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명대 정치사에 나타난 특징 중의 하나인 환관제도에 주목하여, 명초 환관외교의 실태와 그에 따른 특성을 살펴봤다.
환관은 황제의 이목이다. 환관은 황제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으 며, 이로 인하여 황제와 환관들은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황제는 환관에게 궁정 내의 일, 궁성 밖의 정세나 관
132) 太宗實錄 卷130, 永樂10年 7月 癸卯條, “上謂都察院臣曰 比者朕慮在外諸司 行事惑于民有不便. 問遣中官往詢之. 比聞中官多有干與有司事者 自今不許 卽移 文中外知之.”
료의 동향을 알아내는 일 외에 대외적으로 외교 관계에 관여하는 특별 한 임무도 부여하였는데, 명초 환관외교의 실태를 명조 정치사적인 측 면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홍무기의 외교는 대체로 ‘朝臣中心의 외교’였다. 주지하다 시피 환관이 처음부터 외교 관계에 관여한 것은 아니었다. 명왕조를 세운 주원장 태조 홍무제는 강력한 중앙집권제를 꾀하는 한편, 환관에 대해 서는 엄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는 한·당대 환관 발호의 폐단을 지적 하면서 후손들에게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 던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명초 홍무기에 외국으로 나가는 사절은 주로 朝臣들 이었다. 조신들 가운데도 지위가 비교적 낮은 行人들이 많았다. 그러나 조신들이나 행인들의 出使에는 한계가 있었는데, 그것은 외국에 출사 한 행인이 해당국의 토속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므로 상호 의사소통에 한계를 가진다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불통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하여 홍무제는 통역 및 번역의 일을 맡은 관리, 곧 ‘通事’를 두었 고, 중국어와 주변 외국어를 대조하여 해석할 수 있는
華夷譯語
를 편 찬하면서 한계를 극복하려 노력하였다. 그리고 홍무기 후반에 환관 외 교가 보이기도 하나 전체적으로 ‘朝臣中心’의 외교적 성격이 강하였다.둘째, 영락 연간에 들어서는 ‘朝臣中心의 외교’에서 ‘宦官中心의 외 교’로 전환되었다. 그렇게 된 데에는 출사한 조신들의 언어불통도 문제 지만, 또 다른 중요한 원인은 朝臣에 대한 불신이었다. 국초에 홍무제 나 영락제는 조정 臣下를 신임하기보다는 宦官을 더 신임하였기에 해 외로 出使하는 일에는 조신보다는 心腹인 宦官으로 대체시켜 나갔다.
또한 宦官은 천자 개인의 신하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그 들의 해외 출사는 公․私 양면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강점도 지니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공적인 조신을 파견하는 것보다 公․私 양면성 을 지니고 있는 宦官을 파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도 작용하 였던 것이다.
셋째, 명초 환관외교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나는 직접 해외 사절로 파견되는 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市舶司를 관장하는 일이었다. 宦官의 잦은 외국 출사와 시박사 감독은 그들의 권력에 탄력을 주어 마침내 宦官의 국내 정치 간여에 힘을 실어주었고 자연히 환관의 권세는 비대해져갔던 것이다.
넷째, 명초 환관외교는 대상 지역의 광범위성, 출사의 빈번성에서 다 른 시기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다. 특히 영락 연간에는 조선, 일본, 안 남, 동남아시아, 서역 등 넓은 지역에 걸쳐 많은 조공국가를 지니고 있 었던 것이다
다섯째, 명초 환관외교는 환관의 국외문제 간여로부터 국내정치 간 여로의 위치 전환을 가져다 주었다. 宦官은 잦은 외국 출사로 말미암 아 차차 “국외문제”에서 “국내 정치”에 간여하게 되었고, 이것은 대내 적으로는 ‘환관의 정치개입’이라는 발판을 만들어주었다. 환관의 정치 개입은 “外”에서 “內”로의 무게 중심 이동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실로 명초 환관 외교는 이중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곧 환관외교가 외적으로는 폐단도 있기는 하였으나 주변국가와의 우호 및 교류를 촉 진시켜 명조 중심의 중국질서 확립의 방향으로 기능하였고, 동시에 내 적으로 宦官의 정치 개입이라는 선례를 열어 주었던 것이다.
(中文提要)
明初宦官外交活动的实态及其特性
全 淳 東
宦官是皇帝的耳目
。
宦官为皇帝提供情报,所以皇帝和宦官自然形成了 信赖关系。
依托这种关系皇帝往往会给宦官一些特别的任务。
如皇帝無法 得知的宫城外的政事、
官僚的动向、
甚至深入地参與外交。
但宦官不是一开始就参與外交的
。
建立明王朝的太祖洪武帝朱元璋是一 位高度中央集权制的皇帝,对于宦官他实行了严厉的政策。
他指出汉·唐代 的宦官的错误,鉴于前车之鉴他告诫后代对宦官要警戒。
在那种情形下明 初派往外国的使者主要是朝臣们。
朝臣中大部分是地位比较低的行人。
但是无论是朝臣还是行人的出使都存在一定的局限性,其局限性表现在 出使外国的行人不能流利的使用使国的语言
。
因派出使者中的行人不能流 利地用使国的语言进行沟通,这就导致两国间交流出现了问题。
对于外交官来说,语言必不可少的要素
。
为了解决语言不通的问题洪武 帝设立了专门负责翻译与语译职位,这个职位叫“通事”。
通事當中大部分 是归于明朝的蒙古人、
新疆人和善于西域语言的人。
洪武15年1382年)还 撰写了用汉语对照周边国家语言的“华夷译语”。
永乐帝年间因和周边少数民族與附属国之间的往来增多,专门设立了翻 译公文书的‘四夷馆’和负责與外国使者交流
、
外国语教育的‘会同馆’。
之后明初出使外国使者由原来的朝臣逐步替换成了宦官外交
。
这种变化 不只是因为朝臣使者语言交流的原因还有就是对朝臣们的不信认。
明朝建 国初無论是洪武帝还是永乐帝对大臣的信认度远远没有对宦官的信认度 高,致使出使国外的事务中皇帝的心腹宦官代替了朝臣。
因为皇帝们认为 宦官只会单一执行任务而不会增强自已的势力。
所以洪武帝能轻易控制宦官,并在洪武帝后半时期宦官出使增加很多,
永乐帝时期重用宦官,出使朝鲜
、
日本、
安南、
东南亚、
西域等国家。
明初开始周围的外藩和外族供给了很多宦官,其中朝鲜、
安南、
蒙古和 西域的宦官较多,让这些宦官作为使臣派往出身国,是因为语言上没有障 碍、
风俗习惯上的矛盾,这样可以更为圆满地完成任务。
而且宦官作为天 子的使臣,让他们的出使海外可以起到公私并任的效果,所以比起派遣朝 臣,派遣这些宦官效率会更高。
宦官外交大体分为两种:一是掌管市舶司,另一个是直接作为使节派往 海外
。
市舶司是负责管理公共对外事务的官厅,永乐年间宦官开始掌管市舶 司
。
市舶司中的市舶太监掌管着通过港口进来的朝贡贸易,这就使得宦官 势力日益强大。
去这些事物,册封周围蜀国、
上谕、
下传御赐品、
迎送外 国使节以及海外物品都是宦官所负责的事物。
明朝宦官外交对国内政治有以下几种特性:
首先,维持了明朝和周围国家朝贡
、
册封的关系,帮助形成了以明朝为 中心的中华主义世界秩序。
其次,形成了宦官对外政治干预到国内政治干预的转换
。
因频繁的出使 国外,宦官渐渐从对外政治干预转换为了干预国内问题,而这就成为了宦 官干政的垫脚石,可以说宦官干政的第一步是从频繁的出使开始的,特别 是在永乐年间,掌管担任外国事物的市舶司就意味着宦官干预国内政治。
最后,宦官外交维持和发展了和周边国家的友好感情
。
特别是永乐年 间,接受朝贡的疆域包含朝鲜、
日本、
安南、
东南亚、
西域等地区,当时 宦官出使地域的广泛性、
出使的次数都是其他朝代所不能比拟的。
另一方面,永乐帝也在压制宦官势力的崛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