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opied!
37
0
0

Teks penuh

(1)
(2)

1

4차 산업혁명이란?

Ⅰ.

(3)

인간 VS 인공지능

(4)

산업혁명의 역사적 흐름도

1차 산업혁명

생산, 수송기계

산업혁명

육체 노동의 자동화

SW혁명

정신 지식노동의 자동화 2차 산업혁명

전기, 대량생산

3차 산업혁명

전자, 통신, 컴퓨터

4차 산업혁명

SW, 지능기술

(5)

IT 및 전자기술 등

디지털 혁명(제3차 산업혁명)에 기반하여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공간 및 생물공학 공간의 경계가

4차 산업혁명이란?

(6)

5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CT 사례

자율주행차 Siri 왓슨

(7)

제4차 산업혁명과 창조경제 시대의 도래

한국의 현 주소는…

ICT 하드웨어는 세계 수준

인공지능 SW 기술은 선진국의 75% 수준에 불과

향후 5년 내 로봇, 인공지능의 영향으로

사무관리, 제조 분야 일자리 700여만 개 소멸 이공학 분야 일자리 200만개 창출

지금 초등학교 입학생들의 약 65%는 현재는 없는 새로운 일자리에서 일하게 될 것

“The Future of Jobs”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8)

7

고등교육의 역할

Ⅱ.

(9)

전문 지식

사회/산업의 혁명적 변화에 부응하는 창의 인재 양성의 구심점 창의적

인성

미래 전문 핵심역량

지식

창의 인재 양성과 고등교육의 역할

(10)

9

미래유망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지원

※ 프라임 사업 2,012억원 지원

창조경제와 창의인재 양성을위한 대학인문역량 강화

※ 코어 사업 600억원 지원

창업‧취업과 연계한 산학협력 발전 방안 마련

※ 산학협력 5개년 계획, Post-LINC 계획 수립

K-MOOC 강좌 확대 개설 및 학점인정 활성화

※ K-MOOC 제공 강좌 수 (27개 130개 이상)

MBA, 융복합분야 등 특화 직업 분야에 학부 연계형 통합 5년제 과정 도입

이공학 개인 기초 연구 지원 기간 확대

※ 현행 3년 최장 10년까지 확대

대학의 자율적 변화와 혁신 지원

(11)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

Ⅲ.

(12)

대학재정지원 사업 통폐합 실시(16.7월)

(13)

+

자율적·선제적 교육개혁 필요 판단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 배경

(14)

국가장학금 39,446억

(40.2%)

국립대 경상비 30,228억

(30.8%)

일반재정지원사업 20,643억

(21.0%)

기타사업 7,819억

(8.0%)

교육부 고등교육 지원 예산

(15)

대학재정지원 사업 구조 개편도

BK21+

연구지원

CK SCK

PRIME CORE 평생교육단과대학 평생학습

중심대학 LINC 산학협력전문대

선도대학

ACE

대학/전문대 특성화 지원

LINC+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

연구 특성화 교육특성화

(16)

대학재정지원 사업 핵심요소

대학 자율성 확대

평가 지표 대폭 단순화

정량비중 축소

정성비중 확대

예산

집행

규제

개선

(17)

대학자율 역량강화

산학협력

연구

교육

대학재정지원 사업 핵심요소

사업구조 단순화

(18)

17

기초교양교육의 방향

Ⅳ.

(19)

전공

전공

(도구과목)기초 교양

(인문/사회) 4학년

3학년

2학년 1학년

기존 교양 교과목

(20)

19

4학년

3학년

2학년 1학년

전공

융합교과

융합응용

융합적사고

기초 인문사회

인문자연융합

Liberal Arts

문학/역사/철학/사회/과학/예술 = 총합

출처: 한예원 외, “종합대학교 인문학부에서 인문·자연 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경제 인문사회 연구회)

새로운 교양 융합 모델

(21)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육부 사업

Ⅴ.

(22)

21

(23)

’17년 사업 기본계획 수립(~’17. 1월)

’17년 선정평가 및 결과 발표(’17.4월 ~ 5월)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24)

대학 여건에 맞는 다양한 교양교육모델

‘바롬인성교육’

열정적 비전 정립, 공감적 의사소통,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인성교육으로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 양성

* 바롬 : 명예총장 고황경 박사 아호,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한다는 뜻

서울여대

‘윤리적 리더 육성 프로그램‘

(ELP: Ethical Leaders Rearing Program) 생명존중·인간존중 정신으로 윤리적 품성과 전문지식인으로서 갖춰야 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구비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

가톨릭대

(25)

대학 여건에 맞는 다양한 교양교육모델

‘TECH

+

맞춤형 교양교육’

인성교육을 포함하는 기술교육과정을 통해 학생중심형 교양교육을 지향 전인적인 인성함양, 취업/창업 역량강화, 창의적 교양능력 강화 등

금오공대

‘NOMAD형 인재육성’

현대의 유목민이 갖춰야 할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양교육, 전공교육, 비교과교육 역량강화 모델

* NOMAD : 한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연마, 진취적인 자세로 미래를 개척하는 대학 인재상 표현

부산외대

(26)

대학 여건에 맞는 다양한 교양교육모델

‘국립대 최초 4학기제’

기초역량 강화형 학부교육으로 국립대학 최초 방학 중 특별학기 개설 4학기 체제의 수준별 분반수업 운영으로 기초학력 강화

전북대

‘동기유발학기제’

신입생의 대학생활 조기 적응과 진로 설정에 도움을 주는 특별한 학기 개인별 사전진단, 졸업 선배 멘토, 미래 직장 방문, 리더십 훈련 등

건양대

(27)

대학 여건에 맞는 다양한 교양교육모델

‘리버럴아츠 교육 모델’

인문학적 소양을 가르치고, 철학과 교양을 기반으로 그 위에 전공 지식을 쌓는 교양교육모델

대전대

‘RC 교양교육’(Residential College)

생활관을 전인교육의 장으로 적극 활용해 삶과 배움의 일치를 추구하는

‘RC 공동체’를 형성해 학업생활과 비학업생활이 어우러지는 환경 조성

한동대

(28)

ACE 사업 성과 및 현장 목소리

학습참여도 및

학습의 질

전체적 상승

(29)

란?

(30)

의 전공 및 교양교육 강화

인문학(/史/哲)

- -

(31)

의 기초교양대학 모델

(32)

기초교양대학 모델 사례

(33)

의 교양교육 강화 사례

(34)

란?

M O O C

(35)

의 활용

개인

• 온라인 학습자료 활용

• 미래진학 및 생애진로

• 전공기초 학습

대학

• MOOC를 활용한 학점인정

- 부산대, 고려대, 숙명여대 등

• 플립드 러닝 등 오프라인 수업 활용

• 콘텐스 소스 제공

민간

및 재활용

• 기업교육 및 연수활용

• 전문가 교류, 제작, 유통협력

공공

• 재직자 직무 교육 활용

• 공공기관의 기술 및 전문성 공유

• (교육부) 강좌 이수 시 상시학습 시간 인정

(36)

의 활용

폭넓은 분야에서 양질의 강좌 제공으로

교양교육 지원 인문계열

의약계열 공학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

(3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