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Copied!
13
0
0

Teks penuh

(1)
(2)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제주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우수 프로그램

교육과정 구축 및 개편 대학 특성과 연계 융 · 복합 교육 우수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성공 지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교수법 개선 프로그램

향후 추진 예정 프로그램 04

07 07 10 12 17 20 22

(3)

jeju national university 제주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소개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제주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01

사업 목표 및 전략

영역별 혁신전략

자율 성과지표 소개

혁신전략 혁신프로그램

창의 융합 인재 양성교육 강화

창의 융합 인재양성 교육 강화

글로컬 상생협력 체계 강화 미래 가치 창출 연구 기반 강화 융 · 복합 산학협력 체계 강화

인성을 겸비한 글로벌 창의 인재 양성 교육 강화

글로컬 상생협력 체계 강화

교육 연구 산학

협력

미래 가치 창출 연구 기반 강화

성공창업지원체계 고도화

산학연계 실무역량 강화

융 · 복합 산학협력 체계 강화

기본에 충실한 대학, 미래를 준비하는 대학

대학비전

학생 핵심역량 지수 대학 인프라 고도화 지수 제주가치 교육혁신 지수 대학 혁신 만족도 지수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혁신전략과 인재상을 달성하기 위한 6대 핵심역량에 대한 종합적 평가인 J-CESA와 연계한 지표로 사업 운영에 따른 학생들의 역량강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제주 유일의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지역 특성화 분야 및 제주 가치 연구 등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통해 제주지역 교육 혁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제주미래가치 제고를 위한 교육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고, 전년대비 참여대상의 확대를 측정 대학 인프라 구축은 학생의 교육환경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며, 혁신적인 교육 환경 조성 및 개선으로 인프라 혁신 고도화 정도를 측정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사업에 대학 구성원의 전반적인 참여 및 홍보, 사업 성과 공유 · 확산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임. 대학 구성원의 대학혁신지원사업 프로 그램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조사 및 참여율 점검으로 환류 체계 활성화 정도를 측정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강화

사회 수요 기반 맞춤형 교육지원 활성화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형 교육 기반 강화

학생성공을 위한 밀착형 지원 및 교육 강화

미래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 지원체계 강화

특성화 분야 연구 인프라 확충

미래 혁신을 선도하는 창의융합 인재양성 대학

혁신목표

(4)

우수 프로그램

기본 에 충실 한 대학, 미래 를 준비 하는 대학

국립제주대학교 ““ 교육과정 구축 및 개편

02

4차 산업혁명 대비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해 유연한 학사제도 도입 및 학부 교육 혁신모델 창출 필요

추진 배경

1) 융복합 전공 운영 · 지원

추진현황 : 4차 산업혁명 대비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전공 개설 공모 추진(‘19년 11월) → 융합전공 신설 및 운영

운영내용

운영성과 : 융합전공 신설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지원을 통한 신설 융합전공 안정화 도모, 융합전공 뿐만 아니라 교양 · 기초 전공 · 전문전공 · 현장실습과 산학연 과제 참여 과정을 종합적으로 운영하여 현장 실무 능력 양성 도모

2) 융복합 교과목 운영 · 지원

추진현황 : 융복합 교과목 개설 수요 조사 실시(‘19년 10월) → 융복합 교과목 개설 및 운영

운영내용

운영성과 : 융복합 교과목 개설 및 운영을 통한 다양한 학문간 융합교육 활성화 기반 마련

융합전공명 주관학과 · 전공 참여학부(과) · 전공 개설개요 운영내용

스마트 웰니스

융합전공(복수) 경영정보학과

패션의류학과 의학과 체육학과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주지역의 고유한 자원인 웰니스 활동과 관련된 융합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

빅데이터, VR/AR,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

에너지 ICT 융합전공

(복수)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전파정보통신공학전공

에너지공학전공

Energy 4.0 모델을 기반으로 에너지 분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카본프리 아일랜드 제주 2030”의 사업 분야 기술 습득 교육과정 운영

과목명 개설학과 이수구분 개설개요

MR비즈니스 (MR Business)

경영정보학과

패션의류학과 전공선택

현실의 개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공물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개체를 설계하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의류 및 패션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 유망 산업군의 제품기획 및 비즈니스화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함

스마트웨어러블 (Smart Wearable)

패션의류학과

경영정보학과 전공선택

코딩 기초와 센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및 주변상황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상황 분석 등의 소프트웨어 측면과 스마트 웨어러블의 구성 요소와 스마트의류기술 등의 하드웨어 측면을 통합하여 교육

의료 정보 (Medical Information

and Technology)

의학과

전기전자통신 등 전공선택

미래의 의학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오픈소스 하드웨어(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에 대한 기초와 실습, 3D 프린트를 이용한 실물제작, 인공지능에 대해 교육

(5)

6)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학과별 전공 교육과정 고도화 프로그램 운영

① 데이터사이언스 인재 양성 기초 교육 운영 - 운영기간 : 2020. 9. 15. ~ 10. 8.(총 6회 운영)

- 참여대상 : 경영정보학과, 패션의류학과, 체육학과 재학생 150명 - 운영내용

- 운영성과 : 교육과정 개편 전 관련 전문가 특강 운영을 통한 학생들의 여론 수렴, 지역 산업계 전문가 특강 및 실무교육을 통한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재학생 역량 강화

- 만족도 점수 : 4.47 / 5점

② 제주지역 특화 스마트그리드 산업 신재생 에너지 분야 교육 운영 - 운영기간 : 2020. 11. 24.

-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교원 및 재학생 17명 - 운영내용

⑴ 기초 및 전공 핵심 교육과정에 사회적 Needs를 반영하여 지역 특화 분야 관련 융복합 교과목으로 발전시키고자 함

⑵ 제주지역 특화 분야인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가능성과 교과목 개설 방향, 수열원 및 농업 에너지의 발전 가능성, 기존 교육과정과 신재생 에너지 교과목의 연계 방향성에 대한 전문가 자문 진행

⑶ 현재 제주지역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가능성에서 열에너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에 따라 현재 운영 중인 “열공학” 교과목에 신재생 에너지 분야를 추가 해야 함

- 운영성과 : 기초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향 및 융복합 교과목 개설을 위한 교육 목표 수립

- 만족도 점수 : 4.9 / 5점

jeju national university 우수 프로그램 소개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회차 운영일시 내 용 참여인원

1 2020. 09. 15.(화)

16시~17시(1시간) 가상현실 및 MR의 이해 25명 2 2020. 09. 17.(목)

14시~16시(2시간)

가상현실 및 홀로그램 이해

가상현실 및 MR의 시장현황 이해 25명 3 2020. 09. 22.(화)

16시~17시(1시간) MR의 사장현황 이해 25명 4 2020. 09. 24.(목)

14시~16시(2시간)

실감콘텐츠의 개념이해 및 산업이해

실감콘텐츠의 적용기술 및 산업 이해 25명 5 2020. 10. 6.(화)

16시~17시(1시간) 실감콘텐츠의 주요동향 25명 6 2020. 10. 8.(목)

14시~16시(2시간)

국내외 주요사례 및 제주의 적용사례

제주의 적용사례로 보는 MR발달 흐름 25명

기계공학전공 교육과정 개선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교육

3) 첨단학과 및 융 · 복합 학과 신설 연계 미래 신산업 분야와 대학 교육혁신 특강 개최

추진배경 : 미래산업 분야 외부 전문가 강의 및 대학 관계자 좌담회를 통한 산업 동향에 대한 지식 공유 및 첨단학과 신설을 위한 대학혁신 과제 발굴

운영기간 : 2020. 11. 25. ~ 12. 9.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구성원 165명

운영내용 : <첨단학과 신설 우수사례>, <학과 신설 및 운영을 위한 재정 확보>, <미래 산업 분야 졸업생의 취업 전망>, <학과 신설과 국제화> 등의 주제에 대한 온라인 특강 및 토의 진행

운영성과 : 첨단학과 및 융 · 복합 학과 신설과 관련하여 첨단산업 및 지역 미래 산업과 연계한 대학 교육혁신(학사구조 및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구성원 공감대 확산

4) 학생 설계 전공 공모

기간 : 2020 5. 25. ~ 6. 12.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내용 : 학생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전공의 참여 유도를 위한 공모 진행 및 가이드북 제작

성과 : “에듀테크 창업 전공” 학생 설계 전공 선정

5) 교양교육과정 도입 및 지원체제 재구축

일시 : 2020. 7. 27. ~ 11. 30.

내용 : 2017년 전면개편 이후 융 · 복합, 4차 산업혁명, 온라인 강의 활성화 등 변화된 교육환경을 적극 반영하여, 2021년도 교육과정 전면개편에 적용하기 위한 운영 전반 진단 및 개선 방안 마련,

교과 및 비교과를 아우르는 교육품질관리 체계 구축

운영성과

⑴ 2021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교육품질 관리 지침 개정 기초 자료 제공 : 교양교육과정 및 전공교육과정 현황 진단에 따른 개선방안 도출로 지침 개정

기초 자료 마련

⑵ 교육품질관리(CQI,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방안 마련

: 교양, 전공, 비교과 영역별로 교과 및 비교과 개발, 교과목 / 프로그램 CQI 개발, 교양 / 전공교육과정 및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최초 개발,

교육품질관리(JET-QM) 매뉴얼 최초 개발

<“에듀테크 창업 전공” 전공 내용 소개>

전공목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 산업분야 창업을 위한 역량 강화

전공구성

창업을 위한 경영적 마인드 구축을 위한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과목, 컴퓨터 공학 프로그램을 위한 컴퓨터교육과 과목, 교육학적 마인드를 위한 교육학과목, 에듀테크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영어교육분야를 위한 영어교육과 과목 등으로 구성

활동내용 국내외 교류수학을 통한 학점 취득 및 에듀테크 기업탐방, 박람회 등 참여

(6)

3) CK연계「아열대농생명융복합산업인재양성사업단」우수성과 지속 확산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운영

- 운영기간 : 2020. 9. ~ 2021. 2.

- 운영방법 : 지도교수 및 3명 이상의 팀원 구성하여 연구 프로젝트 진행

- 지원내용 : 연구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운영비 지원, 수요맞춤형 특강 운영, 특성화 결과발표회 개최를 통한 우수 팀 시상 등

캡스톤 디자인 수요 맞춤형 특강 운영

- 일시 : 2020. 11. 26.

- 대상 :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참여학과 재학생 16명 - 주제 : 유전자 감식 및 실제 감정사례 소개 등의 실무 특강

- 성과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유전자 감식 분야 전문가 초청 특강을 통한 유전자 감식 및 현장 업무에 대한 실무 이해 증진,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연구 점검에 도움

- 만족도 점수 : 4.83 / 5점

4) CK연계「제주문화콘텐츠창의인재양성사업단」우수성과 지속 확산

제주 4.3 콘텐츠 공모전 개최

- 운영기간 : 2020. 10. 26. ~ 12. 24.

-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29명

- 운영내용 : 제주4.3 희생자 추모와 기억, 역사적 의의에 대한 재해석, 제주 지역의 상생 등 4.3 관련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 공모전 개최 - 주요성과 : 콘텐츠 제작을 통해 제주 4.3의 역사 재해석 및 컴퓨터 활용

능력 향상에 도움, 재학생들의 지역역사 문화의 이해도 제고, 재학생 개인의 전달 및 공감 능력 향상

- 공모전 참가자 평가 : “제주 4.3사건에 대해 유가족 및 당사자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원하는 4.3사건이 주는 역사적 의의에 대해 알아 볼 수 있었고, 콘텐츠 제작을 위해 자료 조사를 보다 심도 있게 진행하면서 더 생생하게 역사에 대해 접근 할 수 있었다.”

- 만족도 점수 : 4.73 / 5점

구분 활동분야 결과물

트랙형 지역현안문제 및 산업체 수요조사 반영한 주제로 팀프로젝트 수행 및 기업매칭에 의한

산학연구활동을 통해 각각 목적에 맞게 취업트랙과 창업트랙으로 운영 시제품 개발, 특허, 기술이전성과 모듈형 전공심화 교육 및 전공 연구분야와 관련한 실험설계로 자기주도연구 및 혁신연구 과제

수행을 통해 새싹 연구자 양성 논문, 포스터발표, 진학률 향상

유전자감식 관련 강의

4.3콘텐츠 공모전 운영 사진 말산업 현장 전문가 초청 특강 운영

대학 특성화 분야 연계 융 · 복합 교육

대학 특성화 비전과 지역 전략산업을 연계한 특성화 분야 집중 육성 및 지방대학특성화사업(CK) 연계 우수 프로그램 성과 지속 확산 필요

추진 배경

1) CK연계「스마트그리드와청정에너지융복합산업인력양성사업단」우수성과 지속 확산

카본프리 글로벌 리더십 교류 사업

- 운영내용 : 아랍에미리트 대학과의 글로벌 리더십 교류 사업으로 “카본프리 특화 교육” 학점 인정 프로그램 운영 - 19년도 이후 동계방학 정규 프로그램으로 정착되었으나, 20년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미운영

- 차년도부터 카본프리 특화 영어 교육 및 특강, UAEU와의 공동 수업 등 다양한 수업 방식으로 운영 예정

2) CK연계「말6차산업창의인재양성사업단」우수성과 지속 확산

제주지역 말산업 선도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운영기간 : 2020. 4. ~ 2021. 2.

-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및 지역사회 말산업 관계자 - 주요내용

⑴ 말산업 특성화 교과목(레저승마, 말 보건 관리 등) 운영

⑵ 비교과 교육 운영(제주도의 말 문화, 승마패션 디자인 및 제작 등)

⑶ 말산업 동아리 운영 지원(말 관리 동아리, 말산업 패션 관련 동아리)

말산업 현장 전문가 초청 특강 운영

- 일시 : 2020. 4. ~ 12.(총 10회 운영)

- 대상 : 제주대학교 승마 동아리 학부생 및 대학원생 143명 - 주제 : 전문승마 교관의 학생 승마 지도 및 승마 기술 향상 특강

- 성과 : 전문가 특강을 통해 습득한 전문 승마 기술과 이론을 바탕으로 말 관련 대회에 참가하여 KHIS7급 5위에 입상

(7)

jeju national university 우수 프로그램 소개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3)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대학 홍보 JNyoU-tube 공모전 개최

운영기간 : 2020. 9. 14. ~ 12. 31.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27명

공모주제 : 우리 대학의 다양한 정보 전달과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대학 홍보 콘텐츠 공모

운영내용 : 총 13팀(참여인원 35명)의 콘텐츠 영상 제작, 온라인 플랫폼 대학 홍보를 통해 정보 소외지역 대상 대학 홍보 및 실질적 지원 전략 등 대학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편의성 제공

운영성과 : 제주대학교의 친근감 강화 및 선호도 상승, 일반인 대상 출품작 평가 인증 [제주대가 ‘좋아요!’] 이벤트 운영을 통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및 학교 홍보 확산에 기여(조회수 21,526건, 영상 투표 및 평가인증 참여자수 2,686건, 216명)

만족도 점수 : 4.2 / 5점

4)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공동체 운영

일시 : 2020. 9. 7. ~ 12. 18.(15주)

대상 : 제주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재학생 201명, 교수 38명(41팀)

내용

⑴ 2019년도 운영에 따른 개선 방향 : 활동기간 부족에 따른 적극적인 활동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9주에서 15주로 활동기간 개선

⑵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자율적으로 사제-선후배-동료 간 팀을 구성하여 일정기간 동안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자유로운 학습 활동 지원

⑶ 학습 동아리 및 멘토링 팀을 일반형과 집중형으로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학습공동체 운영

⑷ 활동 주제 : 전공학습, 융복합 교과학습, 외국어 학습, 독서 및 토론 학습 중 택1

⑸ 활동 지원금 지급 및 회차별 학습 활동 보고서 제출, 활동 종료 후 결과보고회를 개최하여 우수팀에 대해 시상

성과 : 자율적인 협동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학습법 습득 및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에 도움, 교수, 선후배 간의 활발한 교류 활동을 통한 대학 생활 적응 및 협력 증진, 학습 활동 총 431회 진행

⑴ 전공역량 강화 : 실제 현장 방문 및 체험을 통한 전공 관련 실무 역량 강화

⑵ 글로벌 역량 강화 :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학습 및 성적 향상

⑶ 각종 대회 수상 : 언어 빅데이터 활용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주제로 한 논문 제 3회 더스틴학술상 대상 수상, 제주 관광에 대한 위험자각과 관광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제3회 더스틴학술상 우수상 수상

JNyoU-tube 공모전

1) 경영학과 Business 4.0 ICC 프로그램 운영

일시 : 2020. 11. 4.(수) ~ 12. 8.(화)

대상 : 경상대학 경영학과 재학생 17명

주제 : 4차 산업혁명 대비 교육과정 제안서 PT 경진대회 운영

성과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요구되는 경영학 교육과정을 재학생들이 직접 기획해보는 기회를 제공, 교육 수요자 입장에서 제안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전공에 대한 수요 파악 및 2021 교육과정 개편에 적극 반영 예정

만족도 점수 : 4.9 / 5점

2) 일문학과 온라인 콘텐츠 제작 및 플랫폼 운영

일시 : 2020. 4. ~ 2021. 2.

대상 : 제주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재학생 및 국내 · 외 일본어 학습자

내용 : 국제일본어능력시험의 총 5단계(N1~N5) 중 전공 관련 필수 문법항목이 집중되어 있는 N3단계 빈출 문제를 선정 → 항목별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 및 활용하여 온라인 플랫폼 Youtube 채널 운영

성과 : 일본어 문법 항목을 다루는 온라인 플랫폼 채널을 운영함에 따라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 교류 의사소통 채널을 구축

경영학과 Business 4.0 ICC 프로그램 운영

일문학과 온라인 콘텐츠 제작 및 플랫폼 운영

우수 비교과 프로그램

핵심역량 기반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및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체계 구축 필요, 학부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제공 및 학생 핵심역량 향상에 기여

추진 배경

(8)

6) 비교과 교육과정 참여수기 및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일시 : 2020. 8. 28. ~ 10. 28.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총 26명

내용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후 개인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체험담, 느낌점, 취업 활동 도움사례 등의 참여수기, 나에게 필요한 비교과 프로그램 아이 디어를 기획하여 공모

성과 : 비교과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 참여수기 및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하여 재학생의 기획 역량 강화 및 비교과 프로그램 홍보 효과 제고, 수상한

비교과 프로그램 제안서를 바탕으로 차년도 비교과 프로그램 기획에 적극 반영 예정

만족도 점수 : 4.7 / 5점

7) BT-ICT 융합 실습을 통한 전문 기술 전수 교육 프로그램 운영

일시 : 2020. 12. 28. ~ 12. 30.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17명

내용 : 생물정보 활용 관련 작물 성분 분석, 유전체, 표현체, Genome editing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생명 공학 및 정보 통신 기술의 융합 실습 체험 기회를 통한 융합 전문 인력 양성 교육

성과 :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생명공학과 ICT간의 융합에 대한 실습 및 학습 기회 제공, 연구 접근 전략의 다양성 제고, 다양한 전공과 기술간의 기술 용복합적 사고 및 체험의 경험 기회 제공

만족도 점수 : 4.09 / 5점

8) 제주어의 확산- 소멸 위기 온라인 제주어 말하기 대회 개최

일시 : 2020. 10. ~ 12.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및 도내 청소년 27명

내용 : 잊혀져가는 제주어의 보존 · 확산을 위해 제주어를 익히고 전승시키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온라인 제주어 말하기 대회 운영, 제주어 말하기 영상 및 원고 공모·심사 진행

성과 : 재학생 뿐만 아니라 도내 청소년에게 제주어 보전의 필요성을 일깨워 주는 계기를 제공하고, 지역 거점 대학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대학의 위상

제고, 제주어 관련 공모작 데이터 수집을 통한 제주어 연구 자료로 활용

비교과 교육과정 참여수기 및 아이디어 공모전

BT-ICT 융합 실습을 통한 전문 기술 전수 교육 프로그램

제주어의 확산- 소멸 위기 온라인 제주어 말하기 대회 개최

5) 학습법 학과맞춤형 특강 및 워크숍 운영

일시 : 2020. 10. 27. ~ 11. 30.(총 6회 운영)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106명

내용 : 학습법 특강 개설에 대한 희망 강좌 의견 수렴 결과를 반영하여 수요자 맞춤형 학습법 주제 선정

성과 : 수요자 맞춤형 특강 및 워크숍 개최를 통한 학습동기 강화, 스스로 학습전략 수립 할 수 있는 능력 제고, 만족도 점수 향상 (’18 4.52점 → ’19 4.6점 → ’20 4.83점)

NO 일정 주제 내용 핵심역량 비고

1 10. 27.

15:00~17:00

정보윤리와 보안문제 해결을 위한 PBL 학습전략

DISC(성격유형검사)를 통한 개별 특성에 대한 이해 및 학습 방법

PBL(문제중심학습) 개념 및 특징에 대한 이해와 사례 실습

창의 융복합 만족도 4.81 16명

2 11. 9.

14:00~17:00

제주의 색, 나만의 색을 찾아 떠나는 여행

색채 심시를 통한 개별특성 파악

색채 체험과 교류를 통한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 함양

직접 체험을 통한 성취함 향상 및 학업 동기 증진

도전 성취 만족도 4.92 22명

3 11. 11.

14:00~17:00

데면데면한 세상과 대면하기 (나를 표현하는 법)

자기소개 및 발표에 필요한 스피치 요소와 내용 구성 방법

자기소개 스피치의 특징과 나를 표현하는 방법

의사소통 만족도 4.71 14명

4 11. 20.

15:00~18:00 영어회화 자신감 UP

영어회화를 익히는데 필요한 요소 및 실제 기술

수준별 및 유형별 영어학습 방법

영어 학습의 체계적인 구조 및 사례

글로벌다문화 만족도 4.86 15명

5 11. 23.

17:00~20:00 PPT Skill UP(기초) PPT 기초내용 및 디자인, 배치 팁 문제 탐구 만족도 4.79 23명 6 11. 30.

14:00~17:00 PPT Skill UP(심화) PPT를 활용한 결과물 제작방법 및 활용 방안 문제 탐구 만족도 4.94 16명

학습법 학과맞춤형 특강 및 워크숍 운영

(9)

jeju national university 우수 프로그램 소개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1) 학생상담센터 상담프로그램

개인진로 심리상담 운영

맞춤형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학생 성공 지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다양한 유형의 진로 · 취업 ·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정서적 안정 회복에 기여, 다양한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전문적이고 적절한 상담 서비스를 통해 심리·정서적 안정 회복 및 행복한 대학 생활 조력 추진

배경

프로그램명 기간 대상 내용 성과 만족도

1학기 JNU-토닥토닥

개인상담

2020. 3. 2.

~ 8. 31. 155명

상담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객원상담원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상담 기회 제공

어려움 호소 정도 4.4에서 2.8로 저하, 정서적

안정정도 3.6에서 5.6으로 향상(7점 척도) 4.6 / 5

JNU-코로나19 정서지원 개인상담

2020. 4. 20.

~ 5. 26. 1,992명

코로나19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을 겪고 있는 2020학년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문 상담원의 전화를 통한 심리상담 진행

대학생활 부적응 및 불안감, 심리적 갈등, 진로 고민 등에 따른 정서 치유 및 자존감 회복 지원, 예방적 상담을 통한 건강한 심리 기반 마련

전화 상담으로

미실시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부적격자 대상

개인 상담

2020. 7. 15.

~ 7. 23. 13명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부적격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이고 적절한 개인상담 서비스 제공

향후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재검 시 안정적

으로 받을 수 있도록 지원 4.92 / 5

‘괜찮니CAll’

전화상담

2020. 8. 27.

~ 12. 18. 195명

평생 책임 지도 교수제를 통한 상담 결과 2차 상담이 필요한 학생에게 전문적 · 종합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전화상담 진행 및 학생 생활관 입주학생 중 MindFit 적응역량검사 결과 준위험군 이상을 대상으로 전화상담을 진행

심리 · 정서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안정 회복에 도움

전화 상담으로

미실시

프로그램명 기간 대상 내용 성과 만족도

인간관계증진 및 자기통제력 증진

집단상담

2020. 11. 6.

~11. 27.

각 총 4회기

25명 각 프로그램 목적별로 학생을 모집하여 집단 상담 진행

집단상담을 통한 참여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 및 정서치유로 대학생활 적응력을 강화하고, 인간관계 개선·증진 및 자기조절력 향상

4.35 / 5

저소득층 및 고른 기회 전형

입학생 대상 집단상담

2020. 10. 12.

~10. 16. 19명

4분위 이내 저소득층과 농어촌학생, 특성 화고 출신자 등 고른기회 전형 입학생 등을 대상으로 유사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료 학생들과의 인간관계 증진 집단상담 진행

입학관리과, 대학일자리센터을 통한 진로

취업 심층상담을 연계 4.4 / 5

찾아가는 학생 상담 컨설팅

2020. 6. 29.

~ 9. 1. 80명 대학 및 학과별 방문으로 학과 특성에 따라 컨설팅 및 맞춤형 학생지도 활용방안 안내

JNU-PSLT 검사 결과를 학과 교수 및 조교 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척도의 타당도 및 결과 해석 등 검사지 특성 등을 제공, 지도 교수는 학생의 학교 중도 탈락 사전 예방을 위한 학생상담에 활용

4.78 / 5

9)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홍보 서포터즈 “JNU-N.C 서포터즈” 선발 및 활동

운영기간 : 2020. 9. ~ 2021. 1.

선발대상 : 제주대학교 학부 재학생 12명

활동내용 : 온 · 오프라인 홍보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기획 기사 제작,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정보 공유 및 홍보 계획 수립 등

10)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

운영기간 : 2020. 9. ~ 2021. 1. (매월 1회 회의 진행)

대상 : “비교과 프로그램 실무협의체” 구성(관련부서 실무자 12명 내외)

내용 :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교환, 비교과 교육과정의 환류 체계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지침(안) 마련(총 4회 실무 협의회 회의 운영, 성과포럼 개최)

성과 : 비교과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유관 부서 간 공조체계 마련, 비교과 교육과정의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하여 유사 · 중복 프로그램 방지를 위한 발전적 성찰의 기회 마련,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지침 마련을 통한 비교과 프로그램 질적 향상 도모

11) 그린에너지 기업 탐방 및 교육 프로그램

일시 : 2021. 1. 6. ~ 1. 22.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27명

내용 : 그린에너지(신재생에너지) 관련 온라인 교육 및 그린에너지 기업 실무진 특강 운영, 참여수기 공모전 개최

성과 : 제주형 뉴딜정책 대비를 위해 그린에너지 기업에 대한 정보 및 현장 체험 기회 제공, 산학연계 실무 교육을 통한 재학생들의 졸업 전 진로 탐색 지원

평가 : “현장의 생생한 고충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타 전공학생임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분야를 쉽게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진로에 대한 확신이 생겼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는 신재생에너지에 관해서 전문가의 고견을 접할 수 있어서 만족했습니다.”

만족도 점수 : 4.48 / 5점

“JNU-N.C 서포터즈” 선발 및 활동

그린에너지 기업 탐방 및 교육 프로그램

(10)

2) 인권침해 온라인 신고센터 구축 및 운영

기간 : 2020. 7. 3. ~ 2021. 7. 2. <2차년도> ※ (최초 개설일) 2019. 7. 3.

내용 : 인권침해 사건에 대한 온라인 신고(익명 또는 기명) 시스템 운영

☞ 보안기술(IP주소 추적방지 등) 적용된 외부 컴플라이언스 전문업체 위탁

성과

- 철저한 익명성 보장 및 신고 접근성 제고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도 시간적 · 공간적 제약 없이 신고 가능 - 온라인 신고센터 사건 접수 비율 향상

향후계획 : 인권침해 온라인 신고센터 영문버전 개설 예정('21. 상반기) ☞ 외국인 대학 구성원 대상 신고 창구 마련

구분 '18년 '19년 '20년

전체 사건접수 건수 대비 온라인 접수건수 - 66.7% 84.6%

진로적성 심리검사 실시

프로그램명 기간 대상 내용 성과 만족도

월별

‘마음의 돋보기’

심리검사

2020. 7.

~ 2021. 1. 559명 MBTI 성격유형검사, U&I 학습유형검사, Holland 직업적성 검사 등 검사 진행

자신의 여러 모습과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이해를 증진시켜 성격양식 확인을 통한 방향성 제시

4.71 / 5

학점UP

& 희망UP 프로그램

2020. 11. 11.

~ 12. 24.

재학생 15명, 휴학생

63명

성적 경고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심리 검사 및 개별 컨설팅 진행

심리검사 및 상담을 통한 자기성찰로 성적경고 학생들의 대학적응력 제고 및 성적경고자 원인 별 특성을 고려한 개별 컨설팅 강화(학사과, 교육혁신본부와 공동 협업 운영)

-

장애학생 대상 마음동행 심리검사 프로그램

2020.

11. 24.(화)

장애학생 11명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 학생들 에게 MBTI성격유형검사 및 Mindfit(대학 생적응역량검사)검사를 진행하고 개별 해석상담 실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학생들의 선천적 선호경향성 및 대학생활 적응역량을 인식하고, 안정적이고 행복한 대학생활을 위한 조력 및 대학일자리센터 진로 심층상담 연계 지원(장애 학생지원센터, 대학일자리센터와 공동 협업 운영)

4.6 / 5

대단위 PSLT (대학생 심리 ·

사회 · 생활 · 특성 검사)

운영

2020. 8. 10.

~ 9. 29.

신입생 재학생 1,991명

PSLT 검사지를 개발하여 신청 재학생을 대상으로 검사 실시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창의융합형 인재의 인성 함양을 위한 학생상담 및 지도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 분석 결과를 학과별로 송부하고 지도교수 상담 및 대학생 행복충전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시 활용

- 맞춤형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진로적성 심리검사 실시

온라인 신고센터 구축

(11)

jeju national university 우수 프로그램 소개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1) 교수자 대상 “비대면 수업 활용도구 활용방법 교육” 운영

운영기간 : 2020. 8. 6. ~ 9. 4.(총 22회)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교직원, 학과 배치 수업 도우미 366명

운영내용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진행 됨에 따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비대면 수업 활용도구(WebEx, EverLec 등) 활용 교육 운영

운영성과 : 예상 인원보다 신청 인원이 많아 확대 운영하였으며 (15회→22회), ‘찾아가는 워크숍’(교육대학 사라캠퍼스, 의학전문대학원) 운영을 통해 수강생들의 편의와 만족도 증가, [제주대학교 비대면 수업 매뉴얼]을 제작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변화 시도

만족도 점수 : 4.45점 / 5점

2) 2020학년도「교수법 연구회」운영

일시 : 2020. 8. 24. ~ 12. 4.

대상 : 우리대학 재직 교원 대상 팀(전체 학과 대상) 105명

주제

- 수업개선(토론 · 토의, 문제중심학습(pbl), 팀기반학습(tbl) 등 전공별, 주제별 수업개선에 대한 교수설계) - 신교수법(융합 교수법, 플립러닝, 매체 개발, 비대면 수업노하우 등 비대면 수업도구 활용 내용)

성과 : 교수자의 연구모임 지원을 통해 학문 간 교수 방법에 대한 융합 연구의 기회 마련, 교수 역할에 따른 역량 모델링 수립과 공유, 교과운영 성찰을 통해 교수법을 향상하고, 실천적용을 통해 새 교수법 피드백 및 개선

만족도 점수 : 4.8 / 5점

3) 2020학년도「교수법 워크숍」운영

운영기간 : 2020. 8. ~ 12. 31.(총 11회 운영)

참여대상 : 제주대학교 교원 등 260명

운영목적 : 교육 주제별 전문가의 특강 및 실습 지원 사업을 의미하며,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자간 정보공유 및 의견교환을 지원함으로써 교수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공유 활성화 지원

운영내용 : 강의 활용을 위한 교수방법(플립러닝, 양적 · 질적 연구, 구글 활용, 게이미피케이션 등) 특강

운영성과 : 대학이러닝센터 활용 LMS 강의 탑재 등 비대면 교육 운영 여건 마련

만족도 점수 : 4.65 / 5점(11회 기준)

교수법 개선 프로그램

다양한 교수 요소 측면을 분석하여 강의기술의 개선점 도출 및 교육 품질 제고, 학습관리 체계 구축을 통한 핵심 역량 향상 및 교육 수요자 만족도 제고

추진 배경

2020학년도「교수법 연구회」운영

비대면 수업 활용도구 활용방법 교육

구분 운영현황

일반형 (5회 의무모임)

신교수법(5팀) 수업개선(3팀)

전임 전임 외 합계 전임 전임 외 합계

19명 6명 25명 9명 7명 16명

집중형 (10회 의무모임)

신교수법(8팀) 수업개선(4팀)

전임 전임 외 합계 전임 전임 외 합계

22명 20명 42명 17명 5명 22명

총 참여인원 105명

(12)

향후 추진 예정 프로그램

03

1) 인공지능 및 공간정보처리 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

일시 : 2020. 11. ~ 2021. 2.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 중인 학부생 및 대학원생

내용

- 파이썬, 공간정보처리(GIS), 인공지능, 마이크로데이터 온라인 교육 - 인공지능 및 공간정보처리 팀별 실습 프로젝트 운영

- 제주 지역사회 분석 경진대회 개최

기대효과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과 공간정보처리 기술을 접목하는 기술을 교육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력을 이끌어 내고, 팀별 활동을 통한 협동심 제고

2) VCE - 가상 기업 실습 프로그램

일시 : 2020. 12. ~ 2021. 1.

대상 : 제주대학교 재학생

내용 : 실제 근무환경 조성과 산학연계 기업의 핵심 업무 구현 및 실습 진행을 통한 가상 기업 현장체험 실습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와의 협업을 통한 공기업 실무 역량 함양 가상 기업 실습과정 운영

- 직접 체험하기 힘든 글로벌 기업(콘페리(Korn-Ferry))의 협업 프로그램 개발 및 기업의 실제 업무 내용을 가상으로 실습 체험

기대효과 : VCE(Virtual Company Experienced)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장기 적인 가상 기업 실습 프로그램으로의 정착, 업무 수행 오피스 인프라 구축, 가상 기업 실습을 통한 기업 측면에서도 부담이 적은 방식의 새로운 실습 · 학습 체계 도입

인공지능, 공간정보처리 교육 포스터

(13)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