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Newsletter - 한국법제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Newsletter - 한국법제연구원"

Copied!
12
0
0

Teks penuh

(1)

발행인 박세진

발행처 한국법제연구원

137-890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90-4

TEL : (02) 3498-8797

FAX : (02) 579-0657

2005년 12월 10일 인쇄 2005년 12월 15일 발행

12월호

주요법령정보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전문수록)

공직자윤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공직자윤리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

알아볼까요

입법예고(2005.11.11. ~ 12.10.) 법령용어해설

(23)

Q&A

(23)

한국법제연구원에서는 …

Newsletter

ISSN 1599-8118

한국행정판례연구회 공동 심포지움 개최

▶ 일시 : 2005. 11. 12.(토)∼2005. 11. 13.(일)

▶ 장소 : 제주 선샤인 호텔

▶ 주제 : 한국 행정판례의 성과와 발전방향

워크샵 개최

▶ 일시 : 2005. 11. 18.(금) 14시∼18시

▶ 장소 : 한국법제연구원 대회의실

▶ 주제 : 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과 입법과제

(2)

제 1 조(목적) 이 법은 지방자치단체에 설치하는 기금의 관리 및 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 정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기금운용의 공공성과 지방재정의 효율성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2 조(정의) 이 법에서“기금”이라 함은 지방자치단체가 특정한 행정목적의 달성을 위하여「지 방자치법」제133조 또는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운용하는 자금을 말한다. 다만, 「지 방공기업법」제19조의 규정에 의한 지역개발을 위한 기금을 제외한다.

제 3 조(기금의 설치제한) ①법률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재정적 부담이 되는 기금을 설치하 고자 하는 경우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기금신설의 타당성 심사를 위하여 미리 행정자치부 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②행정자치부장관이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기금설치에 관한 협의를 하 는 경우에는 관련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제 4 조(기금의 존속기한) ①지방자치단체가 기금을 신설하여 운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기금의 존속기한을 당해 조례에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법률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설치·운용되는 기 금은 존속기한을 명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②기금의 존속기한은 기금의 설치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 한 최소한의 기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제 5 조(기금의 관리 및 운용원칙) ①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금의 설치목적과 지역실정에 맞도 록 기금을 관리·운용하여야 한다.

②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금자산의 안정성·유동성·수익성 및 공공성을 고려하여 기금자산 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제 6 조(기금의 관리 및 운용) ①기금은 세계현금(歲計現金)의 수입·지출·보관의 절차, 공유재 산 및 물품의 관리·처분의 예 또는 채권관리의 예에 의하여 이를 관리하여야 한다.

②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기금의 관리 및 운용에 관한 사무의 일부를 소속 공무원에게 위임하거나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에게 위탁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임 또는 위 탁받은 사무를 담당하는 자의 책임에 관하여는「회계관계직원 등의 책임에 관한 법률」을 준용 한다.

주요법령정보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

제정 2005. 8. 4. 법률제7664호《시행일 : 2006. 1. 1.》

*지지방방자자치치단단체체에 설치하는 기금의 관리 및 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 하고, 기금의 여유자금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여 지방자치단체 기금운용의 공공성과 지방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것임.

○기금의 설치제한(법 제3조)

법률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재정적 부담이 되는 기금을 설치하고자 하 는 경우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기금신설의 타당성 심사를 위하여 미리 행정자치부장관과 협의하도록 하고, 행정자치부장관은 협의를 하기 전에 관련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듣도록 함.

○기금의 존속기한 명시(법 제4조)

지방자치단체가 기금을 신설하여 운용하고자 할 경우 기금의 설치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소 한의 존속기한을 조례에 명시하도록 함.

○기금운용계획의 변경에 대한 통제(법 제11조)

기금운용계획의 주요항목지출금액의 10분의 5를 초과하여 변경하는 경우에는 지방의회의 의 결을 얻도록 하고, 10분의 5 이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지지방방의의회회의 의결없이 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되, 지방의회에 제출하는 기금의 결산보고서에 그 내용과 사유를 명시하도록 함.

○기금운용의 성과분석(법 제14조)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회계연도마다 기금운용의 성과를 분석하도록 하고, 행정자치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절차와 기준에 따라 그 분석결과를 확인·점검하여 기금운용의 성과가 현 저하게 떨어지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는 기금운용의 성과향상을 위한 조치를 권고할 수 있 고, 필요한 경우에는 그 확인·점검결과와 권고의 내용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함.

○통합관리기금의 설치·운용(법 제16조)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기금의 여유자금을 통합관리하고 이를 재정융자 및 지방채상환 등에 활 용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별로 통합관리기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

○지역발전협력기금의 설치·운용(법 제17조)

2 이상의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기금의 여유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조합을 설립하여 지역발전협력기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

제정이유

주요내용

(3)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집행된 금액은 당해 연도의 기금운용계획이 성립되면 성립된 기금운 용계획에 의하여 집행된 것으로 본다.

제11조(기금운용계획의 변경) ①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금운용계획의 주요항목지출금액의 범위 안에서 세부항목지출금액을 변경할 수 있다.

②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금운용계획의 주요항목지출금액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지방의회의 의결을 얻어야 한다. 다만, 주요항목지출금액의 10분의 5 이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와 다음 각 호의 기금의 주요항목지출금액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제67조의 규정에 의한 재난관리기금 2. 「재해구호법」제14조의 규정에 의한 재해구호기금

③제1항 및 제2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기금운용계획을 변경한 경우에는 기금의 결산보고서 에 그 내용과 사유를 명시하여야 한다.

제12조(지출사업의 이월) 매 회계연도의 지출금액은 다음 연도에 이월하여 사용할 수 없다. 다 만, 당해 연도 내에 지출원인행위를 하고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연도 내에 지출하지 못한 금 액과 지출원인행위를 하지 아니한 그 부대경비는 다음 연도에 이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3조(기금운용심의위원회) ①지방자치단체는 기금의 관리·운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심의 하기 위하여 기금별로 기금운용심의위원회(이하“심의위원회”라 한다)를 설치·운영하여야 한 다. 다만, 기금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심의위원회를 통합하여 설치·운영 할 수 있다.

②다음 각 호의 사항은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1. 제8조의 규정에 의한 기금운용계획의 수립 및 결산보고서의 작성 2. 제14조의 규정에 의한 기금운용의 성과분석

3. 기금의 관리·운용에 관한 중요사항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부의하는 사항

③심의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자치 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제14조(기금운용의 성과분석) ①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계연도마 다 기금의 운용성과를 분석하여야 한다.

③지방자치단체의 장은「지방재정법」에 의한 지방채발행한도액 또는 행정자치부장관의 승인 을 얻은 금액의 범위 안에서 기금의 조성을 위한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④그 밖에 기금운용계획의 집행과 기금의 지출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 7 조(회계연도 및 출납폐쇄) ①기금의 회계연도는 매년 1월 1일에 시작하여 12월 31일에 종료 한다.

②기금의 출납은 회계연도 종료 후 2월이 경과한 때에 폐쇄한다.

제 8 조(기금운용계획 및 결산) ①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회계연도마다 기금운용계획을 수립하여 야 하고, 출납폐쇄 후 80일 이내에 기금의 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②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기금운용계획안과 기금결산보고서를 회계연도마 다 각각 세입·세출예산안 또는 결산서와 함께 지방의회에 제출하여 의결을 얻어야 한다.

③지방의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동의 없이 기금운용계획안의 주요항목지출금액을 증액하 거나, 새로운 비목을 설치할 수 없다.

④기금운용계획안 및 결산보고서의 작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 9 조(기금운용계획안의 내용) ①기금운용계획안은 운용총칙과 자금운용계획으로 구성된다.

②운용총칙에는 기금의 설치목적, 기금의 조성·운용 및 자산취득에 관한 총괄적 사항을 규정 한다.

③자금운용계획은 수입계획과 지출계획으로 구분하되, 수입계획은 성질별로 구분하고, 지출계 획은 그 내용의 성질과 기능을 고려하여 주요항목 및 세부항목으로 구분한다. 이 경우 주요항 목의 단위는 장·관·항으로, 세부항목의 단위는 세항·목으로 각각 구분한다.

제10조(기금운용계획 불성립시의 기금운용계획 집행) ①지방의회에서 새로운 회계연도가 개시 될 때까지 기금운용계획안이 의결되지 못한 때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방의회에서 기금운 용계획안이 의결될 때까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목적을 위한 경비는 전년도기금 운용계획에 준하여 집행할 수 있다.

1. 법령이나 조례에 의하여 설치된 기관 또는 시설의 운영비 2. 법령 또는 조례상 지출의무의 이행

3. 이미 기금운용계획으로 승인된 사업의 계속

(4)

②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운용성과의 분석결과를 행정자치부장관에게 제 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시·군·구(자치구를 말한다)에 있어서는 특별시장·광역시장 및 도지 사를 거쳐야 한다.

③행정자치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과 절차에 따라 제2항의 규정에 의한 분석결과를 확인·점검하여 기금운용의 성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는 기금운용의 성과향상을 위한 조치를 권고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그 확인·점검결과와 권고의 내용 을 공개할 수 있다.

제15조(기금의 통합·폐지) ①지방자치단체는 기금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조례의 폐지 및 개정의 절차에 따라 이를 폐지하거나 다른 기금과 통합하여야 한다. 다만, 법률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의무적으로 설치된 기금의 경우에는 관련 중앙행정기관의 장에 게 이의 폐지 또는 통합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1. 기금설치의 목적을 달성한 경우

2. 기금설치의 목적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3. 「지방재정법」에 의한 특별회계와 기금간 또는 기금상호간에 유사하거나 중복되게 설치된 경우 4. 그 밖에 재정운영의 효율성 및 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회계에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②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기금의 폐지 또는 통합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요청받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행정자치부장관과 협의한 후 그 결과를 당해 지방자치 단체에 통보하여야 한다.

제16조(통합관리기금의 설치·운용) ①지방자치단체는 각종 기금의 여유자금을 통합관리하고 이를 재정융자 및 지방채상환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별로 기금의 여유자금을 통 합하여 통합관리기금을 설치할 수 있다.

②통합관리기금의 설치·운용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조례로 정한다.

제17조(지역발전협력기금의 설치·운용) ①2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기금의 여유자금을 효율적 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기금의 여유자금으로 지역발전협력기금

(이하“협력기금”이라 한다)을 설치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협력기금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는 협력기금의 관리·운 용을 위하여「지방자치법」제149조의 규정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조합(이하“조합”이라 한다)을 설립하여야 한다.

③조합은 협력기금의 관리·운용에 관한 사무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④협력기금의 관리·운용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8조(협력기금의 용도) 협력기금은 다음 각 호의 용도로 운용한다.

1. 「지방자치법」제115조의 규정에 의한 지방채(地方債)의 인수 2. 「지방공기업법」제68조의 규정에 의한 공사채(公社債)의 인수 3.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예치금(預置金)의 원리금 상환

4. 그 밖에 협력기금의 관리·운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비의 지출

제19조(협력기금에의 예치) 제1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협력기금의 설치를 위한 조합의 구 성원인 지방자치단체의 다음 각 호의 기금은 그 기금의 설치·운용에 관한 법률 및 조례의 규 정에 불구하고 그 여유자금을 협력기금에 예치할 수 있다.

1.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통합관리기금

2. 「지방공기업법」제19조의 규정에 의한 지역개발을 위한 기금

3. 그 밖에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통합관리기금이 설치되지 아니한 지방자치단체의 기금 제20조(협력기금조성을 위한 지방채 발행 등) ①조합은 협력기금의 관리·운용에 필요한 재원

을 조성하기 위하여「지방재정법」에 의한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②조합은 협력기금의 운용상 필요한 때에는 조합회의의 의결을 얻은 한도액의 범위 안에서 금 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일시차입할 수 있다.

부 칙

이 법은 2006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5)

<신 설>

<신 설>

제27조의2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 소 속 공무원의 범위) 법 제14조의4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재정경제부 및 금 융감독위원회 소속 공무원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라 함은 재정경제부의 금융정 책·은행·증권·보험 등 금융에 관한 사무 를 관장하는 국(본부·단·부·팀을 포함한 다) 소속 4급 이상 공무원(이에 상당하는 공 무원을 포함한다)과 금융감독위원회 소속 4 급 이상 공무원(이에 상당하는 공무원을 포 함한다)을 말한다.

제27조의3 (주식백지신탁대상 주식의 하한가 액) 법 제14조의4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 문, 법 제14조의5제6항 및 법률 제7493호 공직자윤리법중개정법률 부칙 제2항에서

현 행 개 정

신구조문대비표

공직자윤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개정 2005. 11. 16. 대통령령제19133호《시행일 : 2005. 11. 19. 다만, 제33조의2·제33조의3 및 제34조의 개정규정 은 2006년 1월 1일부터 시행》

「공직자윤리법」이 개정(법률 제7493호, 2005. 5. 18. 공포, 2005. 11. 19. 시 행)되어 주식백지신탁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주식백지신탁 대상 주식의 하한 가액 및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의 운영 등 동법에서 위임한 사항을 규정하 는 한편,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주식백지신탁 대상 공무원의 범위(영 제27조의2 신설)

주식백지신탁 대상 공무원 중“재정경제부 및 금융감독위원회 소속 공무원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는 재정경제부의 금융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국 소속 4급 이상 공무원과 금융감독위원회 소속 4급 이상 공무원으로 정함.

○주식백지신탁 대상 주식의 하한가액(영 제27조의3 신설) 주식백지신탁 대상 주식의 하한가액은 3천만원으로 정함.

○신탁재산의 운용방법(영 제27조의4 신설)

주식백지신탁계약에 따라 수탁된 재산의 운용에 관하여는「신탁업법」및「간접투자자산 운용 업법」이 정하는 바에 따르도록 하되, 위탁자가 주식의 종목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없도록 함.

○직무관련성의 판단기준(영 제27조의7 신설)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가 주식백지신탁 대상자가 보유한 주식의 직무관련성 여부를 판단함 에 있어서는 그 주식을 발행한 기업의 경영 등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직무로서 관련 업종에 관한 정책 또는 법령의 입안·집행 등에 관련되는 직무에 종사하거 나, 그 직무를 지휘·감독하는지 여부를 고려하도록 함.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등(영 제33조의2 및 제33조의3)

취업제한 대상자가 영리사기업체 등에 취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퇴직 당시의 소속 기관 또

는 공직유관단체의 장 등을 거쳐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여 야 하되, 취업개시 15일 전까지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확인요청을 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 취업제한 대상자로 하여금 우선 취업할 수 있도록 하고,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그 사유를 첨부하여 취업제한 여부에 관한 확인을 요청하도록 함.

○취업승인 사유의 추가(영 제34조제3항제6호 신설)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승인 사유에 채용계약에 의하여 일정기간 동안 전문지식·기 술이 요구되는 직위에 채용되었다가 퇴직후 임용 전에 종사하였던 분야에 재취업하는 자로서 취업후 영향력 행사 가능성이 극히 적은 경우를 추가함.

개정이유

주요내용

(6)

<신 설>

<신 설>

제27조의6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의 운영 등) ①법 제14조의5의 규정에 의한 주식백 지신탁심사위원회(이하“심사위원회”라 한 다)의 위원장은 심사위원회를 대표하고, 심 사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여 그 의장이 되 는 등 심사위원회의 직무를 통할한다.

②심사위원회에 부위원장 1인을 두되, 부위 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하며 위원장이 사 고가 있을 때에는 부위원장이 그 직무를 대 행한다.

③심사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 성으로 의결한다.

④그 밖에 심사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는 제19조제3항 및 제4항과 제20조 내지 제 22조를 각각 준용한다.

제27조의7 (직무관련성의 판단기준) ①법 제 14조의5제8항의 규정에 의한 주식의 직무 관련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법 제14조의4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개대상자등이 본인 또는 그 이해관계자가 보유한 주식을 발행 한 기업의 경영 또는 재산상 권리에 관한 상 당한 정보를 입수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직무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 하는 직무에 종사하거나 그 직무를 지휘·

감독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야 한다.

1. 관련 업종에 관한 정책 또는 법령의 입 안·집행 등에 관련되는 직무

2. 각종 수사·조사·감사 및 검사에 관련

<신 설>

<신 설>

“1천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이라 함은 3천만원 을 말한다.

제27조의4 (신탁재산의 운용방법) 법 제14조 의4제1항제2호다목 단서에서“대통령령이 정하는 범위”라 함은「신탁업법」및「간접 투자자산 운용업법」이 정하는 범위(위탁자 가 주식의 종목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운용 하는 것을 제외한다)를 말한다.

제27조의5 (신고 및 공개의 방법) ①법 제14 조의4제1항 또는 법 제14조의6제2항의 규 정에 의하여 주식매각 또는 주식백지신탁계 약 체결사실 신고를 하고자 하는 자는 신고 서에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등록기관에 제출 하여야 한다.

②법 제14조의4제1항 또는 법 제14조의6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매각 또는 주 식백지신탁계약 체결사실 신고를 받은 등록 기관의 장은 신고를 받은 날부터 1월 이내 에 그 내용을 관보 또는 공보에 게재하여 공 개하여야 한다. 다만, 제27조의2의 규정에 의한 재정경제부 및 금융감독위원회 소속 공무원의 경우에는 신고를 받은 재정경제부 장관 및 금융감독위원회가 소속 공무원이 신고한 주식매각 또는 주식백지신탁계약 체 결사실을 지체없이 행정자치부장관에게 통 보하여야 하고, 행정자치부장관은 통보를 받은 날부터 1월 이내에 그 내용을 관보 또 는 공보에 게재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7)

<신 설>

제33조의2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요청) 제31 조의 규정에 의한 취업제한대상자가 퇴직일 부터 2년이내에 제33조제3항의 규정에 의 하여 고시된 영리사기업체 또는 제33조제2 항의 규정에 의한 협회에 취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퇴직당시 소속기관 또는 공직유관 단체의 장(퇴직당시의 소속기관 또는 공직 유관단체가 폐지된 경우에는 그 업무를 승 계한 기관 또는 공직유관단체의 장을 말한 다. 이하 같다)을 거쳐 소속중앙행정기관 또 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해당영리사기업 체 또는 협회가 본인의 취업이 제한되는 영

션거래의 권리행사에 따라 주식을 취득하 는 경우

6. 제1호 내지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취 득한 주식에 대한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제27조의9 (신탁재산의 평가 및 통보) 법 제 14조의8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백지 신탁의 수탁기관은 매분기 말일(말일이 공 휴일 또는 수탁기관의 휴무일인 경우에는 그 전일을 말한다)을 기준으로 신탁재산을 평가하여 신탁재산의 총가액이 3천만원 이 하로 하락한 때에는 매분기 말일 경과후 1 월 이내에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그 사 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매년도 마지막 분기의 경우에는 법 제14조의8제1항의 규 정에 의한 신탁상황의 보고와 함께 이를 통 보할 수 있다.

제33조의2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요청) 제31 조의 규정에 의한 취업제한 대상자가 퇴직 일부터 2년 이내에 제33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고시된 영리사기업체 또는 제33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협회에 취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퇴직 당시 소속 기관 또는 공 직유관단체의 장(퇴직 당시의 소속 기관 또 는 공직유관단체가 폐지된 경우에는 그 업 무를 승계한 기관 또는 공직유관단체의 장 을 말한다. 이하 같다)과 소속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거쳐 관할 공직 자윤리위원회에 해당 영리사기업체 또는 협

<신 설>

되는 직무

3. 인가·허가·면허 및 특허 등에 관련되 는 직무

4. 조세의 조사·부과 및 징수에 관련되는 직무

5. 법령상 지도·감독에 관련되는 직무 6. 예산의 편성·심의·집행 또는 공사 및

물품의 계약에 관련되는 직무

7. 법령상 사건의 심리 또는 심판 등에 관련 되는 직무

8. 그 밖에 심사위원회가 직무관련성이 있 는 것으로 인정하는 직무

②심사위원회는 일정한 유형 또는 종목의 주식을 정하여 직무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고시할 수 있다.

제27조의8 (주식취득사유) 법 제14조의6제2 항에서“상속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라 함은 다음 각 호의 사유를 말한다.

1. 증여(유증을 포함한다)·담보권 행사 또 는 대물변제의 수령 등으로 주식을 취득 하는 경우

2. 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또는 교환 사채의 권리행사로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3. 우리사주 조합원이 우리사주 조합을 통

하여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4.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주식을 취득하 는 경우

5. 법 제14조의4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공개 대상자등이 되기 전에 행한 유가증권 옵

(8)

하여 제한되는지 여부를 소속기관 또는 공 직유관단체의 장을 거쳐 확인을 요청한 자 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취업이 제한 된다고 통지하는 때에는 취업이 제한되는 사유와 관할공직자윤리위원회의 승인을 얻 은 경우에는 취업이 가능하다는 취지를 통 지하여야 한다.

제34조 (취업승인) ① 및 ② (생 략)

③관할공직자윤리위원회가 법 제17조제1 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취업승인을 할 때 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의견서, 취업승 인신청인의 퇴직전의 근무현황, 취업후의 영향력 행사 가능성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특별한 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취업을 승인할 수 있으며, 제2호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승인하여야 한다.

1. 및 2. (생 략)

3.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하는 영 리사기업체의 경영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4. 및 5. (생 략)

<신 설>

6. (생 략)

--- 소속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통지하고 소속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 속 기관 또는 공직유관단체--- --- --- ---.

제34조 (취업승인) ① 및 ② (현행과 같음)

③--- --- --- --- --- --- --- --- ---.

1. 및 2. (현행과 같음)

3. --- 출자 또는 재 출자--- ---

4. 및 5. (현행과 같음)

6. 채용계약에 의하여 일정기간 동안 전문 지식·기술이 요구되는 직위에 채용되었 다가 퇴직후 임용 전에 종사하였던 분야 에 재취업하는 자로서 취업후 영향력 행 사 가능성이 극히 적은 경우

7. (현행 제6호와 같음) 리사기업체 또는 협회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제33조의3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①제33조 의2의 규정에 의하여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요청서를 접수한 소속기관 또는 공직유관단 체의 장은 다음 각호의 사항을 조사·확인 하여 그 의견을 첨부하여 소속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송하여야 한 다.

1. 내지 3. (생 략)

②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송받은 확인요청 서를 검토하여 영리사기업체 또는 협회에의 취업이 법 제17조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

회가 본인의 취업이 제한되는 영리사기업체 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여야 한다. 다만, 제34조의 규정에 의하여 취업 승인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제33조의3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①제33조 의2의 규정에 의하여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요청서를 접수받은 소속 기관 또는 공직유 관단체의 장은 확인요청사항에 대한 의견을 첨부하여 소속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 단체의 장에게 확인요청서를 이송하고, 소 속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조사·확인한 후 그 의 견을 첨부하여 취업개시 15일 전까지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확인요청서를 이송하 여야 한다. 다만, 소속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취업개시 15일 전까지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확인요청을 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 우에는 당해 취업제한 대상자로 하여금 우 선 취업하게 할 수 있되, 우선 취업을 통보 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관할 공직자윤리위 원회에 그 사유를 첨부하여 취업제한 여부 에 관한 확인을 요청하여야 한다.

1. 내지 3. (현행과 같음)

②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는 --- --- --- ---

(9)

회에서 보관할 수 있다.

제3조 (변동사항신고) ①법 제5조제1항 단 서 또는 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재산변동 사항의 신고는 별지 제2호서식에 의한다.

이 경우 법 제5조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 한 재산변동사항신고에 있어서는 별지 제3 호서식의 재등록사유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② (생 략)

제7조의2 (금융거래의 조회) 법 제8조제5항 의 규정에 의한 금융거래의 내용중 잔액에 관한 자료의 제출요구는 별지 제7호의2서 식에, 이에 관한 금융거래자료의 제출은 별 지 제7호의3서식 및 별지 제7호의4서식에 의한다.

<신 설>

---.

제3조 (변동사항신고) ①--- --- ---.

<후단 삭제>

② (현행과 같음)

제7조의2 (금융거래의 조회) 법 제8조제5항 의 규정에 의한 금융거래의 내용중 잔액에 관한 자료의 제출요구는 별지 제7호의2서 식에, 이에 관한 자료의 제출은 별지 제7호 의3서식 및 별지 제7호의4서식에 의하고, 입출금 거래내역에 관한 자료의 제출요구는 별지 제7호의5서식에, 이에 관한 자료의 제출은 별지 제7호의6서식에 의한다.

제12조의2 (주식의 매각신고 등) ①법 제14조 의4제1항제2호가목의 규정에 의한 수탁기 관의 주식 처분시한 연장신청은 별지 제14 호의2서식에 의한다.

②법 제14조의4제5항 및 법 제14조의6제2 항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각 또는 백지신탁 사실의 신고는 별지 제14호의3서식에, 주식 매각 또는 백지신탁 사실의 공개는 별지 제 14호의4서식에 의한다.

③법 제14조의5제6항의 규정에 의한 보유 주식의 직무관련성 여부에 관한 심사청구는 별지 제14호의5서식에, 동조제7항의 규정 에 의한 직무관련성 여부에 관한 심사·결 정은 별지 제14호의6서식에, 동조제9항의 규정에 의한 자료제출 요구 또는 서면질의 는 별지 제14호의7서식에, 동조제10항의 규

공직자윤리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개정 2005. 11. 16. 행정자치부령제303호《시행일 : 2006. 1. 1. 다만, 제1조·제2조·제12조의2 및 별지 제14호의2 서식 내지 별지 제14호의13서식의 개정규정은 2005년 11월 19일부터 시행》

「공직자윤리법」이 개정(법률 제7493호, 2005. 5. 18. 공포, 2005. 11. 19. 시 행)되어 주식백지신탁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이에 필요한 서식을 마련하는 한 편, 공직윤리종합정보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종전의 서식 중 필요한 부분은 보완하고, 불필요한 내용은 삭제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 하려는 것임.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공직자윤리법시행규칙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공직자윤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및 공직자윤리법시행령(이 하“영”이라 한다)의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재산등록) ①법 제5조제1항의 규정 에 의한 재산등록을 하고자 하는 자는 별지 제1호서식에 의하여 등록대상재산을 등록 기관의 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신고를 받은 등록기관의 장은 그 등록서류(영 제36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제 출받은 재산등록신고의 내용이 기록된 디스 켓등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를 접수하여 보관한다. 다만, 영 제9조의 규정 에 의하여 등록서류가 정부공직자윤리위원 회에 이송된 경우에는 정부공직자윤리위원

공직자윤리법 시행규칙

제1조 (목적) --- 「공직자윤리법」및

「공직자윤리법 시행령」--- --- ---.

제2조 (재산등록) ①「공직자윤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 --- ---.

②--- ---「공직자윤리법 시행령」(이하“영”

이라 한다)--- --- --- --- ---

현 행 개 정

신구조문대비표

(10)

<신 설>

제17조 (취업승인) ① 및 ② (생 략)

<신 설>

제18조 (취업현황보고)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체 및 공직유관단체의 장은 영 제35조제1 항의 규정에 의하여 영리사기업체 및 협회 에의 취업여부를 확인하고, 전년도의 취업 현황을 다음 연도 3월 31일까지 별지 제21 호서식에 의하여 보고하여야 하며, 영 제33 조의3제2항의 규정에 의한 검토서(영 제33 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고시된 영리사기 업체 또는 동 영리사기업체의 공동이익과 상호협력등을 위하여 설립된 협회에 취업한 자에 대한 검토서가 있는 경우에 한한다)를 첨부하여야 한다.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당해 공개대상자등이 전보된 기관을 관할하는 공 직자윤리위원회가 다른 경우에는 수탁기관 으로부터 제출받은 보고서를 그 공직자윤리 위원회에 송부하여야 한다.

제16조의3 (취업제한여부에 관한 의견서) ① 영 제33조의3제1항의 규정에 의한 취업제 한 여부에 관한 의견서는 별지 제18호의3서 식에 의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의견서에는 영 제 33조의2 본문의 규정에 의한 취업제한 대 상자 본인의 인사기록카드 사본 그 밖의 증 빙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제17조 (취업승인) ① 및 ② (현행과 같음)

③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의견서에는 영 제 33조의2 본문의 규정에 의한 취업제한 대 상자 본인의 인사기록카드 사본 및 취업승 인을 위한 특별한 사유의 존재 등에 대한 증 빙자료 등을 첨부하여야 한다.

제18조 (취업현황보고)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체 및 공직유관단체의 장은 영 제35조제1 항의 규정에 의하여 영리사기업체 및 협회 에의 취업여부를 확인하고, 전년도의 취업 현황 점검결과를 다음 연도 3월 31일까지 별지 제21호서식에 의하여 관할 공직자윤리 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정에 의한 자료제출 요구는 별지 제14호의8 서식에 의한다.

④법 제14조의8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탁 기관의 신탁재산 관리·운용·처분에 관한 내용의 보고는 별지 제14호의9서식에, 동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수탁기관의 관할 공 직자윤리위원회에 대한 통보는 별지 제14호 의10서식에 의하며,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 가 동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탁자에게 통지하는 때에는 별지 제14호의10서식에 의한 수탁기관의 신탁재산 관리상황 보고서 를 첨부하여야 한다.

⑤법 제14조의10제1항의 규정에 의한 신탁 자의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대한 매각허 가 신청은 별지 제14호의11서식에, 동조제2 항의 규정에 의한 수탁기관에 대한 신탁계 약 해지청구는 별지 제14호의12서식에, 동 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수탁기관의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대한 해지사유 및 신탁 재산의 관리·운용·처분에 관한 내용의 보 고는 별지 제14호의13서식에 의한다. 다만, 주식백지신탁계약이 1월 중에 해지되어 그 해지사유 및 신탁재산의 관리·운용·처분 에 관한 내용의 보고를 법 제14조의8제1항 의 규정에 의한 보고에 포함하여 보고할 경 우에는 별지 제14호의9서식에 의하여 보고 할 수 있다.

⑥법 제14조의8제1항·제2항 및 제14조의 10제3항의 규정에 의한 보고 또는 통보를 받은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는 당해 공개대 상자등이 다른 기관으로 전보되거나 직위 또는 직급이 변동된 경우에는 수탁기관에

(11)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49호)

여객자동차터미널구조및설비기준에관한규칙중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56호)

신항만건설촉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5-254호)

외무공무원임용령 일부개정령안(외교통상부공고제2005-53호)

별정우체국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정보통신부공고제2005-55호)

총포·도검·화약류등단속법시행령일부개정령안(경찰청공고제2005-17호)

총포·도검·화약류등단속법시행규칙일부개정령안(경찰청공고제2005-18호)

중소기업특별위원회 규정 일부개정령안(중소기업특별위원회공고제2005-1호)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일부개정법률안(행정자치부공고제2005-208호)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행정자치부공고제2005-209호)

국립박물관 전시품 관람규칙 개정안(문화관광부공고제2005-98호)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5- 283호)

전기통신사업법시행규칙중 개정안(정보통신부공고제2005-56호)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2005-255호)

도로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57호)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시행령안(행정자치부공고제2005-210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정안(산업자원 부공고제2005-284호)

도소매업및서비스업총조사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5-168호)

국방과학연구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방부공고제2005-63호)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5-248호)

직업상담원의 배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노동부공고제2005-256호)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중 정정안(노동부공고제2005-258호)

예산성과금규정중 일부개정령안(기획예산처공고제2005-23호)

과학기술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과학기술부공고제2005-173호)

공익법인의설립·운영에관한법률 일부개정법률안(법무부공고제2005-105호)

징병신체검사등검사규칙 일부개정령안(국방부공고제2005-64호)

간접투자자산 운용업법 시행령 및 동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5-172호)

알 아 볼 까 요

입 법 예 고(2005. 11. 11. ~ 12. 10.)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령중 일부개정령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5-89호)

유전자감식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안(법무부공고제2005-100호)

군의문사 진상규명 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국방부공고제2005-61호)

지방세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행정자치부공고제2005-204호)

국민건강보험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5-183호)

부산교통공단법시행령 폐지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41호)

부산교통채권사무취급규칙 폐지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42호)

종합물류업자 인증 등에 관한 규칙 제정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46호, 해양수산부공고제 2005-248호, 산업자원부공고제2005-268호)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5-61호)

지방자치단체의행정기구와정원기준등에관한규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행정자치부공고제 2005-206호)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중 개정령안(행정자치부공고제2005-207호)

중소기업기본법시행령 개정안(산업자원부공고제2005-269호)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정보통신부공고제2005-54호)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5-243호)

해양수산발전기본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해양수산부공고제2005-249호)

공무원임용령·공무원임용시험령·공무원채용신체검사규정중 개정령안(중앙인사위원회공고 제2005-58호)

등기특별회계법 일부개정법률안(법무부공고제2005-102호)

법인세법시행규칙중 일부개정령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5-167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등에 관한 법률시행령중 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 2005-244호)

고용보험및산업재해보상보험의보험료징수등에관한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 2005-251호)

고용보험및산업재해보상보험의보험료징수등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노동부공고제 2005-252호)

(12)

국민건강보험요양급여의기준에관한규칙 일부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5-203호)

자유무역협정의이행을위한관세법의특례에관한법률 시행령 제정안(재정경제부공고제2005-173호)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중 개정령안(문화관광부공고제2005-103호)

정보화촉진 기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정보통신부공고제2005-58호)

경비업법시행규칙일부개정령안(경찰청공고제2005-19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5-63호)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5-64호)

참전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5-65호)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국가보훈처공고제2005-66호)

자연공원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5-258호)

자연공원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환경부공고제2005-259호)

「지역균형개발 및 지방중소기업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중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 2005-371호)

수도권정비계획법시행령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73호)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75호)

공무원임용령 일부개정령안(중앙인사위원회공고제2005-62호)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5-205호)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77호)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78호)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개정법률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79호)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법 폐지법률안(경찰청공고제2005-20호)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소방방재청공고제2005-81호)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소방방재청공고제2005-82호)

대학설립·운영규정시행규칙 일부개정안(교육인적자원부공고제2005-92호)

전자어음의발행및유통에관한법률 일부개정법률안(법무부공고제2005-108호)

별정우체국직원 인사규칙 일부개정령안(정보통신부공고제2005-59호)

국민건강보험재정건전화특별법시행령중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5-210호)

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증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보건복지부공고제2005-212호)

특정건축물 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정안(건설교통부공고제2005-389호)

체육시설의설치·이용에관한법률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문화관광부공고제2005-104호)

법령용어해설

◆지방의회(地方議會)

지방자치단체의 의결기관을 말한다. 지방의회는 각 지방자치단체에 두는 것으로서 지역주민에 의하 여 선출된 의원을 구성원으로 하여 성립하는 합의제 기관이다. 이에는 특별시의회·직할시의회·도 의회·자치구의회·시의회·군의회가 있다. 보통 미국에서는 소의회제로 의원직이 직업으로 인정 되는 반면, 유럽에서는 대의회제를 채택하고 있어 의원들은 본업을 갖고 있으면서 무보수명예직으 로 의원활동을 한다. 한국은 후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지방의회 의원의 임기는 4년으로 한다. 지 방의회는 조례의 제정 및 개폐, 예산의 심의·확정, 결산의 승인, 법령에 규정된 것을 제외한 사용 료·수수료·분담금·지방세 또는 가입금의 부과와 징수, 기금의 설치·운용, 중요재산의 취득·

처분, 공공시설의 설치·처분, 법령과 조례에 규정된 것을 제외한 예산외 의무부담이나 권리의 포 기, 청원의 수리와 처리, 기타 법령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을 의결하고, 행정사무를 감사 및 조사하며, 행정사무처리상황을 보고하거나 의견을 진술하고 질문에 응답할 수 있다.(p. 2*참조)

Q & A

Q : 안녕하십니까?

귀원의 무궁한 발전을 바랍니다.

소형 낚시어선의 승객으로 하여금 구명조끼를 착용하게 할 의무를 낚시어선업자 및 선원에 게 부과한다고 들었습니다. 이 법령에 관한 자세한 내용과 그 시행일에 관하여 알고 싶어 귀 원에 문의 드립니다.

A: 연구원에 문의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문의하신 법률은「낚시어선업법」(2005년 7월 29일 개정, 법률 제7642호)으로, 앞으로는, 구명조끼 착용의무를 확대하여 소소형형 낚낚시시어어선선을을 이이용용하하는는 승승객객의의 안안전전을을 강강화화하하기기 위위하하여여 낚

낚시시어어선선업업자자 및및 선선원원에에게게 소소형형 낚낚시시어어선선의의 승승객객으으로로 하하여여금금 구구명명조조끼끼를를 착착용용하하게게 할할 의의무무 를

를 부부과과하게 됩니다. 또한, 낚시어선업자 및 선원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소형 낚시어선의 승 객에게 구명조끼를 착용하게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승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동법 부칙 규정에 의하여 22000066년년 11월월 3300일일부부터터 시시행행하게 됩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현행법령집 29권 1233쪽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