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년 월 발효된 싱가폴과의 는 동아시아의 주요 인접교역국과의 본

2006 3 FTA

격적인 협정으로 당시 싱가폴과의 수산물 무역 비중은

0.4%

에 불과하였음 한 싱가폴

FTA

의 수산부문 양허율은

56.2%

로 한국이

FTA

를 체결한 국가

제 장2 FTA 추진 현황 33

들 중 가장 보수적으로 평가되고 있음

발효 이후인 년 년에 나타나는 효과는 아래의 그림

FTA 2006 , 2007 FTA <

와 같이 수산물 수출입 교역에 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2> FTA

Ⅱ 보임

그림 싱가폴 수산물 수입 추이

< Ⅱ-2>

6,316

10,075 10,272 10,211

8,236 8,723 9,738

9,391

7,318 7,431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단위 : 천 달러)

자료: 한국수산물 수출입 조합((http://www.kfta.net)

제 절 페루의 3 FTA 수산분야 추진 현황

페루의 개요 1. FTA

최근 페루는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수출증대의 필요성과 중요성

을 절감하고 이를 위해서는

FTA

를 추진하고 있음

페루는 근거리의 칠레 멕시코 쿠바 및 남미공동시장

, , (Mercosur)

등과 무역

자유화 및 투자촉진을 위하여 지역경제협력 성격으로 경제보완협정(ACE, 을 체결함

Acuerdo de Complementaction Economica)

표 페루 경제보완협정 체결 현황

< Ⅱ-2>

국가 체결연도 주요 내용

안데스공동체 페루 볼리비아( , ,

콜롬비아 에콰도르, ) 1997 - 9년 간의 단계적 관세 인하를 끝내고 전 품 목 무관세 적용

남미공동시장 브라질( ,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 ,

베네수엘라)

2003 - 일부 품목 특혜 관세 적용 중

멕시코 1987

일부 품목 특혜 관세 적용 중 -

주기적으로 재협상 기간 연장 중이며 최근 -

전환을 위한 협상 진행 중 FTA

칠 레 1998 - 무역자유화 및 투자촉진 중점 자료: 한국무역협회

페루는

2006

년 미국과의

FTA

협정을 계기로 캐나다 중국 싱가폴 한국

, , , ,

일본 태국 등 원거리 국가들과 를 추진하고 있음

EFTA, EU, , FTA

표 페루의 현황

< Ⅱ-3> FTA

대상국가 내역

발효국

미국

협상개시 : 2004.5.18

체결 : 2005.12.7(13차 협상) 발효 : 2009.2.1

캐나다

협상개시 : 2007.7.16

체결 : 2007.12.1(총 회 협상4 ) 발효 : 2008. 5.29.

싱가폴

협상개시 : 2006.8.14

체결 : 2007.8.29(총 회 협상4 ) 발효 : 2008. 5. 29.

칠레

협상개시 : 2005. 1.11 체결 : 2006. 8.22 발효 :2009. 3.1 체결국

중국 협상개시 : 2006.11.18

체결 : 2009.4.28(총 회 협상6 )

태국 협상개시 : 2004.1.29

체결 : 2006.11.16(총 회 협상7 ) 협상국

EFTA 협상개시 : 2007.6.4

EU 협상개시 : 2007.9.17

일본 협상개시 : 2009.5.25

제 장2 FTA 추진 현황 35

페루 미국

2. ㆍ FTA

년 월 일부터 시작된 페루 미국간의 는 차 협상을 거쳐

2004 5 18 FTA 13

○ ㆍ

년 월 일 부시 대통령이 페루 미국 에 공식 서명함으로써 타

2007 12 14

FTA

결되었고 비준 절차를 완료하고

2009

년 월 일 발효되었음

2 1

부시 대통령은

“FTA

체결협상을 진행하던 지난 년 동안에도 양국 간 교

3

역이

90

억 달러에 이르러 협상 전과 비교해 두 배나 성장했다 고 말했으며

가 발효 됨으로써 이상의 미국제품이 무관세로 페루시장에 진출

“FTA 80%

하게 됐으며 페루 기업도 거대시장 미국으로 더 수월하게 수출할 것이다

, ”

고 예상하고 있음

페루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도 양국의 경제협력과 기술이전으로 빈곤퇴치

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하였음

페루와 미국은 무역특혜협정을 체결하였는데 주요 내용으로 페루는 엔진,

자동차 부품 광산 및 건설장비 등 재제조품의 수입제한을 철폐하였고 미

, ,

국산 쌀 옥수수 설탕 낙농제품 등 페루의 민감 농산물에 적용하였던 가

, , ,

격밴드4)를 없애기로 합의함

페루와 미국의

FTA

수산물 관련 부분의 관세 기준세율은

12%

로 합의 하

였고 철폐유형은

A(

즉시 철폐

), B(3

년내 철폐 를 채택함

)

페루 중국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