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코로나-19 발생 이후 학업 스트레스

•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개학이 연기되고 온라인 수업이 실시 되는 등 여러 교육환경이 변화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여러분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이전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였나요?” 라는 질문에 ‘1) 매우 감소하였다’부터 ‘5) 매우 증가하였다’까 지 다섯 가지 보기 중 하나를 고르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그림5-11.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전체 및 교급별 추이

(단위 : %)

• 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코로나19 전후 학업 스트레스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39.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약간/매우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34.6%, 반대로 약간/매우 감소하였다는 응답이 26.3% 순으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업 스트레 스가 코로나19 이후 증가하였다는 응답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초등학생은 코 로나19 전후 학업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는 응답과 증가하였다는 응답 비율이 거의 비슷한 반면, 고등학생의 경우 학업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무려 40%에 달한 반면, 학업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는 응답은 24.5%에 그쳤다.

∣제5장 코로나19 이후 삶의 변화∣

90 ▮2021 제12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그림5-12. 주관적 가정 경제수준별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단위 : %)

• 주관적 가정 경제수준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변화 차이를 살펴보면, 가정 경 제수준 하에 속하는 학생은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는 응답과 감소하였 다는 응답이 다른 경제수준 중/상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반면 가정 경제수준 중/상에 속하는 학생은 코로나19 전후 학업 스트레스 변화가 없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가정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가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이 뚜렷하게 높아져, 가정 경제수준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 격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5-13. 초등학생: 주관적 가정 경제수준별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단위 : %)

∣제5장 코로나19 이후 삶의 변화∣

2021 제12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91

그림5-14. 중학생: 주관적 가정 경제수준별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단위 : %)

그림5-15. 고등학생: 주관적 가정 경제수준별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단위 : %)

• 교급을 나누어 주관적 가정 경제수준별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변화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가정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가 가장 극명하게 나타났으나, 중/고등학생의 경 우 상대적으로 가정 경제수준에 따른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 변화 차이가 크지 않았 다. 즉 초등학생의 경우 가정 경제수준 하에 속하는 학생은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무려 48.9%였으나, 가정 경제수준 중/상에 속하는 학생은 해당 응답 비 율이 각각 28.2%, 22.2%였던 반면, 코로나19 전후 학업 스트레스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각 각 45.3%, 49.2%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다.

∣제5장 코로나19 이후 삶의 변화∣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