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kor codebook 20130009 cv - Seoul National Univer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kor codebook 20130009 cv -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ied!
12
0
0

Teks penuh

(1)

CODE BOOK

자료번호 A1-2013-0009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3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5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5년

(2)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3. 세대 인식에 관한 조사 , 2013 . 연구수행기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5 년 . 자료번호 : A1-2013-0009.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5. 세대 인식에 관한 조사, 2013 CODE BOOK . pp.

1-10.

주의사항

이 코드북의 빈도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것임 .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date 설문응답일시

==> 데이터 참조

q1 응답자 연령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2 544 6.9 6.9

30대 3 1,605 20.3 20.3

40대 4 1,550 19.6 19.6

50대 5 2,072 26.2 26.2

60대 6 2,135 27.0 27.0

7,906

100.0 100.0

q2 [40/50/60대] 2030세대(20대, 30대)의 이미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기력하다 1 1,624 20.5 20.5

경솔하다 2 2,547 32.2 32.2

진취적이다 3 2,584 32.7 32.7

창의적이다 4 1,151 14.6 14.6

7,906

100.0 100.0

q3 [40/50/60대] 2030세대의 정치 성향에 대한 생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진보 1 2,272 28.7 28.7

약간 진보 2 3,838 48.5 48.5

중도 3 1,245 15.7 15.7

약간 보수 4 418 5.3 5.3

보수 5 133 1.7 1.7

7,906

100.0 100.0

1. 귀하의 연령대는 어떻게 되십니까?

2. (405060에게 질문) 귀하가 생각하는 2030세대(20대, 30대)의 이미지는 어떻습니까?

3. (405060에게 질문) 귀하가 생각하는 2030세대의 정치 성향은 어느 쪽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4)

q4 [40/50/60대] 2030세대의 미래에 대한 생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희망적이다 1 242 3.1 3.1

대체로 희망적이다 2 4,641 58.7 58.7

대체로 비관적이다 3 2,778 35.1 35.1

매우 비관적이다 4 246 3.1 3.1

7,906

100.0 100.0

q5 [20/30/40대] 5060세대(50대, 60대)의 이미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답답하다 1 2,487 31.5 31.5

위선적이다 2 1,787 22.6 22.6

지혜롭다 3 660 8.3 8.3

성실하다 4 2,972 37.6 37.6

무응답 9 1 0.0 0.0

7,906

100.0 100.0

q6 [20/30/40대] 5060세대의 정치 성향에 대한 생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진보 1 79 1.0 1.0

약간 진보 2 376 4.8 4.8

중도 3 827 10.5 10.5

약간 보수 4 3,656 46.2 46.2

보수 5 2,967 37.5 37.5

무응답 9 2 0.0 0.0

7,906

100.0 100.0

4. (405060에게 질문) 2030세대의 미래를 어떻게 보십니까?

5. (203040에게 질문) 귀하가 생각하는 5060세대(50대, 60대)의 이미지는 어떻습니까?

6. (203040에게 질문) 귀하가 생각하는 5060세대의 정치 성향은 어느 쪽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5)

q7 자신의 연령대의 의견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친다 1 1,071 13.5 13.5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2 4,582 58.0 58.0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3 2,146 27.1 27.1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4 106 1.3 1.3

무응답 9 2 0.0 0.0

7,906

100.0 100.0

q8 평소 세대차이, 혹은 세대갈등을 느끼는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많이 느낀다 1 1,474 18.6 18.6

어느 정도 느낀다 2 5,398 68.3 68.3

별로 느끼지 않는다 3 1,027 13.0 13.0

전혀 느끼지 않는다 4 6 0.1 0.1

무응답 9 2 0.0 0.0

7,906

100.0 100.0

q9 세대간 의견 충돌이 있을 때 행동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끝까지 설득한다 1 264 3.3 3.3

서로의 주장을 조금씩 받아들인다 2 4,665 59.0 59.0

어느 정도 주장하다가 포기한다 3 2,665 33.7 33.7

무시한다 4 293 3.7 3.7

무응답 9 20 0.3 0.3

7,906

100.0 100.0

7. 귀하의 연령대의 의견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8. 평소 세대차이, 혹은 세대갈등을 얼마나 느끼십니까?

9. 세대간 의견 충돌이 있을 때 어떻게 하십니까?

(6)

q10 우리 사회에서“개천에서 용 난다”가 가능한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가능하다 1 2,893 36.6 36.6

불가능하다 2 4,993 63.2 63.2

무응답 9 20 0.3 0.3

7,906

100.0 100.0

q11 우리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경제 성장 1 2,368 30.0 30.0

복지 2 1,892 23.9 23.9

안보 3 1,022 12.9 12.9

사회 통합 4 2,591 32.8 32.8

무응답 9 33 0.4 0.4

7,906

100.0 100.0

q12 귀하는 정년 연장에 대한 생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청년 일자리가 줄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1 1,413 17.9 17.9 노후 복지가 미비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2 5,824 73.7 73.7

잘 모르겠다 3 635 8.0 8.0

무응답 9 33 0.4 0.4

7,906

100.0 100.0

10. 우리 사회에서“개천에서 용 난다”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1. 우리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2. 귀하는 정년 연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q13 18대 정부의 복지정책 중 가장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대 중증질환 전액 국가부담 1 2,266 28.7 28.7

노인 기초연금제 2 2,241 28.3 28.3

대학 반값 등록금 3 1,613 20.4 20.4

양육비 지원 4 1,752 22.2 22.2

무응답 9 34 0.4 0.4

7,906

100.0 100.0

q14 복지를 늘리기 위한 예산 마련을 위해 세금을 더 징수해야 한다면 선호하는 방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세금을 더 내더라도 복지를 늘려야 한다 1 4,180 52.9 52.9 세금을 더 내야 한다면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이 낫

다 2 3,692 46.7 46.7

무응답 9 34 0.4 0.4

7,906

100.0 100.0

q15 국가 이익을 위해서 개인의 이익을 희생할 수 있는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절대 희생해서는 안 된다 1 362 4.6 4.6

웬만해서는 희생해서는 안 된다 2 3,625 45.9 45.9

웬만하면 희생해야 한다 3 3,790 47.9 47.9

무조건 희생해야 한다 4 95 1.2 1.2

무응답 9 34 0.4 0.4

7,906

100.0 100.0

13. 18대 정부의 복지정책 중 가장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책은?

14. 복지를 늘리기 위한 예산 마련을 위해 세금을 더 징수해야 한다면 다음 중 어떤 방식을 선호하십니까?

15. 국가 이익을 위해서 개인의 이익을 얼마나 희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8)

q16 북 핵개발이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는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위협이 된다 1 2,737 34.6 34.6

어느 정도 위협이 된다 2 3,604 45.6 45.6

별로 위협이 되지 않는다 3 1,323 16.7 16.7

전혀 위협이 되지 않는다 4 209 2.6 2.6

무응답 9 34 0.4 0.4

7,906

100.0 100.0

q17 자신의 정치성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진보 1 483 6.1 6.1

약간 진보 2 2,384 30.2 30.2

중도 3 2,556 32.3 32.3

약간 보수 4 1,884 23.8 23.8

보수 5 565 7.1 7.1

무응답 9 34 0.4 0.4

7,906

100.0 100.0

q18 지난 1년간 국가 브랜드 상승에 가장 큰 영향력을 준 사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싸이 열풍 1 3,972 50.2 50.2

반기문 UN사무총장 연임 2 1,483 18.8 18.8

스마트폰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3 2,417 30.6 30.6

무응답 9 34 0.4 0.4

7,906

100.0 100.0

16. 북 핵개발이 얼마나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7. 귀하의 정치성향은 어느 쪽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8. 지난 1년간 국가 브랜드 상승에 가장 큰 영향력을 준 사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9)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4,622 58.5 58.5

여 2 3,284 41.5 41.5

7,906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5-19세 3 3 0.0 0.0

20대 4 572 7.2 7.2

30대 5 1,608 20.3 20.3

40대 6 1,531 19.4 19.4

50대 7 2,086 26.4 26.4

60대 이상 8 2,107 26.7 26.7

7,906

100.0 100.0

education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등학교 재학 1 21 0.3 0.3

초등학교 졸업 2 458 5.8 5.8

중학교 재학 3 45 0.6 0.6

중학교 졸업 4 1,103 14.0 14.0

고등학교 재학 5 19 0.2 0.2

고등학교 졸업 6 3,237 40.9 40.9

대학(전문대) 재학 7 75 0.9 0.9

대학(전문대) 졸업 8 505 6.4 6.4

대학(4년제) 재학 9 290 3.7 3.7

대학(4년제) 졸업 10 1,456 18.4 18.4

대학원 석사 재학 11 42 0.5 0.5

대학원 석사 졸업 12 344 4.4 4.4

대학원 박사 재학 13 19 0.2 0.2

대학원 박사 졸업 14 45 0.6 0.6

무응답 99 248 3.1 3.1

7,906

100.0 100.0

(10)

occupation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원 1 1,692 21.4 21.4

자영업 2 764 9.7 9.7

대학생 6 256 3.2 3.2

대학원생 7 14 0.2 0.2

전업주부 8 1,217 15.4 15.4

공무원 9 123 1.6 1.6

교직자 10 126 1.6 1.6

전문직 11 333 4.2 4.2

의료인 12 61 0.8 0.8

법조인 13 1 0.0 0.0

종교인 14 50 0.6 0.6

언론인 15 23 0.3 0.3

농/축/수산/임업 16 303 3.8 3.8

금융/증권/보험 17 94 1.2 1.2

유통 18 112 1.4 1.4

정보통신 19 35 0.4 0.4

건설 20 74 0.9 0.9

제조 21 156 2.0 2.0

서비스 22 376 4.8 4.8

스포츠 23 1 0.0 0.0

군인 24 5 0.1 0.1

방송인 25 14 0.2 0.2

예술가 26 142 1.8 1.8

부동산 27 76 1.0 1.0

운송 28 157 2.0 2.0

일용직 29 222 2.8 2.8

무직 30 685 8.7 8.7

무응답 99 797 10.1 10.1

7,906

100.0 100.0

(11)

income1 월평균 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582 7.4 7.4

0~100만원 미만 1 773 9.8 9.8

100~200만원 미만 2 1,389 17.6 17.6

200~300만원 미만 3 1,706 21.6 21.6

300~400만원 미만 4 1,257 15.9 15.9

400~500만원 미만 5 990 12.5 12.5

500~600만원 미만 6 519 6.6 6.6

600~700만원 미만 7 234 3.0 3.0

700~800만원 미만 8 108 1.4 1.4

800만원 이상 9 349 4.4 4.4

7,906

100.0 100.0

income2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058 13.4 13.4

100-150만원 미만 100 793 10.0 10.0

150-200만원 미만 150 992 12.6 12.6

200-300만원 미만 200 1,893 23.9 23.9

300-500만원 미만 300 1,953 24.7 24.7

500-800만원 미만 500 842 10.7 10.7

800-1000만원 미만 800 213 2.7 2.7

1000만원 이상 1000 162 2.0 2.0

7,906

100.0 100.0

area1 출생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1,593 20.1 20.1

부산 2 553 7.0 7.0

인천 3 326 4.1 4.1

대구 4 136 1.7 1.7

광주 5 138 1.7 1.7

대전 6 160 2.0 2.0

울산 7 60 0.8 0.8

(12)

충북 10 449 5.7 5.7

충남 11 555 7.0 7.0

전북 12 601 7.6 7.6

전남 13 739 9.3 9.3

경북 14 866 11.0 11.0

경남 15 495 6.3 6.3

제주 16 16 0.2 0.2

무응답 99 53 0.7 0.7

7,906

100.0 100.0

area2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1,999 25.3 25.3

부산 2 561 7.1 7.1

인천 3 279 3.5 3.5

대구 4 418 5.3 5.3

광주 5 125 1.6 1.6

대전 6 180 2.3 2.3

울산 7 218 2.8 2.8

경기 8 1,581 20.0 20.0

강원 9 263 3.3 3.3

충북 10 235 3.0 3.0

충남 11 288 3.6 3.6

전북 12 234 3.0 3.0

전남 13 480 6.1 6.1

경북 14 582 7.4 7.4

경남 15 393 5.0 5.0

제주 16 31 0.4 0.4

무응답 99 40 0.5 0.5

7,906

100.0 1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