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 2011
CODE BOOK
자료번호 A1-2011-0071
연구책임자 강민희
연구수행기관 한국장애인개발원
조사년도 2011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3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3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강민희 . 2011.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 2011 . 연 구수행기관 : 한국장애인개발원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 년도 : 2013 년 . 자료번호 : A1-2011-0071.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3.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
사 , 2011 CODE BOOK . pp. 1-55.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bq1
조사지역_시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26 10.6 10.6
부산 2 17 6.9 6.9
대구 3 9 3.7 3.7
인천 4 11 4.5 4.5
광주 5 6 2.4 2.4
대전 6 6 2.4 2.4
울산 7 6 2.4 2.4
경기 8 32 13.0 13.0
강원 9 19 7.7 7.7
충북 10 13 5.3 5.3
충남 11 17 6.9 6.9
전북 12 15 6.1 6.1
전남 13 23 9.3 9.3
경북 14 24 9.8 9.8
경남 15 19 7.7 7.7
제주 16 3 1.2 1.2
246 100.0 100.0
bq2_1
직급_직 (오픈문항)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간호 2 .8 .9
기능직 8 3.3 3.8
보건 2 .8 .9
사회복지 129 52.4 60.6
행정 72 29.3 33.8
무응답 33 13.4
246 100.0 100.0 일반적 사항 - 1. 지 역
일반적 사항 - 2. 직 급
bq2_2
직급_급 (오픈문항)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 급 20 8.1 9.3
7 급 89 36.2 41.4
8 급 80 32.5 37.2
9 급 26 10.6 12.1
무응답 31 12.6
246 100.0 100.0
bq3_1
부서_과==> 데이터 참조
bq3_2
부터_팀==> 데이터 참조
bq4
담당업무==> 데이터 참조
bq5
경력기간(년)==> 데이터와 아래 범주화 변수 참조
bq6
경력기간(개월)==> 데이터와 아래 범주화 변수 참조
bq5_6_re
경력기간(범주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년 미만 1 34 13.8 15.7
3년 이상~5년 미만 2 20 8.1 9.3
5년 이상~7년 미만 3 43 17.5 19.9
7년 이상~10년 미만 4 25 10.2 11.6
10년 이상 5 94 38.2 43.5
무응답 999 30 12.2
일반적 사항 - 3. 부 서
일반적 사항 - 4.담당업무
일반적 사항 - 5. 업무경력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34 54.5 58.8
아니오 2 94 38.2 41.2
무응답 999 18 7.3
246 100.0 100.0
a1_1_1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독거180(월)값
유효합계 99
최소값 0
최대값 248
평균 12.23
표준편차 29.188
a1_1_2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독거180(연)값
유효합계 88
최소값 0
최대값 3174
평균 135.81
표준편차 365.079
a1_1_3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독거120(월)값
유효합계 108
최소값 0
최대값 210
평균 10.41
표준편차 25.48
1. 현재 귀 시(구)에서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을 하고 계십니까?
1-1 귀 시(구)의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는 얼마입니까?
(2010년 1월 〜 2011년 5월 기준)
a1_1_4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독거120(연)값
유효합계 98
최소값 0
최대값 4250
평균 123.11
표준편차 447.806
a1_1_5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1등급(월)값
유효합계 121
최소값 1
최대값 2205
평균 81.43
표준편차 222.138
a1_1_6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1등급(연)값
유효합계 109
최소값 3
최대값 44303
평균 1101.02
표준편차 4467.485
a1_1_7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2등급(월)값
유효합계 120
최소값 0
최대값 1281
평균 41.37
표준편차 122.733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_1_8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2등급(연)값
유효합계 107
최소값 0
최대값 26990
평균 580.35
표준편차 2637.89
a1_1_9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3등급(성인)(월)값
유효합계 120
최소값 1
최대값 670
평균 34.24
표준편차 70.079
a1_1_10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3등급(성인)(연)값
유효합계 106
최소값 1
최대값 11383
평균 420.17
표준편차 1196.923
a1_1_11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3등급(아동)(월)값
유효합계 113
최소값 1
최대값 2181
평균 67.11
표준편차 214.103
a1_1_12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3등급(아동)(연)값
유효합계 99
최소값 1
최대값 9216
평균 554.84
표준편차 1092.017
a1_1_13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4등급(성인)(월)값
유효합계 118
최소값 0
최대값 128
평균 11.36
표준편차 19.68
a1_1_14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4등급(성인)(연)값
유효합계 105
최소값 0
최대값 2347
평균 121.51
표준편차 285.955
a1_1_15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4등급(아동)(월)값
유효합계 104
최소값 0
최대값 193
평균 10.65
표준편차 23.087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_1_16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4등급(아동)(연)값
유효합계 88
최소값 0
최대값 8036
평균 182.49
표준편차 869.074
a1_1_17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기타1(등급)==> 데이터 없음
a1_1_18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기타1(월)값
유효합계 10
최소값 0
최대값 6
평균 1.6
표준편차 1.647
a1_1_19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기타1(연)값
유효합계 8
최소값 0
최대값 15
평균 7.88
표준편차 6.128
a1_1_20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기타2(등급)==> 데이터 없음
a1_1_21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기타2(월)값
유효합계 1
최소값 22
최대값 22
평균 22
표준편차 0
a1_1_22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기타2(연)==> 데이터 없음
a1_1_23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월)값
유효합계 91
최소값 2
최대값 7144
평균 279.34
표준편차 781.849
a1_1_24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국고지원)-(연)값
유효합계 82
최소값 2
최대값 101498
평균 3632.95
표준편차 12060.831
a1_2_1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독거180(월)값
유효합계 62
최소값 0
최대값 139
평균 9.58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_2_2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독거180(연)값
유효합계 55
최소값 0
최대값 680
평균 64.71
표준편차 105.505
a1_2_3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독거120(월)값
유효합계 67
최소값 0
최대값 91
평균 7.49
표준편차 15.268
a1_2_4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독거120(연)값
유효합계 59
최소값 0
최대값 288
평균 55.49
표준편차 76.351
a1_2_5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1등급(월)값
유효합계 106
최소값 1
최대값 975
평균 36.9
표준편차 106.751
a1_2_6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1등급(연)값
유효합계 93
최소값 1
최대값 4380
평균 271.77
표준편차 632.765
a1_2_7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2등급(월)값
유효합계 49
최소값 0
최대값 80
평균 12.22
표준편차 16.491
a1_2_8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2등급(연)값
유효합계 46
최소값 0
최대값 561
평균 110.02
표준편차 156.926
a1_2_9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3등급(성인)(월)값
유효합계 44
최소값 0
최대값 48
평균 10.07
표준편차 13.26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_2_10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3등급(성인)(연)값
유효합계 40
최소값 0
최대값 576
평균 84.48
표준편차 134.71
a1_2_11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3등급(아동)(월)값
유효합계 55
최소값 1
최대값 338
평균 22.53
표준편차 48.167
a1_2_12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3등급(아동)(연)값
유효합계 52
최소값 1
최대값 1068
평균 125.83
표준편차 185.905
a1_2_13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4등급(성인)(월)값
유효합계 37
최소값 0
최대값 113
평균 7.78
표준편차 19.118
a1_2_14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4등급(성인)(연)값
유효합계 31
최소값 0
최대값 238
평균 31.32
표준편차 45.89
a1_2_15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4등급(아동)(월)값
유효합계 30
최소값 0
최대값 20
평균 3.83
표준편차 5.2
a1_2_16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4등급(아동)(연)값
유효합계 27
최소값 0
최대값 240
평균 32.07
표준편차 51.658
a1_2_17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1(등급)값
유효합계 1
최소값 10
최대값 10
평균 10
표준편차 0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_2_18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1(월)값
유효합계 22
최소값 1
최대값 61
평균 15.68
표준편차 18.274
a1_2_19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1(연)값
유효합계 20
최소값 1
최대값 636
평균 116.7
표준편차 186.421
a1_2_20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2(등급)==> 데이터 없음
a1_2_21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2(월)값
유효합계 10
최소값 1
최대값 168
평균 22
표준편차 51.721
a1_2_22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2(연)값
유효합계 8
최소값 1
최대값 132
평균 34.88
표준편차 42.3
a1_2_23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3(등급)==> 데이터 없음
a1_2_24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3(월)값
유효합계 5
최소값 2
최대값 50
평균 14.4
표준편차 20.12
a1_2_25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3(연)값
유효합계 4
최소값 34
최대값 120
평균 76
표준편차 41.473
a1_2_26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4(등급)==> 데이터 없음
a1_2_27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4(월)값
유효합계 2
최소값 5
최대값 62
평균 33.5
표준편차 40.305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_2_28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기타4(연)값
유효합계 2
최소값 60
최대값 310
평균 185
표준편차 176.777
a1_2_29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월)값
유효합계 86
최소값 2
최대값 1543
평균 68.26
표준편차 172.865
a1_2_30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수(지자체)-(연)값
유효합계 80
최소값 2
최대값 3816
평균 486.61
표준편차 784.374
a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사업기간(개월)==> 데이터와 아래 범주화 변수 참조
a2_re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사업기간(범주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년 미만 1 31 12.6 13.5
1년 이상 2년 미만 2 37 15.0 16.1
2년 이상 3년 미만 3 19 7.7 8.3
3년 이상 4년 미만 4 17 6.9 7.4
4년 이상 5 126 51.2 54.8
무응답 999 16 6.5
246 100.0 100.0
a2_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최초사업시작(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97 년 1997 1 .4 .9
2004 년 2004 1 .4 .9
2006 년 2006 6 2.4 5.2
2007 년 2007 24 9.8 20.9
2008 년 2008 27 11.0 23.5
2009 년 2009 18 7.3 15.7
2010 년 2010 14 5.7 12.2
2011 년 2011 23 9.3 20.0
2012 년 2012 1 .4 .9
무응답 999 131 53.3
246 100.0 100.0
a2_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최초사업시작(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월 1 20 8.1 18.5
2 월 2 8 3.3 7.4
3 월 3 9 3.7 8.3
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사업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5 월 5 11 4.5 10.2
6 월 6 3 1.2 2.8
7 월 7 14 5.7 13.0
8 월 8 6 2.4 5.6
9 월 9 3 1.2 2.8
10 월 10 15 6.1 13.9
11 월 11 6 2.4 5.6
무응답 999 138 56.1
246 100.0 100.0
a3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추가지원 소요예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액 시,도비 1 36 14.6 27.3
전액 시, 군, 구비 2 32 13.0 24.2
시, 도 및 시, 군, 구 매칭 3 58 23.6 43.9
기타 4 6 2.4 4.5
무응답 999 114 46.3
246 100.0 100.0
a3_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추가지원 소요예산: 시도및 시군구매칭(시도) 값유효합계 58
최소값 3
최대값 1013
평균 55.47
표준편차 129.107
a3_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추가지원 소요예산: 시도및시군구매칭(시군구) 값유효합계 56
최소값 5
최대값 1013
평균 75.59
표준편차 128.789
3. 귀 시(구)에서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소요예산을 어떻게 부담하고 계십니까?
(2010년 기준)
a4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총예산값
유효합계 130
최소값 0
최대값 53760
평균 716.56
표준편차 4807.376
a4_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총예산: 시도값
유효합계 126
최소값 0
최대값 53760
평균 633.5
표준편차 4874.992
a4_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총예산: 시군구값
유효합계 128
최소값 0
최대값 1548
평균 105.37
표준편차 212.786
a5
추가지원 실시 안할 경우 유사버시스 실시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 2.8 6.3
아니오 2 104 42.3 93.7
무응답 999 135 54.9
4.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연간 총예산은 얼마입니까? (2010년 기준)
5. 현재 귀 시(구)에서는 추가지원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면 대안적인 서비스(유사서비스등) 를 제공하고 계십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5_1
대안적인 유사서비스 명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오 2 2 .8 100.0
무응답 999 244 99.2
246 100.0 100.0
a6
지자체추가지원-특례180(최소)값
유효합계 78
최소값 0
최대값 4860
평균 109.79
표준편차 548.183
a6_1
지자체추가지원-특례180(최대)값
유효합계 78
최소값 0
최대값 4860
평균 127.88
표준편차 545.889
a6_2
지자체추가지원-특례180(총시간)값
유효합계 72
최소값 0
최대값 13140
평균 546.92
표준편차 1846.664
5-1. 어떤 대안적인 서비스(유사서비스등)를 시행하시고 계십니까?
6.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시간 및 등급은 어떻게 되십니까?
a6_3
지자체추가지원-특례120(최소)값
유효합계 78
최소값 0
최대값 1080
평균 54.36
표준편차 125.149
a6_4
지자체추가지원-특례120(최대)값
유효합계 78
최소값 1
최대값 1080
평균 73
표준편차 122.338
a6_5
지자체추가지원-특례120(총시간)값
유효합계 75
최소값 100
최대값 3480
평균 269.37
표준편차 499.945
a6_6
지자체추가지원-1등급(최소)값
유효합계 109
최소값 0
최대값 6400
평균 93.14
표준편차 612.557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6_7
지자체추가지원-1등급(최대)값
유효합계 111
최소값 10
최대값 6400
평균 114.3
표준편차 605.24
a6_8
지자체추가지원-1등급(총시간)값
유효합계 100
최소값 50
최대값 24155
평균 686.72
표준편차 3232.931
a6_9
지자체추가지원-2등급(최소)값
유효합계 53
최소값 0
최대값 160
평균 31.32
표준편차 32.767
a6_10
지자체추가지원-2등급(최대)값
유효합계 53
최소값 2
최대값 180
평균 46.3
표준편차 33.947
a6_11
지자체추가지원-2등급(총시간)값
유효합계 50
최소값 50
최대값 5520
평균 252.04
표준편차 772.493
a6_12
지자체추가지원-3등급(최소)값
유효합계 57
최소값 0
최대값 80
평균 25.25
표준편차 19.467
a6_13
지자체추가지원-3등급(최대)값
유효합계 57
최소값 7
최대값 140
평균 41.98
표준편차 28.225
a6_14
지자체추가지원-3등급(총시간)값
유효합계 55
최소값 40
최대값 3420
평균 213.05
표준편차 559.981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6_15
지자체추가지원-4등급(최소)값
유효합계 46
최소값 0
최대값 60
평균 19.91
표준편차 15.113
a6_16
지자체추가지원-4등급(최대)값
유효합계 46
최소값 4
최대값 100
평균 37.83
표준편차 26.385
a6_17
지자체추가지원-4등급(총시간)값
유효합계 45
최소값 30
최대값 640
평균 104.58
표준편차 98.876
a6_18
지자체추가지원-기타1(등급)==> 데이터 참조
a6_19
지자체추가지원-기타1(최소)값
유효합계 19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32.11
표준편차 22.256
a6_20
지자체추가지원-기타1(최대)값
유효합계 19
최소값 10
최대값 120
평균 45.16
표준편차 29.419
a6_21
지자체추가지원-기타1(총시간)값
유효합계 11
최소값 30
최대값 760
평균 172.55
표준편차 222.268
a6_22
지자체추가지원-기타2(등급)==> 데이터 참조
a6_23
지자체추가지원-기타2(최소)값
유효합계 9
최소값 20
최대값 60
평균 40
표준편차 16.583
a6_24
지자체추가지원-기타2(최대)값
유효합계 8
최소값 20
최대값 60
평균 41.25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6_25
지자체추가지원-기타2(총시간)값
유효합계 6
최소값 60
최대값 270
평균 123.33
표준편차 84.538
a6_26
지자체추가지원-기타3(등급)==> 데이터 참조
a6_27
지자체추가지원-기타3(최소)값
유효합계 3
최소값 20
최대값 40
평균 30
표준편차 10
a6_28
지자체추가지원-기타3(최대)값
유효합계 3
최소값 20
최대값 40
평균 30
표준편차 10
a6_29
지자체추가지원-기타3(총시간)값
유효합계 1
최소값 130
최대값 130
평균 130
표준편차 0
a6_30
지자체추가지원-기타4(등급)==> 데이터 참조
a6_31
지자체추가지원-기타4(최소)값
유효합계 3
최소값 20
최대값 200
평균 93.33
표준편차 94.516
a6_32
지자체추가지원-기타4(최대)값
유효합계 3
최소값 20
최대값 200
평균 93.33
표준편차 94.516
a6_33
지자체추가지원-기타4(총시간)값
유효합계 1
최소값 400
최대값 400
평균 400
표준편차 0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7_1
신청자격기준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유형에 따라 1 10 4.1 8.7
장애등급에 따라 2 37 15.0 32.2
소득수준에 따라 3 5 2.0 4.3
65세 이상자 중 노인요양급여에서 탈락한 장애인 4 1 .4 .9
부부장애인가구 5 3 1.2 2.6
독거장애인 6 11 4.5 9.6
국고지원 장애인 중 최중증 장애인 7 19 7.7 16.5
기타 8 29 11.8 25.2
무응답 999 131 53.3
246 100.0 100.0
a7_2
신청자격기준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유형에 따라 1 1 .4 2.3
장애등급에 따라 2 6 2.4 14.0
소득수준에 따라 3 3 1.2 7.0
부부장애인가구 5 4 1.6 9.3
독거장애인 6 13 5.3 30.2
국고지원 장애인 중 최중증 장애인 7 8 3.3 18.6
기타 8 8 3.3 18.6
무응답 999 204 82.9
246 100.0 100.0
a7_3
신청자격기준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라 2 1 .4 5.6
소득수준에 따라 3 2 .8 11.1
부부장애인가구 5 2 .8 11.1
독거장애인 6 5 2.0 27.8
국고지원 장애인 중 최중증 장애인 7 3 1.2 16.7
기타 8 5 2.0 27.8
무응답 999 228 92.7
246 100.0 100.0 7.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신청자격기준은 어떻게 되십니까?
a7_4
신청자격기준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독거장애인 6 1 .4 25.0
국고지원 장애인 중 최중증 장애인 7 2 .8 50.0
기타 8 1 .4 25.0
무응답 999 242 98.4
246 100.0 100.0
a7_etc
신청자격기준: 기타==> 데이터 참조
a7_5
신청자격기준(2-3개인경우)1==> 데이터 참조
a7_6
신청자격기준(2-3개인경우)2==> 데이터 참조
a7_7
신청자격기준(2-3개인경우)3==> 데이터 참조
a7_1_1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체장애 1 31 12.6 33.7
뇌병변장애 2 5 2.0 5.4
시각장애 3 1 .4 1.1
지적장애 6 2 .8 2.2
자폐성장애 8 1 .4 1.1
장애유형 모두 포함 16 48 19.5 52.2
기타 18 4 1.6 4.3
무응답 999 154 62.6
246 100.0 100.0 7-1.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대상 장애유형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7_1_2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뇌병변장애 2 27 11.0 79.4
시각장애 3 3 1.2 8.8
지적장애 6 1 .4 2.9
자폐성장애 8 2 .8 5.9
중복장애 17 1 .4 2.9
무응답 999 212 86.2
246 100.0 100.0
a7_1_3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시각장애 3 14 5.7 70.0
언어장애 5 1 .4 5.0
지적장애 6 4 1.6 20.0
자폐성장애 8 1 .4 5.0
무응답 999 226 91.9
246 100.0 100.0
a7_1_4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적장애 6 8 3.3 72.7
정신장애 7 1 .4 9.1
자폐성장애 8 2 .8 18.2
무응답 999 235 95.5
246 100.0 100.0
a7_1_5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신장애 7 2 .8 28.6
자폐성장애 8 4 1.6 57.1
신장장애 9 1 .4 14.3
무응답 999 239 97.2
246 100.0 100.0
a7_1_6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6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폐성장애 8 1 .4 50.0
신장장애 9 1 .4 50.0
무응답 999 244 99.2
246 100.0 100.0
a7_2_1
신청자격기준 장애등급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급 1 106 43.1 94.6
2급 2 5 2.0 4.5
4급 4 1 .4 .9
무응답 999 134 54.5
246 100.0 100.0
a7_2_2
신청자격기준 장애등급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급 2 35 14.2 89.7
3급 3 4 1.6 10.3
무응답 999 207 84.1
246 100.0 100.0
a7_2_3
신청자격기준 장애등급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급 3 10 4.1 100.0
무응답 999 236 95.9
246 100.0 100.0 7-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대상 장애등급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7_3_1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초생활수급자 1 35 14.2 35.4
차상위계층 2 3 1.2 3.0
전국가구평균소득 50%이하 3 2 .8 2.0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4 2 .8 2.0
전국가구평균소득 120%이하 5 2 .8 2.0
전국가구평균소득 150%이하 6 6 2.4 6.1
기타 7 49 19.9 49.5
무응답 999 147 59.8
246 100.0 100.0
a7_3_2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차상위계층 2 24 9.8 96.0
전국가구평균소득 50%이하 3 1 .4 4.0
무응답 999 221 89.8
246 100.0 100.0
a7_3_3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50%이하 3 7 2.8 70.0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4 1 .4 10.0
기타 7 2 .8 20.0
무응답 999 236 95.9
246 100.0 100.0
a7_3_4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4 3 1.2 75.0
전국가구평균소득 150%이하 6 1 .4 25.0
무응답 999 242 98.4
246 100.0 100.0 7-3.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대상 소득수준은?
a7_3_5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120%이하 5 3 1.2 100.0
무응답 999 243 98.8
246 100.0 100.0
a7_3_6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6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150%이하 6 3 1.2 100.0
무응답 999 243 98.8
246 100.0 100.0
a7_3_7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7==> 데이터 참조
a8_1
지자체추가지원-3등급(월)값
유효합계 85
최소값 3
최대값 564
평균 52.31
표준편차 74.164
a8_2
지자체추가지원-3등급(총)값
유효합계 77
최소값 30
최대값 8745
평균 269.1
표준편차 1042.956
8.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시간 및 등급은 얼마입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8_3
지자체추가지원-4등급(월)값
유효합계 53
최소값 10
최대값 140
평균 38.6
표준편차 30.014
a8_4
지자체추가지원-4등급(총)값
유효합계 52
최소값 10
최대값 690
평균 110.79
표준편차 145.513
a8_5
지자체추가지원-기타1(등급)==> 데이터 참조
a8_6
지자체추가지원-기타1(월)값
유효합계 33
최소값 10
최대값 120
평균 46.91
표준편차 29.796
a8_7
지자체추가지원-기타1(총)값
유효합계 23
최소값 20
최대값 260
평균 103.48
표준편차 73.15
a8_8
지자체추가지원-기타2(등급)==> 데이터 참조
a8_9
지자체추가지원-기타2(월)값
유효합계 12
최소값 10
최대값 70
평균 35.83
표준편차 16.765
a8_10
지자체추가지원-기타2(총)값
유효합계 9
최소값 40
최대값 220
평균 105.56
표준편차 57.903
a8_11
지자체추가지원-기타3(등급)==> 데이터 참조
a8_12
지자체추가지원-기타3(월)값
유효합계 4
최소값 20
최대값 70
평균 40
표준편차 21.602
a8_13
지자체추가지원-기타3(총)값
유효합계 3
최소값 30
최대값 370
평균 171.67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9_1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유형에 따라 1 17 6.9 18.5
장애등급에 따라 2 30 12.2 32.6
소득수준에 따라 3 2 .8 2.2
국고지원 장애인 중 최중증 장애인 4 19 7.7 20.7
기타 5 24 9.8 26.1
무응답 999 154 62.6
246 100.0 100.0
a9_2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라 2 6 2.4 60.0
소득수준에 따라 3 1 .4 10.0
국고지원 장애인 중 최중증 장애인 4 2 .8 20.0
기타 5 1 .4 10.0
무응답 999 236 95.9
246 100.0 100.0
a9_3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득수준에 따라 3 2 .8 50.0
기타 5 2 .8 50.0
무응답 999 242 98.0
246 100.0 100.0
a9_4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4==> 데이터 참조
a9_e_1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2-3개인 경우)1==> 데이터 참조
a9_e_2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2-3개인 경우)2==> 데이터 참조
a9_e_3
추가지원신청자격기준(2-3개인 경우)3==> 데이터 참조
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신청자격기준 어떻게 되십니까?
a9_1_1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체장애 1 18 7.3 23.1
뇌병변장애 2 5 2.0 6.4
시각장애 3 1 .4 1.3
지적장애 6 7 2.8 9.0
자폐성장애 8 1 .4 1.3
장애유형 모두 포함 16 44 17.9 56.4
기타 18 2 .8 2.6
무응답 999 168 68.3
246 100.0 100.0
a9_1_2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뇌병변장애 2 13 5.3 54.2
지적장애 6 5 2.0 20.8
자폐성장애 8 6 2.4 25.0
무응답 999 222 90.2
246 100.0 100.0
a9_1_3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시각장애 3 6 2.4 42.9
지적장애 6 5 2.0 35.7
정신장애 7 1 .4 7.1
자폐성장애 8 2 .8 14.3
무응답 999 232 94.3
246 100.0 100.0
a9_1_4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적장애 6 2 .8 28.6
자폐성장애 8 5 2.0 71.4
무응답 999 239 97.2
9-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대상 장애 유형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9_1_5
신청자격기준 장애유형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폐성장애 8 1 .4 50.0
중복장애 17 1 .4 50.0
무응답 999 244 99.2
246 100.0 100.0
a9_2_1
신청자격기준 장애등급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급 1 84 34.1 86.6
2급 2 10 4.1 10.3
3급 3 3 1.2 3.1
무응답 999 149 60.6
246 100.0 100.0
a9_2_2
신청자격기준 장애등급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급 2 27 11.0 90.0
3급 3 3 1.2 10.0
무응답 999 216 87.8
246 100.0 100.0
a9_2_3
신청자격기준 장애등급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급 3 9 3.7 100.0
무응답 999 237 96.3
246 100.0 100.0 9-2. 활동보조추가지원 대상 장애 등급은?
a9_3_1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초생활수급자 1 25 10.2 30.5
차상위계층 2 2 .8 2.4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4 3 1.2 3.7
전국가구평균소득 120%이하 5 3 1.2 3.7
전국가구평균소득 150%이하 6 6 2.4 7.3
기타 7 43 17.5 52.4
무응답 999 164 66.7
246 100.0 100.0
a9_3_2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차상위계층 2 15 6.1 78.9
전국가구평균소득 50%이하 3 3 1.2 15.8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4 1 .4 5.3
무응답 999 227 92.3
246 100.0 100.0
a9_3_3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50%이하 3 5 2.0 71.4
기타 7 2 .8 28.6
무응답 999 239 97.2
246 100.0 100.0
a9_3_4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100%이하 4 3 1.2 100.0
무응답 999 243 98.8
246 100.0 100.0 9-3. 활동보조추가지원 대상 소득 기준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9_3_5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120%이하 5 2 .8 100.0
무응답 999 244 99.2
246 100.0 100.0
a9_3_6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6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국가구평균소득 150%이하 6 2 .8 100.0
무응답 999 244 99.2
246 100.0 100.0
a9_3_7
신청자격기준 소득기준7: 기타==> 데이터 참조
a10
추가지원시 국고지원 인정조사표 적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6 30.9 57.1
일부적용 2 8 3.3 6.0
아니오 3 46 18.7 34.6
기타 4 3 1.2 2.3
무응답 999 113 45.9
246 100.0 100.0
a10_1
추가지원 기준==> 데이터 참조
a10_1_1
별도의 인정조사 기준==> 데이터 참조
10.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선정시 국고지원 활동보조서비스 인정조사표를 적용합니까?
10-1. 어떤 기준에 의해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을 하고 계십니까?
a11
추가지원관련조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8 3.3 6.2
아니오 2 122 49.6 93.8
무응답 999 116 47.2
246 100.0 100.0
a11_1
추가지원운영근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규칙 1 2 .8 1.7
내부지침 2 91 37.0 75.2
기타 3 28 11.4 23.1
무응답 999 125 50.8
246 100.0 100.0
a11_1_ete
추가지원운영근거: 기타==> 데이터 참조
a12
추가지원 판정 담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보건소 1 46 18.7 36.2
제공기관에 위임 2 14 5.7 11.0
기타 3 67 27.2 52.8
무응답 999 119 48.4
246 100.0 100.0
a12_etc
추가지원 판정 담당: 기타==> 데이터 참조
1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과 관련한 조례가 있습니까?
11-1. 어떤 근거에 의해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을 운영하고 계십니까?
1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대상자 선정을 위한 판정(인정조사 등)은 어디에서 담당합니 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3
별도의 추가지원기준활용의 어려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7 6.9 14.2
아니오 2 103 41.9 85.8
무응답 999 126 51.2
246 100.0 100.0
a13_etc
별도의 추가지원기준활용의 어려움 여부: 기타==> 데이터 참조
a14
별도의 인정기준표 적정성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83 33.7 77.6
아니오 2 24 9.8 22.4
무응답 999 139 56.5
246 100.0 100.0
a14_1
적정하지 않은 이유==> 데이터 참조
a15_1
추가지원인정등급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른 기존 평가 1 19 7.7 15.8
욕구조사 2 57 23.2 47.5
소득 및 자산조사 3 11 4.5 9.2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정도 4 26 10.6 21.7
기타 5 7 2.8 5.8
무응답 999 126 51.2
246 100.0 100.0 13. 별도의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기준을 활용하여 조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십니까?
13-1. 어떤 어려움이 있으신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십시오.
14. 현재 지자체에서 별도로 하는 인정조사기준표가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을 측정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4-1. 만일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5.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인정등급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a15_2
추가지원인정등급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욕구조사 2 1 .4 20.0
소득 및 자산조사 3 1 .4 20.0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정도 4 2 .8 40.0
기타 5 1 .4 20.0
무응답 999 241 98.0
246 100.0 100.0
a16_1
추가지원기 가장부족한 대상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최중증장애인 1 18 7.3 13.5
중복장애인 2 2 .8 1.5
독거장애인 3 9 3.7 6.8
중증장애인부부가구 4 15 6.1 11.3
직업활동 및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장애인 5 19 7.7 14.3
타인의 도움없이 일상생활이 어려운 장애인 6 48 19.5 36.1
장애아동 7 19 7.7 14.3
기타 8 3 1.2 2.3
무응답 999 113 45.9
246 100.0 100.0
a16_2
추가지원기 가장부족한 대상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독거장애인 3 2 .8 15.4
중증장애인부부가구 4 3 1.2 23.1
직업활동 및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장애인 5 1 .4 7.7
타인의 도움없이 일상생활이 어려운 장애인 6 2 .8 15.4
장애아동 7 4 1.6 30.8
기타 8 1 .4 7.7
무응답 999 233 94.7
246 100.0 100.0 17.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이 가장 부족한 대상은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16_3
추가지원기 가장부족한 대상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타인의 도움없이 일상생활이 어려운 장애인 6 3 1.2 100.0
무응답 999 243 98.8
246 100.0 100.0
a17_1
추가지원 제시간 결정을 위한 최우선적 고려사항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른 기존평가 1 21 8.5 16.0
욕구조사 2 71 28.9 54.2
소득 및 자산조사 3 8 3.3 6.1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정도 4 29 11.8 22.1
기타 5 2 .8 1.5
무응답 999 115 46.7
246 100.0 100.0
a17_2
추가지원 제시간 결정을 위한 최우선적 고려사항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욕구조사 2 1 .4 33.3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정도 4 1 .4 33.3
기타 5 1 .4 33.3
무응답 999 243 98.8
246 100.0 100.0
a18_1
추가지원대상자 조사 및 관리 담당자 별도 존재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3 5.3 9.8
아니오 2 119 48.4 90.2
무응답 999 114 46.3
246 100.0 100.0 18.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제공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조 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대상자를 조사 및 관리하는 담당자가 별도로 있습니까?
a18_2
추가지원 담당인력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7 2.8 70.0
2명 2 3 1.2 30.0
무응답 999 236 95.9
246 100.0 100.0
a18_3
추가지원대상자 관리를 위한 전담인력 필요성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83 33.7 69.2
아니오 2 37 15.0 30.8
무응답 999 126 51.2
246 100.0 100.0
a19
추가지원서비스 내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동일 1 129 52.4 95.6
국고지원과 다름 2 6 2.4 4.4
무응답 999 111 45.1
246 100.0 100.0
a19_1
추가지원서비스 내용: 기타==> 데이터 참조
a20
추가지원 시간당 단가 국고지원과 동일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동일 1 125 50.8 91.9
국고지원과 다름 2 11 4.5 8.1
무응답 999 110 44.7
19-1. 현재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대상자를 조사체계를 유지한다면 전담인력이 필요하다 고 생각하십니까?
20.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서비스 내용은 무엇입니까?
20-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서비스의 내용이 다른 사항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 십시오.
2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시간당 단가는 국고지원과 동일하게 적용합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20_1
추가지원 시간당 단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천원 2 1 .4 1.0
6천원 6 3 1.2 3.1
6.6천원 6.6 3 1.2 3.1
7천원 7 2 .8 2.1
7.5천원 7.5 1 .4 1.0
8천원 8 86 35.0 89.6
무응답 999 150 61.0
246 100.0 100.0
a21
국고지원과 예산집행 바우처방식 동일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6 14.6 27.3
아니오 2 96 39.0 72.7
무응답 999 114 46.3
246 100.0 100.0
a21_1
예산집행방식==> 데이터 참조
a22
어려운 점==> 데이터 참조
a23
개선방안==> 데이터 참조
21-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시간당 단가는 얼마입니까?
2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은 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동일하게 바우처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습니까?
22-1. 예산짐행이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고 계십니까?
23. 별도의 예산집행방식으로 운영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24. 별도의 예산집행에 따른 개선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24
이용자가 서비스이용을 안 할 경우 시간에 대한 미사용분의 이월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동일 1 32 13.0 23.5
국고지원과 다름 2 104 42.3 76.5
무응답 999 110 44.7
246 100.0 100.0
a25
추가지원 활동보조인 자격 기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동일 1 133 54.1 98.5
국고지원과 다름 2 2 .8 1.5
무응답 999 111 45.1
246 100.0 100.0
a26
추가지원 서비스 제공기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동일 1 127 51.6 95.5
국고지원과 다름 2 3 1.2 2.3
기타 3 3 1.2 2.3
무응답 999 113 45.9
246 100.0 100.0
a26_1
추가지원 서비스 제공기관==> 데이터 참조
a26_2
별도 지정 이유==> 데이터 참조
25. 서비스 이용을 안할 경우 시간에 대한 미사용분의 이월유무는 어떻게 됩니까?
26. 활동 보조서비스 추가지원 활동보조인 자격기준은 어떻게 됩니까?
27.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은 ?
27-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서비스제공기관을 별도로 지정하셨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 라고 생각하십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27
추가지원 제공기관의 수수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동일 1 105 42.7 86.8
국고지원과 다름 2 16 6.5 13.2
무응답 999 125 50.8
246 100.0 100.0
a27_1
다른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제공기관의 수수료(천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9 3.7 15.0
1천원 1 1 .4 1.7
1.2천원 1.2 1 .4 1.7
1.5천원 1.5 2 .8 3.3
2천원 2 29 11.8 48.3
5천원 5 2 .8 3.3
7.5천원 7.5 2 .8 3.3
8천원 8 14 5.7 23.3
무응답 999 186 75.6
246 100.0 100.0
a28_1
추가지원 문제점_운영예산부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8 3.3 5.6
그렇다 2 29 11.8 20.1
그렇지 않다 3 52 21.1 36.1
전혀 그렇지 않다 4 52 21.1 36.1
모르겠다 5 3 1.2 2.1
무응답 999 102 41.5
246 100.0 100.0 28.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시 제공기관의 수수료는?
28-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제공기관의 수수료는 얼마입니까?
29. 다음은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입니다.
29-1. 운영예산부족
a28_2
추가지원 문제점_담당인력부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 2.4 4.1
그렇다 2 30 12.2 20.7
그렇지 않다 3 56 22.8 38.6
전혀 그렇지 않다 4 49 19.9 33.8
모르겠다 5 4 1.6 2.8
무응답 999 101 41.1
246 100.0 100.0
a28_3
추가지원 문제점_별도관리운영의 어려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4 1.6 2.8
그렇다 2 19 7.7 13.1
그렇지 않다 3 72 29.3 49.7
전혀 그렇지 않다 4 47 19.1 32.4
모르겠다 5 3 1.2 2.1
무응답 999 101 41.1
246 100.0 100.0
a28_4
추가지원 문제점_별도의 인정조사기준적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4 5.7 10.2
그렇다 2 33 13.4 24.1
그렇지 않다 3 59 24.0 43.1
전혀 그렇지 않다 4 30 12.2 21.9
모르겠다 5 1 .4 .7
무응답 999 109 44.3
246 100.0 100.0 29. 다음은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입니다.
29-2. 담당인력부족
29. 다음은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입니다.
29-3 별도의 관리상의 어려움
29. 다음은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입니다.
25-5 별도의 인정조사기준적용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29_1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산 확보의 어려움 1 71 28.9 48.0
지자체간 추가지원 시간의 차이 2 17 6.9 11.5
국고지원과 다른 별도의 대상자 선정기준 적용으
로 인한 형평성 3 22 8.9 14.9
전자바우처시스템과 다른 별도의 운영체계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4 22 8.9 14.9
추가지원에 따른 업무량 과중 및 인력 부족 5 10 4.1 6.8
지침 등 법적 근거 미비 6 2 .8 1.4
기타 7 4 1.6 2.7
무응답 999 98 39.8
246 100.0 100.0
a29_2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산 확보의 어려움 1 1 .4 1.1
지자체간 추가지원 시간의 차이 2 23 9.3 26.1
국고지원과 다른 별도의 대상자 선정기준 적용으
로 인한 형평성 3 18 7.3 20.5
전자바우처시스템과 다른 별도의 운영체계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4 21 8.5 23.9
추가지원에 따른 업무량 과중 및 인력 부족 5 15 6.1 17.0
지침 등 법적 근거 미비 6 8 3.3 9.1
기타 7 2 .8 2.3
무응답 999 158 64.2
246 100.0 100.0
a29_3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다른 별도의 대상자 선정기준 적용으
로 인한 형평성 3 9 3.7 22.5
전자바우처시스템과 다른 별도의 운영체계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4 16 6.5 40.0
추가지원에 따른 업무량 과중 및 인력 부족 5 10 4.1 25.0
지침 등 법적 근거 미비 6 5 2.0 12.5
무응답 999 206 83.7
246 100.0 100.0 26.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29_4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자바우처시스템과 다른 별도의 운영체계로 인한 4 7 2.8 35.0
추가지원에 따른 업무량 과중 및 인력 부족 5 7 2.8 35.0
지침 등 법적 근거 미비 6 5 2.0 25.0
기타 7 1 .4 5.0
무응답 999 226 91.9
246 100.0 100.0
a29_5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5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추가지원에 따른 업무량 과중 및 인력 부족 5 5 2.0 83.3
지침 등 법적 근거 미비 6 1 .4 16.7
무응답 999 240 97.6
246 100.0 100.0
a29_6
추가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6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침 등 법적 근거 미비 6 4 1.6 80.0
기타 7 1 .4 20.0
무응답 999 241 98.0
246 100.0 100.0
a30
지자체별 추가지원방식의 적절성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1 20.7 35.4
아니오 2 93 37.8 64.6
무응답 999 102 41.5
246 100.0 100.0
a30_1
적절하지 않은 이유27. 현재 활동보조서비스 추기지원이 지자체별로 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이 적절하다 고 생각하십니까?
27-1. 아닌 이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십시오.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31
지자체추가지원이 국고지원탈락자 및 서비스사각지대 해소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0 28.5 51.9
아니오 2 65 26.4 48.1
무응답 999 111 45.1
246 100.0 100.0
a31_1
해소하지 않은 이유==> 데이터 참조
a32_1
개선의 필요성_추가지원시간확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0 4.1 7.2
그렇다 2 43 17.5 30.9
그렇지 않다 3 64 26.0 46.0
전혀 그렇지 않다 4 21 8.5 15.1
모르겠다 5 1 .4 .7
무응답 999 107 43.5
246 100.0 100.0
a32_2
개선의 필요성_대상자확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 2.4 4.3
그렇다 2 33 13.4 23.9
그렇지 않다 3 64 26.0 46.4
전혀 그렇지 않다 4 34 13.8 24.6
모르겠다 5 1 .4 .7
무응답 999 108 43.9
246 100.0 100.0 28. 현재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이 국고지원탈락자와 서비스 사각지대 대상자를 어느 정 도 해소했다고 생각하십니까?
28-1. 아닌 이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십시오.
2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사업을 운영하면서 다음사항에 대하여 개선의 필요성을 어느정 도 느끼십니까?
29-1. 추가지원시간 확대
2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사업을 운영하면서 다음사항에 대하여 개선의 필요성을 어느정 도 느끼십니까?
29-3. 추가지원 대상자 확대
a32_3
개선의 필요성_국고지원 인정조사표와 적용기준 일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 2.4 4.4
그렇다 2 34 13.8 25.0
그렇지 않다 3 70 28.5 51.5
전혀 그렇지 않다 4 25 10.2 18.4
모르겠다 5 1 .4 .7
무응답 999 110 44.7
246 100.0 100.0
a32_4
개선의 필요성_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적용기준일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 .8 1.5
그렇다 2 24 9.8 17.5
그렇지 않다 3 60 24.4 43.8
전혀 그렇지 않다 4 49 19.9 35.8
모르겠다 5 2 .8 1.5
무응답 999 109 44.3
246 100.0 100.0
a32_5
개선의 필요성_국고지원과 관리운영방식 동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2 .8 1.5
그렇다 2 15 6.1 11.1
그렇지 않다 3 66 26.8 48.9
전혀 그렇지 않다 4 50 20.3 37.0
모르겠다 5 2 .8 1.5
무응답 999 111 45.1
2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사업을 운영하면서 다음사항에 대하여 개선의 필요성을 어느정 도 느끼십니까?
29-4. 국고지원 인정조사표와 적용기준 일치
2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사업을 운영하면서 다음사항에 대하여 개선의 필요성을 어느정 도 느끼십니까?
29-5. 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적용기준일치(전자바우처)
29.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사업을 운영하면서 다음사항에 대하여 개선의 필요성을 어느정 도 느끼십니까?
29-6. 국고지원과 관리방식 동일적용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33_1
추가지원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추가지원시간 확대 1 27 11.0 19.4
국고지원 인정조사표와 동일하게 적용 2 17 6.9 12.2
법적근거마련 3 26 10.6 18.7
추가지원대상자 확대 4 25 10.2 18.0
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필요 5 42 17.1 30.2
기타 6 2 .8 1.4
무응답 999 107 43.5
246 100.0 100.0
a33_2
추가지원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 인정조사표와 동일하게 적용 2 3 1.2 4.9
법적근거마련 3 10 4.1 16.4
추가지원대상자 확대 4 8 3.3 13.1
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필요 5 38 15.4 62.3
기타 6 2 .8 3.3
무응답 999 185 75.2
246 100.0 100.0
a33_3
추가지원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법적근거마련 3 1 .4 7.7
추가지원대상자 확대 4 8 3.3 61.5
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필요 5 4 1.6 30.8
무응답 999 233 94.7
246 100.0 100.0 30.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33_4
추가지원방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4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산집행이 국고지원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필요 5 6 2.4 100.0
무응답 999 240 97.6
246 100.0 100.0
a34_1
추가지원 제공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조건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른 기존평가 1 29 11.8 20.9
욕구조사 2 74 30.1 53.2
소득 및 자산조사 3 10 4.1 7.2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 정도 4 23 9.3 16.5
기타 5 3 1.2 2.2
무응답 999 107 43.5
246 100.0 100.0
a34_2
추가지원 제공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조건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른 기존평가 1 32 13.0 28.3
욕구조사 2 30 12.2 26.5
소득 및 자산조사 3 26 10.6 23.0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 정도 4 24 9.8 21.2
기타 5 1 .4 .9
무응답 999 133 54.1
246 100.0 100.0
a34_3
추가지원 제공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조건 3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등급에 따른 기존평가 1 26 10.6 25.2
욕구조사 2 16 6.5 15.5
소득 및 자산조사 3 31 12.6 30.1
가족 또는 유사한 서비스 제공자의 도움 정도 4 27 11.0 26.2
기타 5 3 1.2 2.9
무응답 999 143 58.1
31.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 제공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조 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실태조사, 2011
a35
추가지원 향후 확대 계획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1 12.6 22.5
아니오 2 106 43.1 76.8
무응답 999 109 44.3
246 100.0 100.0
a35_1
확대계획 여부==> 데이터 참조
a36_1
추가지원의 향후 운영 방식에 대한 생각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등급은 국고지원, 나머지 2~3등급 등은 지자체
예산으로 지원 1 22 8.9 15.6
기존의 장애유형과 관계없이 소득에 따라 추가지
원 2 12 4.9 8.5
특정장애유형만 추가지원 3 10 4.1 7.1
국고지원과 지자체지원을 통합적으로 운영 4 94 38.2 66.7
기타 5 3 1.2 2.1
무응답 999 105 42.7
246 100.0 100.0
a36_2
추가지원의 향후 운영 방식에 대한 생각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존의 장애유형과 관계없이 소득에 따라 추가지
원 2 2 .8 10.0
특정장애유형만 추가지원 3 5 2.0 25.0
국고지원과 지자체지원을 통합적으로 운영 4 13 5.3 65.0
무응답 999 226 91.9
246 100.0 100.0
a36_3
추가지원의 향후 운영 방식에 대한 생각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고지원과 지자체지원을 통합적으로 운영 4 1 .4 100.0
무응답 999 245 99.6
246 100.0 100.0
a37
정책방향에 대한 의견==> 데이터 참조
32.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을 향후에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계십니까?
활동보조서비스 추가지원에 대해서 의견이 있으시면 간략하게 기술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