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강수량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CHOSUN (Halaman 33-37)

강수량은 비나 눈, 우박 등과 같이 구름으로부터 땅에 떨어져 내린 강수의 양을 말한다.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강수가 땅 위를 흘러가거나 스며들지 않 고, 땅 표면에 괴어 있다는 가정 아래 그 괸 물의 깊이를 측정한다. 눈·싸락 눈 등 강수가 얼음인 경우에는 이것을 녹인 물의 깊이를 측정한다. 비의 경우 에는 우량 또는 강우량이라고도 하며, 단위는 ㎜로 표시한다(기상청 지식백 과). 본 연구에서는 일강수량을 합산하여 월강수량, 연강수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일반적인 기후요소 중 하나로서 특정지역의 식생과 생활환경 등을 알 수 있다. 계절별 영향은 변화율이 가장 큰 여름철이 연 변화율의 증가에 가장 많 은 기여를 하였으며, 변화율이 가장 작은 봄철이 연 변화율의 증가를 억제하는 데 기여를 하였다(Table 7).

rate of

change year spring summer fall winter

광주 4.644 -1.571 5.936 -0.355 0.699

전남 3.526 -0.900 4.231 0.042 0.249

Table 7. Annual changes in precipitation(unit: ㎜/year).

가. 광주

광주의 연 강수량은 관측이후 1989년에 2,020.4㎜로 가장 많았고, 1995년 에 764.4㎜로 가장 적었다. 7년 이동평균값은 증가하고 있다가 90년대에 감 소한 이후 2000년대에 다시 증가하였다. 10년 평균도 70년대 이후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다가 90년대에 감소한 뒤 다시 2000년대에 1,482.4㎜로 가장 많 은 값을 기록하였으며, 70년대보다 2000년대에 105.7㎜ 증가하였다. 변화율 은 연 4.644㎜로 증가하였다(Fig. 14).

계절별 강수량은 7년 이동평균값과 10년 평균이 봄철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 이지 않았던 것을 제외하고, 여름, 가을과 겨울철의 강수량은 연강수량과 같이 7년 이동평균값이 70년대에 증가한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다가 2000년대에 급 격히 증가하였다. 10년 평균도 70년대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한 뒤, 2000년 대에 증가하여 여름철은 863.1㎜, 겨울철은 135.5㎜로 가장 많은 값을 기록하 였다. 연강수량의 여름철 강수량 비율을 파악해보면 70년대에 52.2%, 80년대 에 55.2%, 90년대에 56.0%, 2000년대에 58.2%로 비율이 증가하였다. 변화 율은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5.936㎜/년, 0.699㎜/년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봄 철과 가을철에는 -1.571㎜/년, -0.355㎜/년으로 감소하였다(Fig. 15).

Fig. 14. Annual amount of precipitation change in Gwangju.

(A) (B)

(C) (D)

Fig. 15. Annual amount of precipitation change in Gwangju (A) Spring (B) Summer (C) Autumn (D) Winter.

나. 전남

전남지역의 연강수량은 관측이후 1985년에 2,215.2㎜로 가장 많았고, 1988 년에 831.4㎜로 가장 작았다. 7년 이동평균값은 증가하고 있다가 90년대에 감소한 뒤 2000년대에 다시 증가하였다. 10년 평균도 70년대 이후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다가 90년대에 감소한 이후 다시 2000년대에 1,481.1㎜로 가장 많은 값을 기록하였으며, 70년대보다 2000년대에 121.7㎜ 증가하였다. 변화 율은 연간 3.526㎜로 증가하였다(Fig. 16).

계절별 강수량은 7년 이동평균값과 10년 평균이 봄철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 이지 않았던 것을 제외하고, 여름, 가을과 겨울철의 강수량은 연강수량과 마찬 가지로 7년 이동평균값이 70년대에 증가한 뒤 계속 감소하였다가 2000년대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10년 평균도 70년대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한 뒤, 2000 년대에 증가하여 여름철은 794.9㎜, 겨울철은 110.1㎜로 가장 많은 값을 기록 하였다. 연강수량의 여름철 강수량 비율을 파악해보면 70년대에 48.7%, 80년 대에 52.8%, 90년대에 52.7%, 2000년대에 53.7%로 비율이 증가하였다. 변

화율은 봄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에 4.231㎜년으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이며, 겨울철에 0.249㎜/년, 가을철에 0.042㎜/년의 증가 율을 보이는 반면 봄철은 -0.900㎜/년의 감소율을 보였다(Fig. 17).

Fig. 16. Annual amount of precipitation change in Jeonnam area.

(A) (B)

(C) (D)

Fig. 17. Annual amount of precipitation change in Jeonnam area (A) Spring (B) Summer (C) Autumn (D) Winter.

제 2절 극한기후사상(기온부분)분석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CHOSUN (Halaman 33-3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