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환자 모집과 tissue microarray (TMA) block 제작
Opal 다중 형광면역염색
Opal-multiplex 형광 면역염색은 형광을 사용하여 조직 내 표적 항원 단백질을 검출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면역화학적 조직염색에 비해 더 넓은 Dynamic Range를 가지므로 다양한 강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실험방법이다(29, 30). 형광 분자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을 흡수하면 전자가 여기되고 원래 상태로 돌아가면 빛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Opal-multiplex 형광 면역염색은 이 특성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파장 대역에서 최대 7개의 형광 물질을 라벨링할 수 있습니다.
오팔 다중형광 면역염색은 4 μm 두께로 절단된 단면에 대해 수행되었습니다. 티라마이드와 형광물질만 제거하고 남기기 위해 MWT를 수행하였다. MWT를 이용하면 특이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던 항원-항체 결합과 항체-항체 결합은 사라지고 티라마이드 공유결합과 형광은 남아있어 숙주에 관계없이 최대 6종의 항체를 표지할 수 있다(그림 2).
따라서 1차 항체의 숙주에 따라 2차 항체의 범위가 좁아지고 세척과정에서 항체의 소멸과 형광이 강화된다. 마지막으로 핵을 DAPI로 대조염색한 후 커버슬립을 형광 염색 전용 실러로 덮습니다(그림 3).
Image 획득
오팔 형광 파장용으로 제작된 라이브러리(33).
Image 정량분석
집단 분류 방법
각 그룹의 MYC 단백질 발현 강도의 범위 및 중앙값을 사분위수로 나눈 값입니다. MYC 단백질 발현 강도에 따른 사분위수 분포 그래프. MYC 단백질 발현의 강도와 양성 세포의 비율로 세분화된 각 집단에 대한 기준.
통계 분석
환자의 특징 별 통계
Opal 다중면역형광염색의 분석
면역형광으로 염색된 B 세포, T 세포 및 MYC 단백질의 이미지.
MYC 단백 발현 강도와 양성 세포 비율의 세분화의 통계적 분석
MYC 단백질 발현 강도가 1+ 이상일 때 양성 세포 백분율 분할을 사용하는 EFS. MYC 단백질 발현 강도가 2+ 이상일 때 양성 세포의 분할 비율을 사용하는 EFS에 대한 Kaplan-Meier 곡선. OS의 경우 myc3.group3이 다른 그룹에 비해 예후가 나쁜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EFS는 예후가 좋지 않은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myc3.group3 그룹의 컷오프 값이 예후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다는 결과로 이어졌다. MYC 단백질 발현 강도가 3+ 이상일 때 양성 세포 백분율 분할을 사용하는 EFS.
내부 data 로 도출 된 cut-off value 검증
그림 21. 파생된 컷오프 값이 있는 내부 데이터에 대한 OS의 Kaplan-Meier 곡선. 파생된 컷오프 값이 있는 내부 데이터에 대한 EFS에 대한 Kaplan-Meier 곡선. 도출된 컷오프 값에 대한 내부 검증 Cox 회귀 분석 결과입니다.
앞서 도출된 컷오프 값에 따라 음성그룹과 양성그룹으로 나누어졌다. Opal multiplex 면역형광염색으로 정량하며, cutoff value는 Intensity 3+ 이상, 양성이다. MYC 단백질 발현 강도는 3+였으며, 양성 세포 비율 60%의 컷오프 값이 연구 결과였습니다.
MYC translocations are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reated with R-CHOP chemotherap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optimizing outcome in the context of clinical and biological heterogeneity. The use of molecular profiling to predict survival after chemotherapy for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Rearrangement of MYC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reated in the era of rituximab. MYC protein expression and genetic alterations have a prognostic impact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cell lymphoma treated with immunochemotherapy. Immunohistochemical double hit score is a strong predictor of outcome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reated with rituximab plus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Simultaneous expression of MYC and BCL2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reated with rituximab plus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Confirmation of the molecular classification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by immunohistochemistry using a tissue microarray. Introduction: Large B-cell lymphoma (DLBCL) is a common disease that accounts for approximately 40% of non-Hodgkin's lymphomas.
COO 가 확인 된 환자군에 대한 cut-off value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