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조사 시2인 가구 이상인 경우만 해당] [B2017_H1_1 ≥ 2인 경우만 해당]
PH1-1) ○○○님은 지난조사에서○○○님을 포함하여 총○명h**0101이 가구를 이루어
살고 계신다고 응답하셨으며, ○○○님을 제외한 가구원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의 정보를 확인하시어 현재도 함께 거주하고 계신지와 잘못된 정보 또는 변 화된 정보가 있다면 해당 정보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
• 비혈연 동거인도 생계를 같이 하면 가구원에 포함되며, 혈 연인 가족이라 하더라도 생계를 달리 하면 가구원에 포함 되지 않습니다.
• 다른 지방 근무, 학업, 군복무, 치료 및 요양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떨어져 살고 있는(다시 돌아올 것으로 전제된) 직계가족은 가구원에 포함됩니다.
지난조사 시 패널 본인 제외한 가구원 수만큼 생성] ["B2017_H1_1" - 1(패널) 만큼 생성]
가구원 가구원 1 가구원 2 가구원 3 …
1) 주민등록상의 이름 1 2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
2) 현재 가구원 지속 여부
1 2 h**0203
1. 지속 2. 제외
h**0303 1. 지속 2. 제외
h**0403 1. 지속 2. 제외
h**0503 ~ h**1003 1. 지속 2. 제외
• “현재 가구원 지속 여부”는 패널 OOO님 위주로 응답받습니다. 가령, 패널 OOO님 혼자 결혼 등의 이유로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분가하였으면 지난조사 시 조사된 가구원은 전부 “제외”로 처리합니다.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
[2)=‘2. 제외’인 경우만]
2-1) 제외 사유 1 2
h**0204 1. 해당 가구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2. 해당 가구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3. 해당 가구원의 사망 4. 패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5. 패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6. 기타(적을 것:h**0204t)
h**0304 1. 해당 가구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2. 해당 가구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3. 해당 가구원의 사망 4. 패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5. 패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6. 기타(적을 것:h**0304t)
h**0404 1. 해당 가구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2. 해당 가구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3. 해당 가구원의 사망 4. 패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5. 패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6. 기타(적을 것:h**0404t)
h**0504 ~ h**1004 1. 해당 가구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2. 해당 가구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3. 해당 가구원의 사망 4. 패널의 결혼, 이혼 등
혼인상태의 변화로 인한 분가 5. 패널의 경제적 독립으로 인한
분가
6. 기타(적을 것:h**0504t
~h**1004)
▶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3) 성별 1 2 h**0206
1. 남성 2. 여성 h**0306
1. 남성 2. 여성 h**0406
1. 남성 2. 여성 h**0506 ~ h**1006 1. 남성 2. 여성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
4) 패널과의 관계 1 2
h**0208 1. 배우자
2. 자녀 3. 자녀의 배우자 4. 아버지 5. 어머니 6. 형제·자매 7. 조부모 8. 손자·녀 9. 기타 친인척 10. 동거인
h**0308 1. 배우자
2. 자녀 3. 자녀의 배우자 4. 아버지 5. 어머니 6. 형제·자매 7. 조부모 8. 손자·녀 9. 기타 친인척 10. 동거인
h**0408 1. 배우자
2. 자녀 3. 자녀의 배우자 4. 아버지 5. 어머니 6. 형제·자매 7. 조부모 8. 손자·녀 9. 기타 친인척 10. 동거인
h**0508 ~ h**1008 1. 배우자
2. 자녀 3. 자녀의 배우자 4. 아버지 5. 어머니 6. 형제·자매 7. 조부모 8. 손자·녀 9. 기타 친인척 10. 동거인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
※ 2016년2차웨이브1차 조사의 경우 지난조사 응답 내용 확인 문항 없음
가구원 가구원 1 가구원 2 가구원 3 … 5-1) 실제 출생년도(양력 기준)
1 2 h**0210 h**0310 h**0410 h**0510 ~ h**1010
5-2) 실제 출생월(양력 기준)
1 2 h**0211 h**0311 h**0411 h**0511 ~ h**1011
[5-2)=‘모름/응답거절’인 경우만]
5-2-1) 출생 계절 1 2
h**0213 91. 봄(3~5월) 92. 여름(6~8월) 93. 가을(9~11월) 94. 겨울(12~2월)
h**0313 91. 봄(3~5월) 92. 여름(6~8월) 93. 가을(9~11월) 94. 겨울(12~2월)
h**0413 91. 봄(3~5월) 92. 여름(6~8월) 93. 가을(9~11월) 94. 겨울(12~2월)
h**0513 ~ h**1013 91. 봄(3~5월)
92. 여름(6~8월) 93. 가을(9~11월) 94. 겨울(12~2월)
• 가족관계등록부나 주민등록 상 등재된 생년월일과 상관없이 실제로 출생한 생년월일(양력 기준)을 기입합니다.
▶ 생년의 경우 1900~2017 사이만 응답 가능하며, 월의 경우 1~12까지 응답 가능합니다.
▶ 현 조사월 후(>조사당시 년월)일 수는 없습니다.
▶ 년도/월에 대해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 년도에 대해 모름/응답거절 시 6-1) 최종학교로 이동하며, 월에 대해 모름/응답거절 시 범주형으로 응답받습니다.
▶ 계절범주에서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6-1) 최종학교 1 2
h**0215 1. 무학
2. 초등학교 3. 중학교 4. 고등학교 5. 3년제 이하 대학 6. 4년제 이상 대학 7. 대학원(석사) 8. 대학원(박사)
h**0315 1. 무학
2. 초등학교 3. 중학교 4. 고등학교 5. 3년제 이하 대학 6. 4년제 이상 대학 7. 대학원(석사) 8. 대학원(박사)
h**0415 1. 무학
2. 초등학교 3. 중학교 4. 고등학교 5. 3년제 이하 대학 6. 4년제 이상 대학 7. 대학원(석사) 8. 대학원(박사)
h**0515 ~ h**1015 1. 무학
2. 초등학교 3. 중학교 4. 고등학교 5. 3년제 이하 대학 6. 4년제 이상 대학 7. 대학원(석사) 8. 대학원(박사)
• 정규과정을 이수했거나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인정하는 동등한 자격을 취득(재학, 휴학)한 경우 해당합니다. 기능훈련, 직업훈련, 입시학원 등은 학력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 조사대상 기간 현재의 학력을 기준으로 응답받습니다.
▶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모름/응답거절 시 “7) 등록장애인 여부”로 이동합니다.
[6-1)=‘2~8’인 경우만]
6-2) 졸업여부 1 2
h**0217 1. 졸업
2. 재학 3. 중퇴 4. 휴학 5. 수료
6. 검정고시 자격 취득
h**0317 1. 졸업
2. 재학 3. 중퇴 4. 휴학 5. 수료
6. 검정고시 자격 취득
h**0417 1. 졸업
2. 재학 3. 중퇴 4. 휴학 5. 수료
6. 검정고시 자격 취득
h**0517 ~ h**1017 1. 졸업
2. 재학 3. 중퇴 4. 휴학 5. 수료
6. 검정고시 자격 취득
• 수료: 학교를 다니는 동안 졸업 이수 학점을 다 이수하였으나 졸업시험이나 졸업논문 등 졸업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 학교가 초·중·고등학교(2, 3, 4)인 경우 졸업 여부가 ‘수료’일 수는 없습니다.
▶ 학교가 3년제 이하 대학 이상(5, 6, 7, 8)인 경우 졸업 여부가 ‘검정고시 자격 취득’일 수 없습니다.
▶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7) 등록장애인 여부
1 2 h**0219
1. 비장애인 2. 장애인 h**0319
1. 비장애인 2. 장애인 h**0419
1. 비장애인 2. 장애인 h**0519 ~ h**1019 1. 비장애인 2. 장애인
▶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7)=‘2. 장애인’인 경우만]
8) 장애유형 1 2
h**0221 1. 지체장애
2. 뇌병변장애 3. 시각장애 4. 청각장애 5. 언어장애 6. 지적(정신지체)장애 7. 자폐성(발달)장애 8. 정신장애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요루장애 15. 뇌전증(간질)장애
h**0321 1. 지체장애
2. 뇌병변장애 3. 시각장애 4. 청각장애 5. 언어장애 6. 지적(정신지체)장애 7. 자폐성(발달)장애 8. 정신장애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요루장애 15. 뇌전증(간질)장애
h**0421 1. 지체장애
2. 뇌병변장애 3. 시각장애 4. 청각장애 5. 언어장애 6. 지적(정신지체)장애 7. 자폐성(발달)장애 8. 정신장애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요루장애 15. 뇌전증(간질)장애
h**0521 ~ h**1021 1. 지체장애
2. 뇌병변장애 3. 시각장애 4. 청각장애 5. 언어장애 6. 지적(정신지체)장애 7. 자폐성(발달)장애 8. 정신장애 9. 신장장애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13. 안면장애 14. 장루요루장애 15. 뇌전증(간질)장애
▶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은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경우는 나올 수 없지만, 중복장애 시 1급 상승 등으로 인해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응답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십시오.
- 4. 청각장애 ‘1급’ - 5. 언어장애 ‘1, 2, 5, 6급’ - 6. 지적장애, 7. 자폐성장애, 8. 정신장애 ‘4, 5, 6급’
- 9. 신장장애 ‘1, 3, 4, 6급’ - 10. 심장장애, 11. 호흡기장애, 12. 간장애 ‘4, 6급’ - 13. 안면장애, 14. 장루요루장애 ‘1, 6급’
- 15. 뇌전증장애 ‘1, 6급‘
▶ 모름/응답거절 가능하며, 모름/응답거절 시 11) 혼인상태로 이동합니다.
※ 2016년2차웨이브1차 조사의 경우 지난조사 응답 내용 확인 문항 없음
[7)=‘2. 장애인’인 경우만]
9) 장애등급 1 2
h**0223 급
h**0323 급
h**0423 급
h**0523 ~ h**1023 급
▶ 모름/응답거절 가능하며, 모름/응답거절 시 11) 혼인상태로 이동합니다.
[8)=‘1’이고9)=‘3’인 경우만]
10) 장애부위 1 2
h**0225 1. 팔, 손(손목 포함) 2. 그 외
h**0325 1. 팔, 손(손목 포함) 2. 그 외
h**0425 1. 팔, 손(손목 포함) 2. 그 외
h**0525 ~ h**1025 1. 팔, 손(손목 포함)
2. 그 외
▶ 모름/응답거절 가능하며, 모름/응답거절 시 11) 혼인상태로 이동합니다.
11) 혼인상태 1 2
h**0227 1. 미혼
2. 결혼/동거 3. 이혼 4. 사별 5. 별거
h**0327 1. 미혼
2. 결혼/동거 3. 이혼 4. 사별 5. 별거
h**0427 1. 미혼
2. 결혼/동거 3. 이혼 4. 사별 5. 별거
h**0527 ~ h**1027 1. 미혼
2. 결혼/동거 3. 이혼 4. 사별 5. 별거
▶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12) 취업상태 1 2
h**0229 1. 취업
2. 미취업(실업/비경활)
h**0329 1. 취업
2. 미취업(실업/비경활)
h**0429 1. 취업
2. 미취업(실업/비경활)
h**0529 ~ h**1029 1. 취업
2. 미취업(실업/비경활)
▶ 모름/응답거절 가능합니다.
※ 2016년2차웨이브1차 조사의 경우 지난조사 응답 내용 확인 문항 없음
h**1101
PH1-2) ○○○님의 기존 가구원(00명) 외 신규로 편입된 가구원은 모두 몇 명입니까?
현재 기준으로 응답해주십시오.
1 2
명
• 신규 가구원은 현재 기준으로 응답합니다. 즉, 지난조사 이후 신규로 들어왔으나 지금은 같이 거주하지 않는 경우 는 기재하지 않습니다.
• 합가는 따로 살다가 부모님 또는 친지 댁으로 살러 들어 온 경우를 의미합니다.
▶ PH1-1) 항목별 논리와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신규 편입 가구원 수만큼 생성]
가구원 가구원1 가구원2 가구원3 …
1) 주민등록상의 이름 1 2
2) 편입 사유 1 2
1. 출생·입양 2. 혼인 3. 합가
4. 기타(적을 것:h**1202t)
1. 출생·입양 2. 혼인 3. 합가
4. 기타(적을 것:h**1302t)
1. 출생·입양 2. 혼인 3. 합가
4. 기타(적을 것:h**1402t)
1. 출생·입양 2. 혼인 3. 합가
4. 기타(적을 것: ) 3) 성별
1 2 h**1203 h**1303 h**1403
4) 패널과의 관계
1 2 h**1204 h**1304 h**1404
5-1) 실제 출생년도
1 2 h**1205 h**1305 h**1405
5-2) 실제 출생월
1 2 h**1206 h**1306 h**1406
[5-2)=‘모름/응답거절’인 경우만]
5-2-1) 출생 계절 1 2
h**1207 h**1307 h**1407
6-1) 최종학교
1 2 h**1208 h**1308 h**1408
[6-1)=‘2~8’인 경우만]
6-2) 졸업여부 1 2
h**1209 h**1309 h**1409
7) 등록장애인 여부
1 2 h**1210 h**1310 h**1410
[7)=‘2. 장애인’인 경우만]
8) 장애유형 1 2
h**1211 h**1311 h**1411
[7)=‘2. 장애인’인 경우만]
9) 장애등급 1 2
h**1212 h**1312 h**1412
[8)=‘1’이고9)=‘3’인 경우만]
10) 장애부위 1 2
h**1213 h**1313 h**1413
11) 혼인상태
1 2 h**1214 h**1314 h**1414
12) 취업상태
1 2 h**1215 h**1315 h**1415
h**4102, h**4103
PH1-3) ○○○님의 현재 가구원의 최종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중 현재 귀 가
구의 가구주는 누구입니까? 혹시 패널○○○님이 귀 가구의 가구주이십니까?
※ 패널○○○님 포함한 현재 가구원은 총(B_PH1_3)명입니다.
1 2 h**4101
1. 가구원1(○○○님) 2. 가구원2(○○○님) 3. 가구원3(○○○님)
…
21. 패널 본인(○○○님)
h010231
H1-2-13) △△△님은 귀 가구의 가구주입니까?
1 2
1. 예 2. 아니오
h014102
[H1-2-13이 모두2인 경우(가구원 중 아무도 가구주라고 응답하지 않은 경우)만 해당]
H1-3) 다른 가구원 중에 가구주가 안 계시다고 대답하셨습니다. 그러면 패널○○○님이
귀 가구의 가구주이십니까?
1 2
1. 예 2. 아니오
• 가구주는 한 가구 내에서 호주 또는 세대주와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가구를 대표하고 가계를 책임지고 있는 생 계책임자입니다.
▶ 가구원 중 한 명만 가구주일 수 있습니다.
▶ 미취업자인 만15세 미만 가구원을 가구주로 응답한 경 우 다시 확인합니다.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
• 가구주는 한 가구 내에서 호주 또는 세대주와 상관없이 실질적으 로 가구를 대표하고 가계를 책임지고 있는 생계책임자임
▶ 가구원 중 한 명만 가구주일 수 있습니다.
▶ 미취업자(H1-2-12=2)인 만15세 미만 가구원을 가구주로 응
답한 경우 다시 확인합니다.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
▶ 모름/응답거절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