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 중 건축공사에서 발생한 문제점(결과)과 그 원인이 어떻게 관련되며 영향을 미치는가의 상호관계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생선뼈 모양으로 도식화한 그림은?
① 파레토그램 ② 특성요인도
③ 히스토그램 ④ 층별
문 2. 표준관입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질토의 상대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② 추(해머)의 무게는 63.5 ± 0.5 kg이다.
③ 추(해머)의 낙하고는 76 ± 1 cm이다.
④ 샘플러(Split spoon sampler)를 지중에 50 cm 관입시킬 때까지의 타격횟수 N값을 측정한다.
문 3. 건설공사의 계약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은 사업시행자가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여 시설물을 완공한 후, 일정기간 당해 프로 젝트를 운영하고 운영기간이 종료되면 발주자에게 시설물을 양도하는 방식이다.
② BTL(Build-Transfer-Lease) 방식은 사업시행자가 시설물을 준공한 후, 일정기간 동안 운영권을 발주자에게 임대하여 투자비를 회수하며, 약정 임대기간 종료 후 시설물을 발주자 에게 양도하는 방식이다.
③ CM at Risk 방식(시공자형 CM)의 경우, CM 사업자는 시공자 역할을 병행하며, 주로 최대공사비보증계약(GMP ; Guaranteed Maximum Price Contract) 방식을 사용한다.
④ CM for Fee 방식의 경우, 설계나 시공관련 계약은 통상적으로 발주자가 직접 체결하며, CM 사업자는 일정계획이나 사업 조정 업무를 지원한다.
문 4. 지하연속벽(Slurry wall)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차수벽으로서 건축물의 본체로 활용할 수 있다.
② 다른 흙막이 벽체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나, 상대적으로 소음과 진동이 크다.
③ 벽체를 깊게 구축할 수 있다.
④ 벽체의 차수성 및 강성이 높아 지질조건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문 5. 미장면을 보호하기 위해 기둥과 벽 등의 모서리에 설치하는 보호철물로서 주로 황동재, 아연도금 철재, 스테인리스재 등이 있으며, 단면이 각형이나 둥근형으로 된 것은?
① 조이너(Joiner) ② 논슬립(Non-slip)
③ 메탈라스(Metal lath) ④ 코너비드(Corner bead)
문 6. 철골부재 접합에서 용접접합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강재의 절약
② 건물의 경량화
③ 응력 전달의 확실함
④ 접합 검사의 용이함
문 7. 네트워크공정표에서 주공정선(Critical path)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EST(Earliest Start Time)와 LST(Latest Start Time)가 동일한 작업들을 모두 연결한 경로
② EFT(Earliest Finish Time)와 LFT(Latest Finish Time)가 동일한 작업들을 모두 연결한 경로
③ TF(Total Float)가 0인 작업들을 모두 연결한 경로
④ FF(Free Float)가 0인 작업들을 모두 연결한 경로
문 8. 토질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간극비 : 흙입자 부피에 대한 간극 부피의 비
② 함수비 : 흙입자 무게에 대한 간극속 물 무게의 비
③ 포화도 : 간극 부피에 대한 간극속 물 부피의 비
④ 예민비 : 이긴시료의 부피에 대한 자연시료의 부피의 비
문 9. 철골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장용접을 하는 부위 및 그 곳에 인접하는 양측 100 mm 이내에는 도장작업을 하지 않는다.
② 고장력볼트로 마찰접합되는 마찰면은 붉은 녹을 자연 발생 시켜 사용할 수 있다.
③ 설계도서에 메탈 터치(Metal touch)가 지정되어 있는 부분은 표면을 거칠게 가공한다.
④ 철골 용접시 기온이 -5 °C 이하일 때는 용접하지 않는다.
문 10. 단순조적 블록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루쌓기 높이는 1.5 m(블록 7켜)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② 인방보는 양끝을 벽체의 블록에 200 mm 이상 걸친다.
③ 블록은 살두께가 큰 편을 아래로 하여 쌓는다.
④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를 사춤하는 높이는 3켜 이내로 한다.
문 11. 단열재의 요구성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열전도율이 낮을 것
② 비중이 낮을 것
③ 흡수율이 높을 것
④ 내열성이 클 것
2009 국가직 7급 ሲ㍓⢚ኳ㬗 ㇻ ㈃㯓 5 ほ
문 12. 현장치기 콘크리트에서 철근의 피복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복두께는 주근 단면의 중심에서부터 콘크리트 외면까지의 깊이를 말한다.
②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는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보다 피복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③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로서 철근 D 35 이하를 사용하는 슬래브와 비내력벽의 최소 피복두께는 20 mm이다.
④ 철근의 피복두께는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화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문 13. 철골공사에서 타워크레인 설치대수를 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철골 단위부재의 최대 중량
② 철골부재의 반입장소 및 작업반경
③ 철골부재의 개수
④ 철골설치 사이클 타임(Cycle time)
문 14. 방수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도막방수는 합성수지나 합성수지 용액을 여러 번 칠하여 소요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곡면이 많은 지붕 에도 시공이 용이하다.
② 시트방수는 합성고무계, 합성수지계, 고무화 아스팔트계의 시트를 바탕면에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지하철 및 건축물의 지하 방수공법으로 활용된다.
③ 지하실 안방수법은 시공이 용이하나 수압처리가 곤란하여 얕은 지하실인 경우에 사용되며, 시공 시기는 구체가 완성된 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④ 시멘트 액체방수는 콘크리트 면에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 하는 공법으로 보수가 용이하며, 외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옥상 노출방수에 적합하다.
문 15. 마감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타일공사에서 떠붙이기 공법은 부착강도가 낮고 백화현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내장용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② 커튼월 시공방법 중 스틱 시스템(Stick system) 공법은 작업이 단순하여 초고층공사에 유리하다.
③ 공동주택 각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은 경량충격음의 경우 58 ㏈ 이하, 중량충격음의 경우 50 ㏈ 이하가 되도록 한다.
④ 강화유리는 강도가 일반 유리보다 3 ~ 5배 정도 강하고 파손시 파편이 둔각으로 쪼개져 안전하지만, 현장 가공과 절단이 불가능하다.
문 16.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통합관리하는 EV(Earned Value) 기법에서 비용수행지수(CPI ; Cost Performance Index)를 나타내는 것은?
(용어)
PV(Planned Value) = BCWS(Budgeted Cost Work Scheduled) EV(Earned Value) = BCWP(Budgeted Cost Work Performed) AC(Actual Cost) = ACWP(Actual Cost Work Performed)
① PV - AC ② EV ÷ AC
③ EV - PV ④ EV ÷ PV
문 17. 가설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관비계에서 띠장(지상으로부터 첫 번째 띠장은 제외)의 수직간격은 1.5 m 이하로 한다.
② 가설울타리 높이는 1.8 m 이상으로 한다.
③ 강관틀비계의 전체 높이가 20 m를 초과하는 경우 주틀 간격은 2.5 m 이내로 한다.
④ 경사로의 경사각은 30 ° 이하로 한다.
문 18.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한 기초, 보옆, 기둥 및 벽의 거푸집 존치기간으로 옳은 것은?
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 N/mm2 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 될 때까지
②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12 N/mm2 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 될 때까지
③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1/2 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 될 때까지
④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100 % 이상에 도달 한 것이 확인 될 때까지
문 19. 시멘트 모르타르 미장공사에 대한 건축공사표준시방서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초벌바름 또는 라스먹임은 바름 후 2주일 이상 방치한다.
② 초벌바름은 흙손으로 충분히 누르고, 바른 후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한다.
③ 천장, 차양의 바름두께는 18 mm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④ 재료의 1회 비빔량은 4시간 이내에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한다.
문 20.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두께 0.8 m 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체에서는 두께 0.5 m 이상을 매스 콘크리트로 적용한다.
② 외부구속을 많이 받는 벽체에서 균열발생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균열유발 줄눈의 단면 감소율은 10 ~ 15 % 정도로 한다.
③ 균열유발 줄눈의 간격은 4 ~ 5 m 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④ 매스콘크리트는 온도균열지수를 이용하여 균열발생의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2009 지방직 7급 ሲ㍓⢚ኳ㬗 E ㈃㯓 6 ほ
ሲ㍓⢚ኳ㬗
문 1. 통계적 품질관리에서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방법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앙값(median) :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배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값을 말한다.
② 최빈값(mode) : 도수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의 특성값을 말한다.
③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 표준편차를 중앙값으로 나눈 값이며,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한다.
④ 분산(variance) : 변동을 데이터의 수로 나눈 값으로, 편차 제곱합의 평균을 말한다.
문 2. MCX(Minimum Cost Expediting) 기법에서 공기단축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기단축 시 주공정선(critical path)에 위치한 작업을 대상으로 한다.
② 일반적으로 비용구배가 가장 최대인 작업부터 단축을 시도해야 한다.
③ 공기단축 후 보조주공정선(sub-critical path)의 발생을 확인 해야 한다.
④ 총공사비가 가장 적은 지점을 최적 공사기간으로 산정한다.
문 3. 설계․시공 일괄계약(design-build contract)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설계와 시공업무의 통합 및 책임의 일원화로 발주자의 리스크가 최소화된다.
② 설계변경이 많이 발생하고 사업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③ 필요에 따라 패스트 트랙(fast track)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④ 발주자의 입찰업무가 간소화된다.
문 4. 공통가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가설울타리
② 가설전기
③ 가설도로
④ 가설비계
문 5. 파이프 회전용 선단에 커터를 장치하여 지중으로 파 들어간 후 파이프 선단에서 모르타르를 분출시키면서 흙과 모르타르를 혼합하고 파이프를 빼내 소일 콘크리트 말뚝(soil concrete pile)을 시공하는 공법은?
① CIP공법
② PIP공법
③ MIP공법
④ SIP공법
문 6. 가설공사의 안전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평개구부에는 12 mm 합판과 45 × 45 mm 각재, 동등 이상의 자재를 이용하거나, 슬래브 철근을 연장하여 배근하고 수평 개구부 보호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시에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높이 1.2 m 이상, 수직방향 7 m 이내의 간격으로
∅48.6 강관(두께 2.4 mm) 등을 사용하여 안전대걸이를 설치하고, 인장강도 14,700 N 이상인 안전대걸이용 로프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엘리베이터 홀 내부 및 구조체 외부 등과 같이 작업 중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있는 곳에는 가설공사표준시방서에서 정하는 추락방호망을 설치 지점에서 작업 위치까지의 높이 15 m 이내에 설치한다.
④ 낙하물방지망은 높이 10 m 이내 또는 3개 층마다 설치한다.
낙하물방지망의 내민 길이는 비계의 외측에서 2 m 이상, 방지망의 겹침 길이는 150 mm 이상으로 하고, 수평면과 방지망의 경사각도는 20 ~ 30 °로 한다.
문 7. 총 실행예산(Budget At Completion : BAC)이 400억 원인 어떤 건설 프로젝트를 시공하고 있다. 현재 190억 원의 비용을 공사에 투입하였으며, 공정률 40 %를 완료하였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현재까지 45 %가 완료되었어야 한다. 이 경우 비용지수(Cost Performance Index : CPI)는?
① 0.84 ② 0.94
③ 1.06 ④ 1.19
문 8.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지정의 구조강도상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말뚝의 중심간격은 지름의 2.5배 이상 또는 900 mm 이상으로 한다.
② 말뚝의 최소지름은 250 mm 이상으로 한다.
③ 주근의 철근비는 0.5 % 이하로 한다.
④ 피복두께는 60 mm 이상으로 한다.
문 9. 콘크리트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는 타설기계가 위치하는 장소로부터 가능한 먼 곳에서 타설하고, 기둥이 들어 있는 벽에서 기둥부 위로 부어넣어 콘크리트를 옆으로 흘려보내어 타설한다.
② 타설이음부의 위치는 구조부재의 내력에의 영향이 가장 작은 곳에 정하고, 보, 바닥슬래브 및 지붕슬래브의 수직 타설이음부는 스팬의 중앙부근에 주근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③ 콘크리트 타설 시 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슈트는 수직형 슈트로 하고, 이것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만 경사슈트를 사용하며, 경사 각도를 30 ° 이상으로 한다.
④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에는 7일 이상 거적 또는 시트 등으로 덮어 물뿌리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수분을 보존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