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굴업도의 조류상
권영수1·신용석2·이승기3
1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국립공원관리공단본부, 3한국녹색회
Spring Season Avifauna in Guleobdo Island
Young-Soo Kwon
1*, Yong-Seok Shin
2and Seung-Kie Lee
3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2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21-717, Korea
3Korea Green Club, Anseong, 456-862, Korea
요 약 :본연구는 조류의 이동시기인 춘계(2009년 5월 9일~10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굴업리에 위치한 굴업도에도래하는조류의현황을파악하여도서지역의보호·관리방안을마련하기위하여수행되었다. 현지조사결과 총 8목 21과 54종 188개체가관찰되었다. 이중 우점종은 괭이갈매기가 43개체(22.9%)이었고다음으로 직박구리 15
개체(8.0%), 재갈매기 12개체(6.4%) 순으로나타났다. 환경부지정법정보호종은매, 참매, 말똥가리및검은머리물떼
새등총 4종 11개체였으며 문헌조사까지포함하면 9종 16개체였다. 멸종위기I급은 황새, 검독수리 및매등총 3 종이었으며멸종위기II급은잿빛개구리매, 참매, 말똥가리, 흑두루미, 검은머리물떼새및알락꼬리마도요 등총 6종 이었다. 본지역은해안, 초지 및교목림으로 구성되어있어 조류에게다양한 서식지를제공하고 있기때문에서식 지를최대한유지하면서보전방안이수립되어야할것이다.
주요어 :춘계, 중간기착지, 굴업도, 이동철새, 법정보호종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conservation based on the migratory birds on Gulupdo Island from 9 to 10 May. Birds observed on Gulupdo Island were total 8 orders, 21 families, 54 species, 188 individuals. The dominant species were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Brown eared Bulbuls (Hypsipetes amaurotis) and Herring Gull (Larus argentatus). Endangered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MOE) were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Hen harrier (Circus cyaneus), Goshawk (Accipiter gentilis), Common buzzard (Buteo buteo), Hooded crane (Grus monacha),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and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Gulupdo Island is located on a important site for migratory birds.
Key words :Spring season, Stopover sites, Gulupdo Island, Migratory bird, Endangered species
서 론
생물의 분포와 빈도는 서식지의 질과 양, 경쟁자, 포식자
및 기생자의 존재와 같은 선택압(selective pressures)에 의
해 조절될 수 있다(Funess and Monaghan 1987). 섬은 육 지와 멀리 떨어져있고 비교적 포유류와 같은 포식자가 적 기 때문에 조류들이 번식하거나 이동하다 중간기착하여 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권 등 2007). 도서지역은 생태적
으로 특이하여 지구상의 생물학적 다양성 유지에 큰 기여 를 하고 있다(Whittaker 1998).
굴업도는 인천과 덕적도에서 남서쪽으로 각각 90 km와
13 km 떨어져있으며화산활동으로생성된화산섬이다. 지금
까지굴업도에서 지질, 환경및자연생태에 대해 조사된 연 구(이 등 1996; 안 2008; 이와 서 2008; 박 2008; 박 2009) 는 일부 있을 뿐이며, 조류에 관련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조사는 굴업도 일대의 조류상을 정확히 평가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호지구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수행되었다.
지역 및 방법
인천광역시옹진군 덕적면 굴업리에 위치한 굴업도를 대 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면적은 1.71 km2, 해안선길 이 12 km, 최고높이 122 m이다. 굴업도는 해안사구, 해식지 형, 모래톱, 응회암 등이 발달되어있다(Figure 1).
조사는 조류의 통과시기인 2009년 5월 9일~10일(1박2일)에 수행되었다. 망원경(Carl Zeiss×30~60)과 쌍안경(Leica 10×25)을 이용하여정점조사법(point census)과로드센서스(road census) 법을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범위는 굴업도를 중심으로
주변에서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관찰 가능한 지역이었으며 조류의 소리(song call)도 종과 개체수 산정에 포함시켰다. 조 류는 소리, 목견 및 도감(원 1987, 1993)을 통해 수행하였다.
결 과 1. 종 및 개체수
현지조사결과 총 8목 21과 54종 188개체가 관찰되었다 (Table 1). 이중 우점종은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가
43개체(22.9%)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박구리(Hypsipetes
amaurotis) 15개체(8.0%), 재갈매기(Larus argentatus) 12개체
(6.4%) 순이었다. 청문조사까지포함할경우에는총 59종 21
개체가확인되었다. Figure 1. Map of study area.
Table 1. The bird list observed on Gulupdo Islan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urvey Literature Total (Max.)
사다새목 Pelecaniformes 가마우지과 Phalacrocoracidae
Phalacrocorax capillatus 가마우지 5 5
황새목 Ciconiiformes 백로과 Ardeidae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1 1
Egretta garzetta 쇠백로 3 ● 4
Ardeola bacchus 흰날개해오라기 1 1
황새과 Ciconiidae
Ciconia boyciana 황새 ● 1
매목 Falconiformes 수리과 Accipitridae
Circus cyaneus 잿빛개구리매 ● 1
Accipiter gentilis 참매 1 ● 2
Buteo buteo 말똥가리 1 1
Aquila chrysaetos 검독수리 ● 1
매과 Falconidae
Falco peregrinus 매 1 ● 2
Table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urvey Literature Total (Max.)
두루미목 Gruiformes 두루미과 Gruidae
Grus monacha 흑두루미 ● 1
도요목 Charadriiformes
검은머리물떼새과 Haematopodlidae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머리물떼새 5 ● 6
도요새과 Scolopacidae
Numenius madagascariensis 알락꼬리마도요 ● 1
Heteroscelus brevipes 노랑발도요 5 5
갈매기과 Laridae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43 43
Larus argentatus 재갈매기 12 12
비둘기목 Columbiformes 비둘기과 Columbidae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5 5
두견이목 Cuculiformes 두견이과 Cuculidae
Cuculus canorus 뻐꾸기 1 1
Otus scops 소쩍새 1 1
칼새목 Apodiformes 칼새과 Apodidae
Apus pacificus 칼새 3 ● 4
참새목 Passeriformes 제비과 Hirundinidae
Hirundo rustica 제비 4 4
Hirundo daurica 귀제비 5 5
할미새과 Motacillidae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1 1
Anthus hodgsoni 힝둥새 8 8
할미새사촌과 Campephagidae
Pericrocotus divaricatus 할미새사촌 1 1
직박구리과 Pycnonotidae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15 15
때까치과 Laniidae
Lanius cristatus 노랑때까치 1 1
지빠귀과 Turdidae
Luscinia sibilans 울새 2 2
Luscinia cyane 쇠유리새 1 ● 2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1 1
Saxicola torquata 검은딱새 3 3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2 ● 3
휘파람새과 Sylviidae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1 1
Phylloscopus fuscatus 솔새사촌 1 1
Phylloscopus schwarzi 긴다리솔새사촌 1 1
Phylloscopus borealis 쇠솔새 3 3
Phylloscopus tenellipes 되솔새 1 1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3 3
딱새과 Muscicapidae
Muscicapa sibirica 솔딱새 2 2
Muscicapa dauurica 쇠솔딱새 1 1
Ficedula zanthopygia 흰눈썹황금새 1 1
Ficedula mugimaki 노랑딱새 2 2
Ficedula parva 흰꼬리딱새 1 1
2. 환경부지정 법정보호종
굴업도에서 현지조사 시 관찰된 환경부지정 법정보호종(멸 종위기I, II급)은 매(Falco peregrinus), 참매(Accipiter gentilis), 말똥가리(Accipiter gentilis) 및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등총 4종 11개체였으며청문조사까지포함하면 9 종 16개체였다(Table 2). 멸종위기I급은 황새(Ciconia boyciana), 검독수리(Aquila chrysaetos) 및 매 등 3종이었으며 멸종위 기II급은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참매, 말똥가리, 흑 두루미(Grus monacha), 검은머리물떼새 및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등총 6종이었다.
고 찰
굴업도는 육지에서 90 km이상 멀리 떨어진 유인도서이다.
이러한 지리적인 위치로 인해 많은 수의 통과철새들이 이 곳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여 번식지로 이동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특히, 환경부 지정 법정보호종이 다수 관찰되었 고 이중 멸종위기I급인 매는 본 지역을 번식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II급인 검은머리물떼새도 목기미 해수욕장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I급인 황새와검독수리는굴업도의해안지대를중간기착지나서식 Table 1.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urvey Literature Total (Max.)
박새과 Paridae
Parus major 박새 6 6
Parus varius 곤줄박이 3 3
동고비과 Sittidae
Sitta europaea 동고비 1 1
멧새과 Emberizidae
Emberiza pusilla 쇠붉은뺨멧새 2 2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1 ● 2
Emberiza rustica 쑥새 2 2
Emberiza aureola 검은머리촉새 2 2
Emberiza rutila 꼬까참새 2 2
Emberiza sulphurata 무당새 1 1
Emberiza spodocephala 촉새 3 3
Emberiza variabilis 검은멧새 1 1
Emberiza pallasi 북방검은머리쑥새 2 2
Emberiza schoeniclus 검은머리쑥새 3 3
되새과 Fringillidae
Fringilla montifringilla 되새 8 8
Eophona migratoria 밀화부리 1 1
까마귀과 Oriolidae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1 1
종수 54 13 59
개체수 188 13 201
Note: Species from literature was defined as 1 individual.
Table 2. List of birds regarded as a endangered species at Gulupdo Islan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urvey Literature No. of Ind. (Max.) Level
Ciconia boyciana 황새 1 1
Aquila chrysaetos 검독수리 1 1 II
Falco peregrinus 매 1 1 2
Circus cyaneus 잿빛개구리매 1 1
Accipiter gentilis 참매 1 1 2
Buteo buteo 말똥가리 1 1
Grus monacha 흑두루미 1 1 II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머리물떼새 5 1 6
Numenius madagascariensis 알락꼬리마도요 1 1
No. of individuals 8 8 16
No. of species 4 8 9
지로 이용하거나 통과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법정보호 종은잿빛개구리매, 참매, 말똥가리, 흑두루미, 검은머리물떼 새 및 알락꼬리마도요 등이었고 대부분중간기착하여 취식 하거나잠시휴식하는장소로이용하는것으로나타났다.
해안사구언덕이나 개머리억새군락지(Miscanthus spp. Co- mmunity)에서는 바다제비(Oceanodroma monorhis)의 둥지로 판단되는 굴을 확인하였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추 가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철새들의 중간기착 지로써 큰말해수욕장 일대는이동철새들이 도래하는 첫 장
소로 매우 중요하다. 본 지역은 1994년 중반 핵폐기물 처
리장을 만들기로 했다 취소된 장소이다. 또한 최근에는 대 기업에서 골프장, 호텔, 요트장, 콘도미니엄 등의 해상리조 트 개발을 계획 중에 있다. 하지만 이런 개발은 굴업도를 통과하거나 중간기착하는 이동철새들의 서식지를 훼손하게 되어 이들이더 이상 이 지역에 도래하지 못하게될 수 있 다. 특히, 골프장예정 대상지인해안사구언덕이나개머리억 새군락지는 멸종위기급인 매가 번식하는 장소이다. 골프장 건설을 위해 서식지를 변형시킨다면 매는 본 지역에서 더 이상 번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도서지역에는 매년 많은 철새들이 봄과 가을에 중간기착 지로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다도 해해상국립공원의홍도·흑산도에는 2008년까지 327종이확
인되어 한반도 조류종의 63.1%(한국조류목록 기준)가 도래
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05, 2006, 2007, 2008). 반면에 우리나라 최동단인 경상북 도 울릉군에 위치한 독도는 조류의 종이 이와 다르며 2006
년까지 143종이기록되어한반도의약 27.6%가확인되어다
(김 등 2007). 본 조사지역인 굴업도는 서해안의 끝부분에
위치해 있어지속적인 조사가진행된다면 다른 도서지역과 다른 형태이 종분포가 나타날 수 있다. 향후 지리적인 위 치에 따른 종 현황 및 분포의 차이에 관한 자세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굴업도의 조류상에 대해 더 많은 모니터링 및 분석 이필요하다.
굴업도는 해안, 초지 및 관목, 습지 등이 어우러져 있어
이동하는 조류에게는 다양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본 지역이 이동하는 철새들에게중요한 장 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식환경을 최대한 변경하지 않고 자연그대로유지하는 보전방안이 도출되어 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05, 2006, 2007, 2008. 국립 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조류조사·연구. 철새연구센터. Pp.
11-86
권영수, 김동원, 이후승, 권인기, 백운기, 유정칠. 2007. 경남홍도 일대에서 번식하거나 중간기착하는 조류. 한국조류학회지. 14: 51-60.
김창회, 권영수, 강종현, 유정칠. 2007. 독도의조류상. 한국조류학 회지. 14: 113-125.
박종관. 2008. 굴업도의지질및해안지형특성고찰. 대한지리학
회 2008년전국지리학대회학술발표자료.
박종관. 2009. 굴업도의지질, 해안경관특성및그활용방안. 한국
지형학회지. 16: 31-41.
안명훈. 2008. 인천권도서지역에대한리조트개발방안에관한
연구: 옹진군굴업도를중심으로.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원병오. 1987. 한국조류목록. 동물편.
원병오. 1993. 한국의조류. 교학사. 서울. 447p.
이상영, 서종철. 2008. 굴업도사구습지목기미연못의지형과수
서생물. 대한지리학회 2008년전국지리학대회학술발표자료.
이익환, 김종현, 백우기. 1996. 굴업도프로젝트의추진경험및교
훈-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건설 추진관련-.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3).
Furness RW, PM Monaghan. 1987. Seabird Ecology. Blackie & Son Ltd. 164p.
Whittaker RJ. 1998. Island Biogeography: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16p.
(2011년 4월 10일 접수; 2011년 4월 20일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