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론 및 제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60-68)

F. 레슬링 선수들의 체력과 전문체력과의 상관관계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소속집단에 따른 체격, 기초체력, 전문 체력의 특성을 분석하여 레슬링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목적으로 기초자료로 활 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관찰변인들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 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소속집단에 따른 체격 차이는 BMI와 목둘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며(p<.05),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둘째, 소속집단에 따른 기초체력 차이는 근력 중 배근력(k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근지구 력 중 반복 점프(회/30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 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유연성 중 체후굴(cm)과 브릿지(cm)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20m 왕복달리기(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 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셋째, 소속집단에 따른 등속성 근기능 차이에서는 각각 신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들이 높은 값을 보였다. 좌굴/

신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국가대표에 비해 고등부가 높은 값을 보였다.

넷째, 소속집단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 차이에서는 평균파워(Watts)와 체중 당 최고파워(W/k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에 비해 국가대표 들이 높은 값을 보였다. 피로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 부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들이 높은 값을 보였다.

다섯째, 레슬링 선수들의 체격과 전문체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격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에서 피로율(%)은 BMI(kg/m2), 목둘레(cm)와 상관관계 를 보였고, 체중 당 최고파워(W/kg)는 모든 체격 요인(BMI, 체지방률, 목둘레) 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격과 등속성근기능과의 관계에서 좌굴근은 체지방률 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신근은 BMI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레슬링 선수들의 기초체력과 전문체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 초체력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에서 배근력은 피로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 복점프는 피로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체후굴은 체중 당 평균파워(W/kg), 피로 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왕복달리기는 체중 당 평균파워(W/kg)와 상관관계 를 보였다. 체격과 등속성 근기능과의 관계에서 배근력은 우신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복점프는 우신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체후굴은 우신근, 좌신근, 좌굴 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왕복달리기는 좌신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소속집단에 따 른 특성은 고등부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 집단이 기초체력과 슬관절의 신전근, 피로율과 무산소성 파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비교적 우수한 경기력을 가진 국가대표의 특성으로 볼 때 고등부와 대학부 선수들은 앞서 서술한 레슬링과 관계된 체력요인과 무산소성 파워, 하지 각근력을 향상시키기 위 한 보다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그레코로만형 경기의 특성 으로 볼 때 상지의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도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상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상조(2001). 투기종목 선수들의 체형. 국제학술대회논문집, 20(1), 13-26.

강석훈(2007). 레슬링 선수들의 체중감량 시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신체구성의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18(1), 145-152.

권오선, 오동섭(2003). 그리스 격투스포츠.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권태원, 조문식. (2014). 순발력과 무산소성파워의 근육량에 관한 상관분석. 한국 체육과학회지, 23(3), 1409-1417.

김도윤, 김광희, 김용진, 김기연(2007). 유연성과 등척성 및 등속성 근력과의 관계.

스포츠과학논문집, 19, 89-101.

김문기(2002). 레슬링. 서울 : 신교당.

김의환(1986). 유도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생리, 심리, 역학적 접근. 한국체육과학 연구원.

김형돈, 노호성(2003). 신체구성이 shttle run test를 이용한 전신 지구력 검사 및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 1051-1061.

노재현, 송홍선(2019). 특이적 웨이트 트레이닝이 국가대표 레슬링 자유형 선수들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30(3), 620-630.

대한체육회 스포츠 과학연구소(1983). 레슬링 경기규정.

류종현(1993). 레슬링 자유형 선수들의 기술 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명수, 권형수. (2006). 국가대표 레슬링 선수용 매트-써키트 트레이닝의 적용이 고등학교 선수의 최대운동시 젖산농도에 미치는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8(4), 169-175.

박은경, 정진욱, 진영수, 정제순(2009). 엘리트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기술체력과 동적균형력, 하지근력, 무산소성 파워의 상관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8(3), 577-584.

박일수(2011). 우수레슬링 선수의 최대무산소성 파워 운동 후 회복기의 피로 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방대두, 박종성(2008). 경기규칙 변화에 따른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경기내용 분석 및 훈련 방안. 체육과학연구, 19(4), 214-226.

방상안(2000).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기술내용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 대학원.

배기열(1982). 레슬링 기초 기술에 관한 분석. 석사 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성동진, 오세진, 최태석, 송홍선(1997). 대학 스포츠 종목별 우수선수들의 신체 조성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131-148.

송진호(2008). 레슬링 선수의 경기 종목 및 고등학생·대학생간의 체력요소 비교.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안창식(2009). 고교유도선수들의 신체구성과 무산소성파워 요구량. 대한무도학회, 188-197.

오경근(1999). 레슬링 선수들의 체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오문균(2002). 레슬링 국가대표선수의 체력요인 분석. 홍익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2, 943-957.

이강찬(2017). 스포츠유형별 엘리츠선수의 체격, 체력 및 스포츠심리기술 수준의 비교. 박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대학원.

이경렬, 신원(2013). 무산소성 운동이 경력별 레슬링 선수의 피로물질 및 기초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11), 5514-5521.

이구형, 곽정수(1986). 우수선수들의 체지방량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체육회 스포츠과학연구소, 441-491.

이상범(2000). 레슬링 Rule 개정에 따른 그레코-로만형 경기기술 내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이상훈(2009). 고등부 자유형 레슬링 선수들의 경기 기술 분석.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태화(2007). 한국대학 남자 레슬링 선수들의 경기기술 내용 분석연구 : 체급별 자유형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오인석, 박동호, 김창선, 김도윤(2006). 엘리트 복싱선수의 등속성 최대근력 발현 각도와 기초체력 항목 및 윙게이트 검사 변인과의 관련성. 체육과학연구원, 17(1), 9-18.

윤재량(2001). 레슬링 대표선수의 자유형과 그레꼬로만형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 연구. 운동과학회지, 10(2), 149-159.

이중철, 배종진, 이광규(2012). 유소년 사이클 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와 체력 요인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3), 333-342.

장호성(1997). 중학교 레슬링 선수와 일반학생간의 기초체력 분석연구. 용인 대학교 무도연구지, 8(2), 249-257.

전병호(2006). 유도선수와 태권도선수의 체형과 형태학적 특성 비교 연구. 석사 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정동구(1981). 레슬링. 서울 형성출판사.

정필운(2007). 한국 레슬링의 도입과정과 전개양상, 체육사학회지, 12(2), 45-55.

진정환(2011). 광복이후 한국 레슬링 경기의 변천사. 석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진영(2005). 중·고 레슬링 남자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찬영, 강상조(2000). 투기종목선수의 형태학적 특성.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1), 51-65.

하경대(1972). 레슬링사와 기술연구. 서울 :통일사.

한국체육과학연구원(1990). 경기훈련지도서(육상). 보경문화사,102-108.

한명우(1992). 레슬링선수의 체격 및 체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한태산(2019).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등속성 근기능 특성분석.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태영, 장창현(2012) 고등학교 유도와 레슬링 선수들의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비교. 한국스포츠학회지, 10(3), 127-138.

AAHPERD(1996). National convention. Atlanta, Georgia. Abstract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 Testing and Prescription.

Bob Schlinkman, BS, MS(1984). Norms for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Derived from Cybex Data Reduction Computer.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5(5), 243-245.

Carter, J. L.(1984). Somatotypes of Olympic athletes from 1948 to 1976. Medicine and Sport Science, 18, 80-109.

Carter, J. E. & Ackland, T. R.(1998). Sexual dimorphism in the physiques of world championship div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16, 317-329.

Cho, H. C., & Kim, J. K. (2005).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ability evaluation in The Wingate effort testing times.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 44(2), 305-314.

Craig A. Horswill(1992). Applied Physiology of Amateur Wrestling.

Sports Medicine, 14(2), 114-143.

Dotan, R., & Bar-Or, O. (1983). Load optimization for the Wingate anaerobic test.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ogy, 51(3), 409-417.

Eckner. J. T, Oh, Y. K., Joshi, M. S.,, Richardson, J. K., Ashton-Miller(2014). Effect of Neck Muscle Strength and Anticipatory Cervical Muscle Activation on the Kinematic Response of the Head to Impulsive Loads.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42(3), 566-576.

Elkin, S, L.,Williams, L., Moore, M., E., Rutherpord, O. M(2000).

Relationship of skeletal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s with cystic fibrosis. Clinical Science, 99(4), 309-314.

Fitts, R. H.(2008). The cross-bridge cycle and skeletal muscle fatigu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4(2), 551-558.

FILA(2012). International Reles of Wrestlin.

GM ADAMS(1990). Wingate bike test. Exercise physiology labo-ratory manual, Wm C Brown Pulishers.

Horswill CA, Miller JE, Scott JR, Smith CM, Welk G, Van Handel P(1992). Anaerobic and aerobic power in arms and legs of elite senior wrest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3(8), 558-561.

Inbar O, Bar-Or O.(1986). Anaerobic characteristics in male children and adolescen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and Exercise, 18(3), 264-269.

Jim, B.(2001). Sports talent, Human Kinetics, Champaign, IL.

Ki-Jin, K. (1992). Relationship among composition of muscle fiber types, anaerobic performance and metabolic responses during anaerobic exercis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Kurakake, S., Umeda, T., Nakaji, S., Sugawara, K., Saito, K., &

Yamamoto, Y.(1998).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hematological parameter and nutrients and food intake during weigh treduction in judoists.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3, 152-157.

Kraemer & Ratamess(2004). Fundamentals of resistance training:

progress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36(4), 674-688.

Lanyon, L. E.(1992). Control of bone archite-cture by functional load bearing.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7(2), 369-375.

Lee, R. D., & Nieman, D. C.(1996). Nutritional assessment. 2nd ed. Mosby, St. Louis.

Mutch, B. J., & Banister, E. W. (1983). Ammonia metabolism in exercise and fatigue: A review. Medicine Science Sports Exercise, 15(1), 41-50.

Norton, K. I., Olds & Craig, N.P.(1996) Anthropometry and sports preformance. In K. I. Norton &T.S. Olds(Eds) Anthropometrica, 287-363.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60-6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