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한 국 해 양 과 학 기 술 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한 국 해 양 과 학 기 술 원"

Copied!
152
0
0

Teks penuh

세부 프로젝트 명명법 모델을 이용한 발트해 하위 생태계의 중장기 변동성에 관한 연구. 모델을 이용한 발트해 하위 생태계의 중장기 변동성에 관한 연구. 발트해 남동부 생태계 변동 메커니즘에 대한 가설 수립 및 검증.

물리적-생태계 연결성 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변동 메커니즘 규명. 발트해 남동부 생태계 변화 메커니즘 규명. 발트해 남동부 생태계 변동 메커니즘에 대한 가설 수립.

물리적 생태계 전이 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변동 메커니즘 규명 가. 물리적 생태계와 결합된 모델 시스템으로서 발트해의 출현.

기술적 측면

경제․산업적 측면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협약과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기후협약 강화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장기적 추이 및 변화 전망에 대한 자료를 생산·보존할 필요가 있다. 최근 수십 년간 동해 생태계의 다양한 생태계 변화 메커니즘을 정확히 진단하고 미래 변화 예측 능력을 확보하는 것은 동해와 같은 해양 생태계의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는 국가적 과제입니다. 어업 및 환경 보전 숙달하는 데 필수적인 과학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해양생태계 모델 개발 연구는 궁극적으로 수산자원의 합리적 관리에 기여하여 국가 산업에 기여한다. 용승을 정량화하고 예측할 수 있다면 어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성층화 현상도 예측할 수 있고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어자원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면 어업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책자료가 될 수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

용승은 해양 생산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해역이나 용승이 활발한 시기에 어자원이 풍부해진다.

기술원 고유기능 발전과의 연관성

연구개발의 목표

연차별 연구개발 세부목표 및 내용

생태 모델을 개선하기 위해 기능 그룹에 집중하여 생태 모델의 구조를 개선합니다. 생태 모델에 필요한 생리적 매개변수 측정을 위한 터비도스탯의 설계 및 구축. 재분석 데이터에서 재생산된 혼합층 해양의 비교.

발트해 남동부 생태계 변화 메커니즘에 대한 가설 수립. 물리적 생태계 연계 모델을 이용한 표영 생태계의 계절적 변화 메커니즘 규명. 물리적 생태계의 노드 모델에 공급되는 생리적 매개변수의 축적.

연구 추진계획 및 수행 방법

재분석 데이터에서 렌더링된 해양 혼합 레이어. 따라서 본 절에서는 발트해 서남부 생태계 장기자료를 생산 분석하여 발트해 생물자원의 변화 및 예측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명도(Secchi depth, m)와 클로로필a 농도(Chlorophyll-a , mg m-3).

발트해 남동부 지역의 정확한 생태계 변동 시기를 검증하기 위해 장기 엽록소-a 자료에 순차적 T-검정을 적용하였다(Rodinov, 2005). a)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엽록소 a 농도의 시계열 및 (b) 엽록소 a 농도에 대해 STARS에 의해 추정된 정권 이동 지수. NCEP/NCAR(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의 월별 데이터는 동서풍장 데이터에 사용되었습니다. 월별 NCEP/NCAR 재분석 데이터는 해수면 기압 데이터에 사용되었습니다.

동물플랑크톤은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자료를 적용하였다. 표면 수온은 JPL(Jet Propulsion Laboratory/Caltech)의 PO.DAAC(Physical Oceanography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의 NOAA AVHRR(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Level-3 데이터에서 얻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와편모류와 석회조류의 생장률이 규조류에 비해 낮았다.

혼합층의 깊이는 열유속과 바람응력뿐만 아니라 대마초 난류의 수평 열이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1D GOTM의 ​​경우 열유속과 바람응력만 고려된다.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등)의 시계열 자료를 살펴본 결과, 관측값과 달리 영양분과 식물플랑크톤의 수직적 혼합을 제대로 모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울릉분지의 경우 하천유량이 크지 않아 수온자료만을 이용하여 혼합층 깊이를 산정하였다. 수심 데이터는 NGDC(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ETOPO5를 사용하였다.

NGDC(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의 ETOPO5가 수심 측정 데이터에 사용되었습니다. 실험 남쪽 경계(대한해협에 해당)의 영양상태는 World Ocean Atal의 2009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유기세포 조건은 SeaWiFS 엽록소-a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엽록소-a 데이터는 사용된 a 대 a의 비율을 사용하여 변환되었습니다. 실험 실험 1) 계절적 변화에 따른 영양소 수송. 재분석된 해양자료를 이용하여 동해안의 혼합층 변동성과 동해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물리적 요인 중 하나인 관련 엽록소 변동성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eaWiFS 위성자료로부터 추정된 동해안 전역의 1차 생산량 변화를 분석하여 기후요인이 생태계 변동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발생하는 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탁도조절장치 및 배양장치를 제작하고 생리학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Fig.  3.1.1.1.  Mean  sea  surface  temperature  averaged  on  January  and  February  from  2004  to  2011
Fig. 3.1.1.1. Mean sea surface temperature averaged on January and February from 2004 to 2011

Gambar

Fig.  3.1.1.1.  Mean  sea  surface  temperature  averaged  on  January  and  February  from  2004  to  2011
Fig.  3.1.2.1.  Seasonal  distribution  of  mixed  layer  depth  (m)  of  East  Sea  calculated  using  Argo  profiling  float  from  March  1999  to  April  2011
Table  3.1.2.1.  Mixed  layer  depth  (m)  for  each  season  of  North  and  South  of  East  Sea
Fig.  3.1.3.2.  Mixed  layer  depth  (m)  and  Chlorophyll- a   (mgC  m -3 )  in  Ulleung  basin
+7

Referensi

Dokumen terkait

국내 연구개발 현황 및 능력분석 □ 해상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상태 및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관련 기술에 관해서는 한국기계연구원을 중심으로 소규모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외국에 비하여 수 준 및 완성도가 높지 않음 □ 그러나 USN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센서 기술, 안전관리 네트워크 등에 대한 연구가 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