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상에서 前漢 중후기 서북 변경지역의 문서전달 노선과, 이들 노선 에서 실제 문서전달을 담당한 중간 驛站기구의 설치 상황에 대해 살펴 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臨木, 誠 北, 呑遠, 不侵部로 구성된 甲渠河南道上塞는 居延都尉府와 肩水都尉 府, 張掖郡을 연결하는 중요 문서전달 노선이었으며, 이 노선 상에서 문서전달을 담당한 기구는 部의 최남단과 최북단 亭隧였다. 그리고 이 들 亭隧는 步行을 통해 일반 문서를 전달한 것으로 생각되며, 部와 部 사이의 거리는 20里 정도로 보인다. 둘째, 甲渠河南道上塞에는 呑遠置 를 중심으로 驛이 부설된 亭隧가 있었는데, 武疆驛, 萬年驛, 止害驛 등 에 배치된 驛馬를 통해 긴급 문서가 전달되었다. 셋째, 懸泉置 주변지 역은 敦煌郡을 동서로 관통하는 主幹 郵路로서 문서전달을 담당한 기 구로는 置, 騎置, 亭 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騎置에 배치된 驛騎를 통해 긴급문서가 빠르게 전달되었으며, 置와 亭을 통해서는 일 반문서가 전달되었는데, 亭에서는 步行의 속도로 이들 문서를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당시 대규모 종합 郵傳기구로 설치된 置와 置 사이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 점을 보완하기 위해, 置와 置 사이 의 중간 지점에 騎置(=驛)와 亭(=亭隧) 등이 20-25里의 일정한 간격으 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置, 騎置(驛), 亭(隧)으로 구성된 3급의 郵傳기 구가 문서전달의 노선 상에 배치된 것은 甲渠河南道上塞의 군정 지역 이나, 懸泉置 주변의 민정 지역 모두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상에서 살펴본 甲渠河南道上塞와 懸泉置 인근 지역 문서 전달 노선의 郵傳기구 배치는 河西4郡이 개척된 前漢 武帝期 이후의 상황에만 해당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서는 秦과 漢初의 郵傳기구 배치 상황은 알 수가 없다. 또한 懸泉置 주변 지역 문서전달 노선에 배치된 郵傳기구의 체계가 內郡 지역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亭’

이 郵傳기구로 활용되고 있는 점은, 이 지역 역시 ‘변경’으로서의 특수 성을 일정정도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하고 있다. 그렇다면 秦과 漢初의 郵傳기구는 어떤 식으로 배치되었으며, 문서전달의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內郡 지역과 변경 지역에서 郵傳기구로서의 ‘亭’이 각각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통해 조금은 혼란스럽게 보이는 당시 郵, 亭, 傳, 驛, 置 등 郵 傳기구의 기능과 역할을 구분하는 이해의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부분들에 대한 연구는 추후의 과제로 남기도록 한다.

<參考文獻目錄>

金慶浩, 居延漢簡《元康五年詔書冊》의 內容과 文書傳達 (中國古中世史硏究16, 2006)

吳峻錫, 秦漢代의 郵傳기구와 문서전달체계 (東洋史學硏究109, 2009) 高榮, 漢代甲渠候官郵程考 (史學論叢2000-9)

高榮, 漢代西北邊塞的郵驛建置 (簡牘學硏究3, 2002)

高榮, 秦漢郵驛交通建設與後勤管理 (中山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4-5) 王棟梁, 從懸泉漢簡看漢代的郵驛制度 (社科縱橫2007-6)

陳夢家, 漢簡考述 (考古學報1963-1, 中華書局, 1980)

李均明, 漢簡所見“行書”文書述略 (秦漢簡牘論文集(甘肅省文物考古硏究所 編), 甘肅人民出版社, 1989)

宋會群․李振宏, 漢代居延地區郵驛方位考 (河南大學學報(社科版) 1993-1) 宋會群․李振宏, 漢代居延甲渠候官部燧考 (史學月刊1994-3)

張俊民, 敦煌懸泉漢簡所見的“亭” (南都學壇2010-1)

張俊民, 懸泉漢簡所見郵驛制度初探 -以律令制度簡爲中心的考察 (漢帝國的制 度與社會秩序, Oxford University Press(China), 2012)

張經久․張俊民, 敦煌漢代懸泉置遺址出土的“騎置”簡 (敦煌學輯刊2008年 第2 期)

何雙全, 漢代西北驛道與傳置 -甲渠候官懸泉漢簡〈傳置道里簿〉考述 (中國歷 史博物館館刊1998-1)

鷹取祐司, 秦漢時代の文書傳達方式 -以郵行․以縣次傳․以亭行- (立命館文學619, 2011)

藤田勝久, 中國簡牘にみえる文書傳達と交通 -東アジア資料學の基礎として ( 料學の方法を探る10, 2011)

永田英正,居延漢簡の硏究(同朋舍, 1989)

吉村昌之, 居延甲渠塞における部隧の配置について (古代文化50-7, 1998) 冨谷至,文書行政の漢帝國(名古屋大學出版會, 2010)

鵜飼昌男, 居延漢簡にみえる文書の遞傳について (史泉60, 1984) 畑野吉則, 敦煌懸泉漢簡の郵書記錄簡 (資料學の方法を探る10, 2011)

藤田高夫, 漢代西北邊境の文書傳達 (古代東アジアの情報傳達, 藤田勝久․松原 弘宣 編, 汲古書院, 2008)

藤田勝久, 中國簡牘にみえる文書傳達と交通 -東アジア資料學の基礎として ( 料學の方法を探る10, 2011)

張經久․張俊民, 敦煌漢代懸泉置遺址出土的“騎置”簡 (敦煌學輯刊2008年 第2 期)

(中文摘要)

漢代的文書傳達路線與郵傳機構的設置

吳 峻 錫

中國的古代帝國――稱之爲秦漢帝國統一後, 爲了統治廣闊疆域, 使之成 爲可能是以最基本的條件來運作的文書行政的發展. 爲了順暢的文書行政, 就必須具備完整的文書傳遞系統. 像在中國這樣廣闊的疆域中就需要強而 有力的行政能力和經濟實力, 加之在交通和通信都不發達的古代, 能形成這 麼完備的制度是相當困難的事情. 分析這種文書傳遞系統就成爲了理解秦 漢帝國統治結構的核心內容. 在這種情況下, 本文中將以漢代邊境地域的文 書傳達路線和郵傳機構的設置爲中心進行考察研究. 還有通過這種邊境的 情況的考察, 想理解內地的一般的情況.

本文的主要觀點整理如下: 第一, 構成臨木, 誠北, 呑遠, 不侵部的甲渠 河南道上塞, 就是連繫居延都尉府和肩水都尉府

張掖郡的重要文書傳達 路線, 這個路線上文書傳達機構就是部的最南端和最北端亭隧. 還有這個亭 隧通過步行傳達了一般文書, 部和部中間的距離就是20-25里左右的. 第二, 甲渠河南道上塞中也有帶有驛的亭隧――例有武疆驛, 萬年驛, 止害驛等的 亭隧. 這個路線上的驛站通過驛馬傳達了緊急文書. 第三, 懸泉置周圍的地 方就是爲敦煌郡東西一貫的主幹郵路, 這個路線上文書傳達機構中也有置, 騎置, 亭等的機構. 第四, 騎置呢, 通過驛騎快速傳達了緊急文書, 置和亭 呢, 通過步行傳達了一般文書. 第五, 置和置中間的地點設置了騎置(=驛)和 亭(=亭隧), 它們的互相距離就是20-25里左右的. 還有構成<置-騎置(驛)- 亭(隧)>的3階段郵傳機構呢, 也在甲渠河南道上塞的軍政地域, 也在懸泉置 周圍的民政地域都一樣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