ⎛
L h W E Wh
L k E
- Large compliance
- Relief of built-in residual stress 2 Δx
Folded Beam Folded Beam
Δx L1
3 3 3
192 12 192
⎟⎟
⎠
⎞
⎜⎜
⎝
⋅⎛
⋅
=
⋅
=
sys sys
h L EW L k EI
Lsys h
Spring Stiffness Spring Stiffness
L1 L1
M
3
16
12
⎟⎟
⎠
⎞
⎜⎜
⎝
⋅ ⎛
⋅
=
⎠
⎝
sys sys
L W h E
L
3 1
1
2 2
=
= L L
k k
sys sys
stiffness Spring
k1 :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5
3
1
3
1
1 16 2
2 1 2
⎟⎟⎠
⎜⎜ ⎞
⎝
= ⎛
⎟⎟⎠
⎜⎜ ⎞
⎝
⋅ ⎛
⋅
=
=
L EW h
L W h k E
k sys
2
1 1 1
2 +
=
= k ksys
Stiffness of Folded Beam Stiffness of Folded Beam
k1 k1
k1 k1
k2
1 2 1
2 1
1 1 2
2 2 1
2 2
=
=
=
= +
=
k k k
k k
k
k k k
따라서 sys
⎞3
⎛
-보존계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는 근사 해법.
-고유진동수:계가 주기적인 운동을 하면서 계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주고 받는 에너지 교환율.
-보존계를 고려하면,
Rayleigh’s Method Rayleigh’s Method
보존계를 고려하면,
(1)운동 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일정하고 (2)운동 에너지의 변화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는 같다.
-단순 조화운동을 생각하면
t 이고,
X x t X
x= sinωn , &= ωncosωn
2 2 2
2 1 2 1
mX n
kX = ω
k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7
따라서,
- 1자유도계의 고유 진동수를 구하는 데에 유용.
-다 자유도계나 탄성부의 고유진동수를 구할 경우에도 이용.
m k
n2 = ω
- Rayleigh’s method를 사용하면 탄성부의 질량을 무시할 수 없을 경우에 이 질량의 영향을 보정하여 고유진동수를 계산할 수 있다.
-정적 평형위치를 기준위치로 택하여 계의
Mass of Spring Mass of Spring
정적 평형위치를 기준위치로 택하여 계의 위치에너지를 구하면
이 된다.
-집중 질량 m 에 의한 운동에너지는 이 되고,
-스프링의 미소요소 의 운동에너지는
2
2 1 kx V =
2
2 1mx
Tm= &
ξ d
ξ dξ
-스프링의 미소요소 의 운동에너지는
여기서, 는 스프링의 단위 길이 당 질량.
ξ d
2
2
1 ρdξ ξ&
dTs =
x
ρ-스프링의 임의의 점의 속도가 고정단으로 떨어져 있는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한다고 가정하면
- 이라 할 수 있다.
x&
& ξ
ξ =
Dynamic Energy of Spring Dynamic Energy of Spring
이라 할 수 있다
-전체 스프링에 대해서 운동에너지를 구하면
-전체 계의 운동에너지
l x ξ =
2
2
1 ⎟
⎠
⎜ ⎞
⎝
= d ⎛ x
dTs &
l ξ ξ ρ
2 2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9
2 2
3 2 2
2
0 2 3
1 3
1 2 1 3 1 2
1 2
1 m x
x x x d
Ts l l& s &
l
&
l
&
l ⎟= ⋅ = ⋅
⎠
⎜ ⎞
⎝
⎟ ⎛
⎠
⎜ ⎞
⎝
= ⎛
⎟⎠
⎜ ⎞
⎝
=∫ ρ⎛ ξ ξ ρ ρ
2 2
2
3 1 2 1 3
2 1 2
1 m x m m x
x m T T
T m s & s & s⎟&
⎠
⎜ ⎞
⎝⎛ +
= +
= +
=
-단순 조화운동으로 표현하면 -최대 운동에너지= 최대 위치에너지
t X
x t X
x= sinωn , &= ωncosωn
Resonant Frequency Resonant Frequency
-만약, 스프링의 임의의 점의 속도가 거리의2차 함수로 주어지면
( )
s n
n s
m m
k
kX X
m m
3 1
2 1 3
1 2 1
2
2 2
+
=
⎟ =
⎠
⎜ ⎞
⎝
⎛ +
ω
ω
x&
& l
2
ξ 2
ξ =
l2
ξ
2 2
1 1 1
l ⎛ξ ⎞
- 빔의 변위 x
( )
ξ( )= 2 (6 1−4 )
48 L
EI
xξ Fξ ξ
L
1 FEffective Mass of Spring
Effective Mass of Spring--Beam: FixedBeam: Fixed--Fixed (I)Fixed (I)
- 최대 변위
⎟⎟⎠
⎜⎜ ⎞
⎝
⎛ −
⎟⎟⎠
⎜⎜ ⎞
⎝
= ⎛
1 2
1 3 3
1 3 2
4 2 48
L L
EWh L F
EI
ξ ξ
1
max at L
x ξ =
( ) 1 3
3 1
max 1 3 2 2
2 ⎟
⎠
⎜ ⎞
⎝
= ⎛
−
⋅
⎟ ⋅
⎠
⎜ ⎞
⎝
= ⎛
h L EW
F h
L EW x F
m
ξ x
x
max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11
- 빔의 변위 x
( )
ξ( ) ⎟⎟
⎠
⎜⎜ ⎞
⎝
⎛ −
⎟⎟⎠
⎜⎜ ⎞
⎝
= ⎛
1 2
1
max 3 2
L x L
xξ ξ ξ
-
- 빔의 속도는 변위에 비례한다고 가정
2
2 1 d x
dTs = ρ ξ&
⎟⎟⎞
⎜⎜⎛
⎟⎟⎞
⎜⎜⎛ 2 2 3 x
x ξ ξ
&
&
Effective Mass of Spring
Effective Mass of Spring--Beam: FixedBeam: Fixed--Fixed (II)Fixed (II)
- , 로 치환
⎟⎟⎠
⎜⎜⎝ −
⎟⎟⎠
⎜⎜⎝
=
1 1
max 3 2
L x L
x ξ ξ
2
1 2
1
0 max 3 2
2 1
1
⎪⎭
⎪⎬
⎫
⎪⎩
⎪⎨
⎧
⎟⎟⎠
⎜⎜ ⎞
⎝
⎛ −
⎟⎟⎠
⎜⎜ ⎞
⎝
=∫ d x ⎛L L
Ts L ρ ξ & ξ ξ p
L =
1
ξ
( )
4 12 9 1
4 12 2 9
1
1 7 6 5
2 max 1
2 4
2 max 1 1 0
⎥⎦⎤
⎢⎣⎡ − +
=
+
−
=
∫
p p p
x L
p p p
x dp L
&
&
ρ ρ
3714 . 2 0
1
7 6 5 2
2 max 1
0 max
1
⋅
=
⎥⎦
⎢⎣
x L
p p p
&
ρ ρ
-
:시스템 전체의spring mass
2 max 2
max
, 2
3714 1 . 20
1 m x mx
T = ssys& + &
sys
ms,
1
Natural Frequency
Natural Frequency--Beam: FixedBeam: Fixed--Fixed(III)Fixed(III)
-
-단순 조화 운동이라고 가정
-최대 운동에너지=최대 위치에너지
2
2 max
1 k x
V = sys &
t X
x t X
x= sinωn , &= ωncosωn
( )
11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13
-
(
,)
( )2 22 3714 1
. 2 0
1 m+ mssys Xωn = ksysX
sys s sys
n m m
k
, 2
3714 . +0 ω =
ξ x
m
x
maxEffective Mass of Spring
Effective Mass of Spring--Beam: FixedBeam: Fixed--Free(I)Free(I)
- 빔의 변위
- 최대 변위
( )=3FLEI321⎪⎩⎪⎨⎧3⎜⎝⎛L⎟⎠⎞2−⎜⎝⎛L⎟⎠⎞3⎪⎭⎪⎬⎫=3E
( )
WhFL3312 21⎪⎩⎪⎨⎧3⎜⎝⎛L⎟⎠⎞2−⎜⎝⎛L⎟⎠⎞3⎪⎭⎪⎬⎫=EW4F ⎜⎝⎛hL⎟⎠⎞3⋅21⋅⎪⎩⎪⎨⎧3⎜⎝⎛L⎟⎠⎞2−⎜⎝⎛L⎟⎠⎞3⎪⎭⎪⎬⎫xξ ξ ξ ξ ξ ξ ξ
L at
xmax ξ= 3 3
max
2 4 1
4 ⎟
⎠
⎜ ⎞
⎝
= ⎛
⋅
⎟ ⋅
⎠
⎜ ⎞
⎝
= F ⎛L F L
x
L
max 2 ⎟
⎜ ⎠
⎟ ⎝
⎜ ⎠
⎝h EW h
( )ξ EW
-
- 빔의 속도는 변위에 비례한다고 가정
2
2 1 d x
dTs = ρ ξ&
⎪
⎪⎬
⎫
⎪
⎪⎨
⎧ ⎟
⎠
⎜ ⎞
⎝
−⎛
⎟⎠
⎜ ⎞
⎝
= ⎛
3 2
max 1 3
x
x ξ ξ
&
&
Effective Mass of Spring
Effective Mass of Spring--Beam: FixedBeam: Fixed--Free(II)Free(II)
- , 로 치환.
⎪⎭⎬
⎪⎩⎨ ⎟
⎜ ⎠
⎟ ⎝
⎜ ⎠
max ⎝
2 L L
3 2 2
0 max 3
2 1 2
1
⎥⎥
⎦
⎤
⎢⎢
⎣
⎡
⎪⎭
⎪⎬
⎫
⎪⎩
⎪⎨
⎧ ⎟
⎠
⎜ ⎞
⎝
−⎛
⎟⎠
⎜ ⎞
⎝
=∫ d x ⎛L L
Ts L ρ ξ & ξ ξ p
L= ξ
( )
7 1 6 6 5 9 4 1 2
1
6 4 9
1 2
1
2 max
6 5 4 2
max 1
0
⎟⎠
⎜ ⎞
⎝
⎛ − +
⎟⎠
⎜ ⎞
⎝
= ⎛
+
−
= ∫
x L
p p p x
Ldp
&
&
ρ ρ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15
2357 . 2 0
1
2357 . 2 0
1
7 6 5 4 2
2 max
2 max
⋅
=
⋅
=
⎠
⎝
⎠
⎝
x m
x L
s&
&
ρ
-
:시스템 전체의spring mass
2 max 2
max
, 2
2357 1 . 2 0
1 m x mx
T = ⋅ ssys & + &
sys
ms,
Natural Frequency
Natural Frequency--Beam: FixedBeam: Fixed--Free(III)Free(III)
-
-단순 조화 운동이라고 가정
-최대 운동에너지=최대 위치에너지
y ,
2
2 max
1 k x V = sys
t X
x t X
x= sinωn , & = ωncosωn
1
1
(
,)
( )2 22 2357 1
. 2 0
1 m+ mssys Xωn = ksysX ω k
c= μA
Shear Damping Shear Damping
plate of
area A
L FT fluid of
ity vis
L FT t coefficien damping
c c g
:
) / ( cos
:
) / ( :
μ 2
A
g A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17
gap g:
+L +
= 1 1
1
c c c
Serial and Parallel Dampers Serial and Parallel Dampers
c2
c1
+ L +
= c
1c
2c
eqc
1c
2 L ceq c1 c2-판아래의 유체 흐름이Couette flow라고 가정
이므로 damping weak
for Q γ
ω 2
= 0
k c
Quality Factor, Q Quality Factor, Q
이므로
-그런데, 이므로
* Couette flow :두 장의 평행한 무한 평판 사이에 점성 유체를 채우고 m
c m
ksys , 2
0= γ=
ω
sys
sys mk
c c m m
Q k 1
=
⋅
=
g c=μA
mksys
A Q g
= μ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개론 MEMS_Lect19_19
* Couette flow : 두 장의 평행한 무한 평판 사이에 점성 유체를 채우고, 한쪽의 판( y =0 )을 정지시키고, 다른 쪽의 판( y=h)을 일정속도V 로 평행하게 움직일 때, 두 판사이의 속도 분포는 선형이 된다. 이 흐름을Couette flow라고 한다.
( ) V
g y y v =
-이장무 편저,기계진동학, 3장,문운당,서울, 1992.
References References
- Gere and Timoshenko, Mechanics of Materials, Ch.8 and Appendix D, PWS-KENT, Boston, 1990.
- Walter D. Pilkey, Formulas for Stress, Strain and Structural Matrices, Ch.10,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