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漢代 고용노동을 활용한 여러 시책들

앞에서는 주로 국가의 役制 경영 방면에서 고용노동의 활용 방식을 援用한 사례들과 그 내역 및 그로 인한 役制上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 았다. 아울러 그 작업 과정에서 종래 여러 이견의 난립으로 불투명하 였던 更役制 해석상의 몇 가지 난점들이 해명될 수 있었다.

한편 국가 경영상의 고용노동 援用 현상은 役制 방면에만 그칠 수 없는 것이었다. 成帝 永始 연간에 昌陵 건설로 많은 폐해가 발생하였 을 때 이전에 大司農中丞이었던 常侍 王閎이 공사의 중단을 奏請하여 큰 공을 세운 바 있었는데 안사고는 대사농중승을 주석하길 “司農中丞 主錢穀顧庸, 故云典主”라 하였다.75) 즉 국가의 雇傭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 관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서 권70 「陳湯傳」에 의하면 그 昌陵 건설 공사에 “卒徒工庸의 비용이 鉅萬數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정부의 대형 공사에는 卒徒의 징발 뿐 아니라 傭賃을 주고 工人 등을 고용하는 일이 많았다.

특히 官需物資의 운송에는 상당 부분 雇賃에 의지하였다. 한서 「 식화지」에서 桑弘羊은 균수평준법의 시행을 주장하면서 “여러 관부에

74) 위의 책, p.62.

75) 한서 권10, 「成帝紀」, 永始3년조.

서 각자 물자를 구입하느라 서로 다툰다. 때문에 물가가 급등하고, 천 하의 賦輸 수입이 그 僦費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사항을 제시한 바 있 다.76) 僦는 곧 운송기구와 그 인력을 雇傭하는 것인데(師古注) 징수된 賦稅類의 운송에 관용의 운송기구로는 부족하여 민간의 운수업자와 그 기구를 雇傭하는데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九章算術均輸篇에는 “今有均輸粟, …… 乙县傭價一日一十錢, 到輸所 七十里, 丙县…傭價一日五錢, 到輸所一百四十里ㆍㆍㆍ…” 등 수송해야 할 현까지의 거리에 따른 일당 傭價 계산문제가 있다. 이 뿐 아니라 武帝期에 시행된 재정 증수를 위한 새 정책들은 대부분 定例의 징발 노동력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것이어서 새로 대규모의 고용노동에 의지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이었다. 무제시 재정 궁핍의 상황에서 대사농이었던 鄭當時는 “빈객 등을 大司農 僦人으로 任用하였다”고 하 였다.77) 사기 「평준서」 索隱引服虔云, “雇載云僦”라 하였다. 宣帝 때 대사농 田延年은 民의 牛車 三萬兩(乘)을 僦(雇賃)하여 능묘 건설에 모래를 실어 날랐다. 이 때 車 1兩 當 僦直(雇賃費)이 1천전이었다고 하였다. 그는 1량 당 2천전을 증액하여 장부상에 기록한 후 그 반을 횡령한 죄로 고발당했다.78) 僦人은 私有 또는 官有의 牛馬車등 운송기 구와 인력을 지니고 관부의 물자 운송을 下請받아 종사하는 업자들이 다. 진한에서 <走馬樓吳簡>의 삼국시기까지 이러한 僦人 고용의 사례 가 이어진다. 이러한 모습과 사정은 앞에 든 전국진의 <운몽진률> 「 效律」에서 백성이 관부에 나아가 僦人으로 轉運(移輸)의 일을 맡는 것 을 처벌한다는 규정에 크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제 그러한 일이 관부 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무제기의 신재정책 시행 이래 운송비용 등 다방면의 비용이 크게

76) 한서 「식화지」에 “弘羊以諸官各自市相爭. 物以故騰躍, 而天下賦輸或不償其 僦費.” 注에 ”師古曰, 僦, 顧也. 言所輸賦物不足償其餘顧庸之費也.”

77) 史記 卷一百二十, 「鄭當時傳」에 “及晩節, 漢征匈奴, 招四夷, 天下費多, 財 用益匱. 荘任人賓客為大農僦人, 多逋負.”

78) 한서 90, 「혹리전」 田延年條에 “初, 大司農取民牛車三萬兩爲僦, 載沙便橋 下, 送致方上, 車直千錢, 延年上簿詐增僦直車二千, 凡六千萬, 盜取其半.”

증대되어 조정의 창고는 텅 비게 되었고, 이를 메꾸기 위해 또 다른 대규모의 사업들이 연이어졌다. 그 가운데 豪民 내지 빈민 유민, 被災 民들에게 公田 또는 荒地 등을 假貸하여 그 임대료를 조세로 징수하는 시책이 있다. 유민ㆍ피재민 등을 위한 구호용으로서의 假貸일 경우는 수년간 부세역의 면제 혜택을 주기도 하였지만 豪民의 이른바 ‘分田劫 假’에 의해 일반 조세보다 고율인 경우도 있었다.79) 어떤 경우이든 그 假貸의 성격은 공전 소유자인 정부가 경작 인력을 새로 고용한 형태였 다. 武帝 때 甯成은 “陂田千餘頃을 빌려서 빈민에게 假하고 數千家를 役使시켰다”고 하였는데80) 안사고는 이 ‘假’를 “假謂雇賃也”로 주석하 였다.

또한 염철전매와 균수평준의 운영은 그 성격상 엄청난 고용노동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특히 鑄錢 방면에서는 私鑄든 官鑄든 모두 顧 租(傭賃 雇傭)에81) 의지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이 방면에 서는 기존의 상인과 수공업자를 고용하여 운영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 루었다. 아울러 그들의 자본 투입을 유도하여 활용하기도 하였다. 한 서식화지에 “募豪富人相假貸”라거나, “募民自給費” 등은 그러한 사실 을 말한 것이다. 이후 武帝 時의 신재정책은 부분적으로 잠시 중단된 적은 있지만 전한말까지 거의 지속되었고, 왕망은 이를 부분적으로 더 욱 확대하여 시행한 셈이다. 이러한 정부 주도의 경제정책은 소요되는 노동력이 방대한 것이어서 更卒이나 형도, 謫民, 노비, 유민 등 외에 다급한 사정으로 고용노동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진전에 따 라 고용노동 운영이 점차 일반화 내지 보편화되는 경향이 있게 된 것 으로 생각된다.

후한 초 이래 武帝期 이래의 신재정책 일부분이 중단되거나 쇠퇴되

79) 한 대의 分田劫假에 대해서는 王彦辉, 「漢代的“分田劫假”與豪民兼并」 (東北 師大學報: 哲社科版5, 總187期, 2000) 참조.

80) 한서 권90, 「酷吏傳」, 甯成條에 “乃貰貣陂田千餘頃, 假貧民, 役使數千家.”

81) 한서 「식화지」에 “法使天下公得顧租鑄銅錫爲錢, ….” 注에 “師古曰: 顧租, 謂顧庸之直, 或租其本.”

는 가운데 군사제도에 있어서도 상비군으로서의 군현병(正卒)이 일단 폐지되고, 募兵에 주로 의존하게 된 것도 그 영향의 일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후한 초 이래 국가경제 운영 여러 방면에 고용노동을 援用하는 형태가 자주 보인다. 광무제 建武3년에 “여자 형도를 雇山하 게 하고, 귀가시킨다(女徒雇山歸家)”고 하였다. 여기서 雇山이란, 여자 죄수는 귀가시켜 주고 대신 每月 出錢해서 타인을 고용하여 산에서 伐 木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82) 후한서 권3 「章帝紀」 元和원년조에 전 토가 없는 지역의 주민들이 肥饒한 땅으로 이주하고자 하거든 허용해 주고, “公田을 賜給해주고, (그들을) 고용하여 경작하고, 종자와 식량 을 빌려주며…”83)라 하였다. 즉 公田을 빌려주는 것을 “(그들을) 고용 하여 경작한다(為雇耕傭)”고 하였다. 公田의 假貸는 이전에도 있었던 일이지만 그 운영방식은 일정 기간 농업노동력을 국가가 고용하는 것 과 같기 때문에 “為雇耕傭”이라 한 것이다. 그리고 그 고용의 傭賃은 종자와 식량 및 田器를 빌려주고, 수년간 賦稅를 면제해주는 것이다.

또 자연재해로 인한 유민과 빈민에 대한 구호조치로 이들을 관부에서 傭賃을 주고 고용하여 여러 작업에 사역시키는 시책이 펼쳐진다. 이러 한 형태는 현대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모습과 같다. 후한서에 “其 以見錢穀取傭”이라거나, “以見錢雇直”이라 한 것은 그것을 기술한 것 이다.84) 또 농사지을 형편도 못되는 빈농에게 국가가 犁牛 및 그 傭賃 費를 지원해주는 시책도 편다.85) 후한서 권58 「虞詡傳」에 “永平(明

82) 후한서 권1上, 「光武帝紀」, 建武三年條에 “女徒雇山歸家”의 注引 前書音 義曰 “令甲: 女子犯徒遣歸家, 每月出錢雇人於山伐木, 名曰雇山.”

83) “其令郡國募人無田欲徙它界就肥饒者, 恣聽之. 到在所, 賜給公田, 為雇耕傭, 賃種餉, 貰與田器, 勿收租五歲, 除筭三年.”

84) 후한서 권1, 「光武帝紀」 下, 建武22년조에 “吏人死亡, 或在壞垣毀屋之下, 而家羸弱不能收拾者, 其以見錢穀取傭, 為尋求之.”

후한서 권7, 「桓帝紀」, 永壽元年조에 “司隸ㆍ冀州飢, 人相食. 敕州郡賑給貧 弱. 若王侯吏民有積穀者, 一切貣十分之三, 以助稟貸. 其百姓吏民者, 以見錢雇直.

王侯須新租乃償.”

85) 후한서 「和帝紀」, 永元16년조에 “遣三府掾分行四州, 貧民無以耕者, 為雇犁 牛直.”

帝期) 章和(章帝期) 중에 州郡이 走卒錢으로 貧人을 給貸(雇賃金을 지 급)하였다”고 하였다. 필자는 전고에서 그 사정에 대해 자세히 해설한 바가 있다.86) 走卒錢이란 三百石 官長 이상의 관리를 導從하는 走卒 伍伯 등 下吏들의 職役을 면제해주는 대신 그 면역전으로 징수하는 것 인데 州郡에서 走卒錢을 징수하여 그 역을 면제시켜주고, 대신 빈궁 한 자를 그 役에 고용한 것인데 不法이었다. 이러한 불법 행위가 후한 明帝期 이래 있었고, 順帝 때 그 범법자들이 탄핵되고 있다. 渡邊信一 郞은 導從役이 民으로부터 강제 징발된 것이었는데 후한 초에 이미 走 卒錢이 징수되고, 특정 임무는 면역전을 재원으로 한 고용노동으로 전 환되었다고 한다.87) 그러나 章帝 이후 50여년이 지난 順帝期에 옛 사 례로서 지적되고 있는 것에 의하면 고용 노동으로의 진전이 전면적 내 지 제도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음을 뜻한다. 어떻든 導從役의 고 용 방식 운영이 不法이었다 함은 그것이 본래 導從役의 의무자가 정해 져 있고, 그들을 징발하는 형식으로 운영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錢이 있는 자로부터 走卒錢을 받고 이 재원으로 빈한한 자를 고용하여 雇賃을 지급하는 不法을 행하게 되는 것은 바로 이어지는 지적에서(

후한서 권58 「虞詡傳」) 지방관들의 謫罪人에 대한 贖錢 강요의 사례 와 마찬가지로 관리들의 私利 도모에 의한 것이다. 또한 그 의무자에 富者가 있어 그 實役을 피하고자 하는 자들이 있었음을 말해준다. 이 러한 사정과 현상도 결국 직역의 징발체제를 국가 또는 官長 주도 하 에 고용 노동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한편 후한 광무제 건무6년 郡國의 都尉官 폐지, 동 7년에 輕車ㆍ騎 士ㆍ材官ㆍ樓船士 등의 군현상비군을 폐지하여 民伍로 돌아가게 한 이 래88) 모병제의 비중이 커졌다. 특히 후한 말에는 전란상황에서 중앙정 부가 刺史 군수 등 지방장관에게 모병의 權을 줌으로써 이들은 거의

86) 박건주, 앞의 「중국 고대의 職役과 職官의 문제」.

87) 渡邊信一郞, 中國古代の財政と國家 (汲古書院, 2010, 第三章), p.128.

88) 後漢書 권1하, 光武帝紀下 建武六年條에 “是歲, 初罷郡國都尉官.”

同 7년조에 “詔曰: 今國有眾軍, 並多精勇, 宜且罷及軍假吏, 令還復民伍.”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