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고등어 산란어류 북방한계 연구를 위한 분자마커 개발" 보고서로 제출된다. 연구과제명 고등어 및 산란어류의 북방한계 연구를 위한 분자마커 개발 고등어 산란어류의 북방한계선 연구를 위한 분자마커 개발
고등어 난자분포 자료 수집 및 분석 - 고등어와 고등어의 종분화를 위한 분자마커 분석 종 특이적 분자 마커를 이용한 개별 유형의 고등어 난모세포 식별. 고등어 알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등어 산란지 조사 - 고등어 어류의 난모세포 종을 구별하기 위한 분자표지자 개발.
분자마커를 이용한 고등어알의 단일 종 동정.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자율 고등어 어류가 출현한 시기는 3월부터 10월까지였다. 이 지역에서 고등어 발생빈도는 5월에 가장 높았다.
고등어 알의 발생은 7월보다 6월에 더 많았다.
식별된 에그 단어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연구자 간의 분석 결과 차이를 검증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형태유전학적 분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난모세포의 종 동정을 위한 분자표지 기술이 도입되어야 한다. 분자마커는 어란, 치어, 치어, 성어 등 발달 단계에 따라 변하지 않음 - 분자마커는 분류 기준인 성어와 알을 직접 비교할 수 있음 - 분자마커를 이용한 알 종 동정 결과는 연구자마다 다름 . 아니오 - 그러나 어란 샘플을 처리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가지의 생태적 특성을 기후변화에 대한 해양생태계의 대응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시료를 종 수준에서 저비용으로 단시간에 분석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표생물로 적합한 해양생물 중 하나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배아어류이다.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 기후 변화 지표 유기체로 적합한 후보는 고등어와 고등어입니다.
고등어와 고등어-고등어알의 북방경계선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해양보호구역 설정에 필요한 산란어류의 종분화 정보를 제공한다.
한반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유전적 유사성을 통해 바다의 생태축 연구에 기여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어 산란 정보를 이용하여 고등어 산란지를 분석하였다. 고등어 산란 정보의 오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부록 I). 종 판별 기준인 ND5 염기서열 정보는 NCBI/DB와 성고등어로부터 얻었다.
다른 조사 기간에는 고등어 설점의 누적 개수가 4개 미만이었다. 고등어 알(Scomber japonicus)은 황해 중부와 동부의 A봉우리에서만 발견되었다(그림 4). 고등어 출현빈도가 높은 곳은 제주도와 대한해협 일대였다.
반면 황해와 동해에서는 고등어 자율성이 발생한 코너 수가 매우 적었다(Fig. 4). 지난 3월 고등어가 발견된 해역은 제주도 동남부 일대였다. 그 중 16종의 일배체형이 귀상어 고등어에서 발견되었다.
고등어와 고등어에서는 종간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어 속의 알을 품은 어류를 고등어로 동정하였다(표 2). 고등어를 포함한 고등어속 4종의 일배체형을 이용한 분자계통도.
고등어의 누적분포밀도가 가장 높은 해역은 제주도와 대한해협 사이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토종어류와 치어는 한반도 남해안 고등어 산란장에서 산란하는 어란에서 부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동해에서는 9월 이후 고등어 어업기지가 형성된다.
현재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한 고등어, 고등어, 고등어 성체 시료에는 3종의 ND5 일배체형이 존재한다.
The onshore Kuroshio intrusion along the East China Sea shelf break: The origin of the Tsushima heat flow. Stock size fluctuations in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East China Sea and Japan⁄.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western waters of Korea. Spawning dates and early growth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as indicated by otolith microstructure of juveniles in the inshore rearing area.
Phylo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Atlantic Scomber colias and Pacific Scomber japonicus based on nuclear DNA sequences. Determinant of the transport volume distribu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round the Tsushima/Korea Strait. Morphology of pelagic fish eggs identified using mitochondrial DNA and their distribution in waters west of the Mariana Islands.
Distribution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in spring during 1994-1997. A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western waters of Korea in spring. Distribution of large commercial fish larvae in the southern seas and off the Korean island of Jeju in spring.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Sea of Japan during summer, 1984, with special reference to scombroid fishes.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adjacent Korean Sea. Identification of the chub and spotted mackerel with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rresponding formalin-fixed pelagic eggs.
Identification of marine fish eggs in Taiwan by light microscopy, line electric microscopy and mtDNA sequencing. Assessment of spawning grounds for chub Scomber japonicus and spotted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in the East China Sea based on catch statistics and biometric data. Different population structure of two closely related fish species, mackerel (Scomber scombrus) and chub (Scomber japonicus), in the Mediterranean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