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도와 관련된 위기의식
중국에서는 일본과 관계된 다양한 사건이 있을 때마다 간도의 중요 성을 제기하고 중국인의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려는 차원에서 ‘간도’ 관 련 기사를 게재하였다.117) 간도와 관련하여 위기의식이 크게 드러난 것으로는 1928년 5.3 참안 사건으로 일본 침략성을 목도한 후 간도문
116) 間島日僑要求之條件 (民心周報, 1920. 2-2), pp.61-62. 요구조건은 다음 과 같다. ① 간도 혼춘 지방 韓黨 두목을 토벌하고 간도 일대 치안유지를 확립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군대가 주둔한다. ② 과격사상이 남하하여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일양국이 협력한다. ③ 중국정부를 촉구하여 만몽조약이 간 도일대에 적용되도록 승인케 하고 간도를 주요지역으로 하여 일본경찰청을 설 립하며 일본경찰관을 증가시켜 이 지역의 치안을 유지한다. ④ 토벌이 일단락 지어질 때 민단을 신속하게 조직하여 일본관헌에게 보조와 지도를 받는다. ⑤ 간도 한인 교도를 위해 조선총독이 이 지역에 사무관을 설치한다. ⑥ 일본은 간도 30만 한인에 대해 일시동인하여 문화적 시설을 확장하고 병원 학교 금융 기관 등을 증가시킨다. ⑦ 속히 다수 일본인이 간도로 이주하여 동만의 富源을 개척한다. ⑧ 교통기관을 완비한다. ⑨ 기회를 틈타 조속히 중국정부와 협상하 여 길회철도차관본계약을 체결하고 철도를 부설하여 교통운수 차원을 고려하 여 속히 한국 함북에서 한국 혼춘까지 輕便철도를 부설한다. ⑩ 간도총영사는 만선사정을 잘 아는 사람을 발탁하여 敕任官 자격을 준다. ⑪ 간도경비는 조선 총독 편의에 따른다. ⑫ 이번 사건으로 일본의 직간접 손해가 약 8백만원이다.
117) 하나의 예로 南枝, 間島 (國聞周報, 1930. 7-23), p.1에서는 “공산당원 200명이 頭道溝를 습격하여 중국군대가 격퇴되었고, 계통이 불명한 마적 일대 약 170명 역시 이 지역을 습격하였다. 일본 관헌이 소식을 듣고 최고의 경계를 펼치려고 한다”고 전하였다.
제가 일본의 침략성을 확인하는 시금석으로 이해했을 때와 1934년 만 주국의 간도성 설치에 따른 간도의 한국 귀속에 대한 위기의식이 드러 났을 때라고 할 수 있겠다.
첫째, 중화민국은 일본의 침략성을 확인하였을 때 간도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革命外交週刊
에서는 일본 침략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간도문제의 진상을 알리기 위해 간도문제를 다루었다. “한국과도 인접 한 간도 문제에 근본적으로 착안하지 않으면 장래의 위험을 상상할 수 없을 것”118)으로 보았던 것이다.러시아는 만몽을 점령할 야욕은 있었지만 전중국을 병탄시킬 기도 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의 최후 목적은 전 중국을 손아귀에 장악 하는 것으로 간도, 남만, 북만, 중국 전토에 이르는데, 濟南 출병이나 福建 침략, 旅大 점령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와 같은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중국인 스스로의 노력만이 중국을 국난 에서 구할 수 있으므로 “간도문제는 바로 우리의 試金石”119)이라고 보 았다.
중화민국 관청은 간도 한인 농민 문제에 각별하게 주의하였다. 1927 년에는 東省特別區長官이 여러 가지 명령을 반포하여 한국 농민의 활 동을 제한하였다. 길림성장도 1927년 12월에 한인 토지 경작 규칙 12 조를 반포하여 한인을 규제함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항의를 받았다.120) 비록 중국의 규제로 한인의 증가를 억제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한계가 많은 것은 일본이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하였다.
간도문제는 간도협약으로 일시적인 안녕을 추구하였지만 간도협약 그 자체가 무수한 화근을 심어 놓았기 때문에 사변이 발생하면 일본은
118) 方保漢, 間島問題之眞相和我國應取的策略 (革命外交週刊, 1930-20), pp.26-27.
119) 方保漢, 間島問題之眞相和我國應取的策略 (革命外交週刊, 1930-20), p.29.
120) 方保漢, 間島問題之眞相和我國應取的策略 (革命外交週刊, 1930-20), pp.26-27.
반드시 간도를 점령할 것으로 보면서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하였 다.121) 일본은 유무형적인 침략 방법이 다 통하지 않으면 최후의 책략 으로 한인을 억압하여 간도로 이민토록 하고 이민자에게 각종 이익을 줄 것으로 보았다. 한국에서 억압을 받은 한인이 간도에서 이익을 향 유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이주할 것이고 한인이 거짓 귀화를 통해 토지 소유권을 획득하고 그들의 장점인 수전을 개간하면 일본이 무형적으로 간도를 점령하는 것과 같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간도성 설치에 따른 간도의 한국 귀속에 대한 위기의식이 있 었을 때 간도문제에 주목하였다.
1934년 10월초 일본이 新凌遲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동북을 10개성으 로 나눈 뒤 동부지역의 남부를 간도와 安東 두 성으로 나눈 것은 간도 를 한국에 귀속시키려는 일본의 야욕이라고 지적하였다.122) 이러한 논 의의 발단이 된 것은 1935년 1월 30일 주요 일간지에 다음과 같은 기 사로 인해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南京 29日電, 조선 소식: 괴뢰 조직 ‘間島省長’ 蔡運升은 1월 26일 조선 경성에 도착하여, 27일 오후 조선총독을 알현하고 간도를 조선에 귀속시키는 비밀 협상을 하였다. 국제적 반감을 일으킬까 두려워 잠시 행정 일부 및 이민이나 비적 토벌 사항을 비밀리에 조선에 넘겨 처리 하게 하였다”123)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에서는 이상의 소식에서 몇 가지 문제의식
121) 方保漢, 間島問題之眞相和我國應取的策略 (革命外交週刊, 1930-20), p.28.
당시 제시한 4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간도가 중국 영토임을 부인하고 일 본의 야심을 보이는 것이다. 일본이 동북지역을 침략할 수 있는 유일한 구실은 동삼성이 중국영토가 아니라는 것이다. ② 민족자결을 간도를 점령하는 수단으 로 삼는다. 간도지역 총인구 44만명중 35만명은 한인으로 전체인구의 70%이 다. 민족자결을 말한다면 당연히 한국으로 귀속된다. ③ 한인을 분열시켜 고의 적으로 소란을 일으켜 일본이 한인 보호의 이유로 파병하는 것이다. ④ 무형적 점령이다.
122)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7.
123)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8; 僞韓密商間島劃归 朝鮮 (通問報, 1935年 2月, 第4號, 中外新聞), p.22.
을 도출하였다. ① 간도성장은 어떻게 간 것인가? ② 간도는 무엇인 가? ③ 간도성장은 왜 조선총독부와 비밀리에 협상하여 간도를 한국에 귀속시키려 하는가? ④ 간도를 한국에 귀속시키려고 하면서 왜 국제적 반감을 두려워 하는가? ⑤ 국제적 반감이 두렵다면 왜 비적 토벌이나 이민문제를 한국에 넘겨서 처리하게 할까? ⑥ 왜 한국은 간도를 토벌 하려고 할까? 간도가 ‘비적의 섬(匪島)’인가?124)
이에 대해 간도를 한국에 귀속시키는 것은 일본이 동북을 분할 병 탄하는 제1단계 첫걸음이라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을
‘廢省開道計劃’으로 보았다. 이는 1935년 10월 3일 만주국 국무회의에 서 전국지방행정구획 改制案 이 통과되고 參議府회의에서 공포되어 12월 1일에 시행된 것이다.125)
일본이 동북지역을 10개성으로 구분한 이유에 대해, “동북지역의 과 거 형태를 분쇄하고 10개의 연약한 세포로 변환시켜 쉽게 통치하고 병 탄”126)하려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10개의 작은 세포 중 하나인 간도성 은 연길, 혼춘, 화룡, 왕청의 4개현을 포괄하고 연길을 省會로 삼았다.
이러한 개성 계획은 ‘化整爲零’127)으로 분산시켜 쉽게 병탄할 수 있게 만드는 것으로 일본이 “동북을 떼어내면 반드시 먼저 간도에 손을 대 어 간도를 한국에 귀속”128)시키려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간도를 한국 에 귀속시키려는 이유로는 간도지역 한인의 내적 민족문제와 외적 혁 명운동으로 통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국에 합병하여 통치하려는 것과 간도가 소련과 근접하여 국제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지리적 중요성에 착안하였다.
한인이 독립을 선포하고 혁명위기가 배양되면서 교착된 국제관계가 더욱 복잡한 형태를 띠므로 만주국의 간도성 개조는 4개현을 떼어내는
124)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8.
125)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9.
126)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9.
127) 間島歸鮮意義重大 (黑白, 1935. 3-3), p.21.
128)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9.
것에 그치지 않고 내적인 민족문제와 외적인 혁명운동으로 극히 통치 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국에 합병시켜 특별히 통치하려는 것이라고 하 였다.129)
간도의 한국 귀속에는 대소문제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청일전쟁에서 중국이 패배한 후 “조선은 청의 번속국 지위를 벗어나면 서 간도 역시 안정적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간도통치문제를 둘러싸고 과거 러시아, 한국, 청, 일본 4국간의 외교 분쟁이 있었는데, 그 후 러 시아가 기회를 틈타 군사적으로 만주를 완전히 점령하면서 간도 한인 이 러시아 제국에 투항”130)하였다고 인식하였던 것이다.
1930년대 중반 경 일본과 소련의 대립상태가 표면적으로는 완화되 었지만 실제 만주국 소련 한국 변경지역의 대립형세는 긴장이 극에 달 하였다.131) 당시 일본군과 외몽고 군대의 충돌을 일본과 소련의 충돌 전초전132)으로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간도의 한국 귀속문제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심각한 긴장 관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일본의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이해하였다.
일본의 의도에 대해서는 ① 점차 동북을 병탄하려는 초보적인 표현이 고 ② 한국혁명근거지를 소멸시켜 일본과 소련 전쟁시 후환을 없애려 는 일종의 시도이며 ③ 이민 시행 계획을 관철시키려는 것133)으로 파 악하였다.
(2) 간도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중화민국은 간도에 대해 많은 위기의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간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3가지 원칙134)을 견지하는 책략을 129) 間島歸鮮意義重大 (黑白, 1935. 3-3), p.21.
130) 間島歸鮮意義重大 (黑白, 1935. 3-3), p.21.
131) 間島歸鮮意義重大 (黑白, 1935. 3-3), p.22.
132)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9.
133) 秀珩, 間島歸鮮問題的嚴重性 (黑白, 1935. 3-3), p.29.
134) 方保漢, 間島問題之眞相和我國應取的策略 (革命外交週刊, 1930-20), pp.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