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산업안전보건법 미국 영국 싱가포르

위험 표시

어두운 장소에서도 알아볼 수 있도록 개구 부임을 표시

주변 지역과 대비되 는 색으로 가장자리에 서 최소 6피트(1.8m) 이상 떨어진 곳에 바닥 마킹 및 경고선 배치

높이 및 규격

개구부의 안쪽 가장 자리가 표면으로 부터 39인치(99cm) 미만이고 개구부의 외곽 가장자 리가 4피트(1.2.m) 이상 인 개구부

높이 2m 이상의 작 업의 개구부

안전조 치사항

안전난간, 울타리, 수직형 추락방망 또는 덮개 등 방호 조치를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 조로 튼튼하게 설치

난간 등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작업 의 필요 상 임시로 난 간 등을 해체하여야 하 는 경우 추락방호망 설 치 혹은 근로자 안전장 치 제공

개구부에 몸을 기울 여야하는 경우 개인 추 락 방지시스템에 의해 작업자 보호

작업자의 부상 위험 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 한 경우 개구부에는 적 절한 안전장치가 통합 혹은 장착되어야 함

2m 이상의 떨어질 우려가 있는 모든 개구 부는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나 덮개로 보호되어야 함

표 5-1 개구부 관련 법령비교

영국에서는 The Construction (Health, Safety and Welfare) Regulations 1996 (1996 No. 1592 CHSW 1994)에서 개구부의 안전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위 법에 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에 따르면 개구부에는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하기 위 한 적절한 안전장치가 통합되어 있거나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그 외의 사항으로 예외조항인 안전장치가 설치되지 않아도 되는 개구부의 조건 등을 기술하고 있 다.

일본에서는 노동안전위생법의 노동안전위생규칙 519조 “추락 등에 의한 위험 의 방지”에서 개구부 관련규정이 기술하고 있다. 본 규정에 따르면 높이 2m이상 의 작업시 개구부에 울타리, 난간, 덮개 등을 설치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이러 한 추락방지장치들이 설치가 힘들거나 작업 필요상 임시로 제거해야할 경우 추 락방지망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WSH, No. S 518 2 Work at Heights Regulations 2013에서 개구부에 관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기준에 따르면 2m이상의 높이의 개구부를 추락이 발생할 수 있는 개구부로 인정해야하며 떨어질 위험이 있는 모든 개구부 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및 덮개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개구부에 관한 국내 법령과 해외 선진국의 기준을 비교한 결과, 국내의 기준은 일본과 안전조치사항에서 유사한 내용들이 적용되고 있는 반면 미국과 비교하여 안전조치사항, 개구부의 위험표시 및 높이와 규격에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및 일본에서는 안전조치사항으로 난간, 울타리 등을 설치하도록 명시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난간 등에 대한 규격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반면, 미국 에서는 수치적으로 명확한 기준을 규정하는 추락방지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