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결론
이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손위생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손위생 증진 활동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대상자 특성과 손위생에 대한 인식에 따른 환자 참여 손위생 증진 활동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 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손위생을 준수하지 않는 이유는 직종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환자 참여 손위생 증진 활동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는 직종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직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아 환자 참여의 효과성에 중립적인 인식이 높았다. 50대 이상의 연령군이 20대보다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고 의료종사자는 손위생 증진 활동에 추가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이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가장 많은 의료종사자가 환자 참여에 대해 지지하지 않는 이유로 환자와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환자 참여의 주체자인 환자의 인식을 조사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2. 제언
이 연구 결과를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일 상급종합병원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손위생에 대한 인식과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없는 표준화된 도구가 없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3)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 조사를 참여 주체자인 환자를 포함하여 시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Allegranzi, B., & Pittet, D. (2009). Role of hand hygiene in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even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3(4), 305-315. doi:10.1016/j.jhin.2009.04.019
Cheng, V. C. C., Wong, S. C., Wong, I. W. Y., Chau, P. H., So, S. Y. C., Wong, S. C. Y., et al. (2017). The challenge of patient empowerment in hand hygiene promotion in health care facilities in Hong Kong.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5(5), 562-565.
doi:10.1016/j.ajic.2016.12.007
Davis, R., Parand, A., Pinto, A., & Buetow, S. (2015).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to encourage patients to remind healthcare professionals about their hand hygien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89(3), 141-162. doi:10.1016/j.jhin.2014.11.010
Kim, M. K., Nam, E. Y., Na, S. H., Shin, M. J., Lee, H. S., Kim, N. H., et al.
(2015). Discrepancy in perceptions regarding patient participation in hand hygiene between patients and health care workers. American Jornal of Infection Control, 43(5), 510-515. doi:10.1016/j.ajic.2015.01.018 Kim. M. K.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care Workers’ Hand
Hygiene Compliance - Focusing on Intention and Identification.
Unpublished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ation. (2018). 3주기 급성기병원 인증기준.
Retrieved from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View.do Kweon, O. M., Park, E., Lee, D., Lee, J. H., Ha, E. J., Yong, D., et al. (2012).
A Three-Year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Hand-Hygiene Protocol Implement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7(2), 53-60.
Longtin, Y., Farquet, N., Gayet-Ageron, A., Sax, H., & Pittet, D. (2012).
Caregivers' Perceptions of Patients as Reminders to Improve Hand
Hygien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72(19), 1516-1517.
McGuckin, M., & Govednik, J. (2013). Patient empowerment and hand hygiene, 1997-2012.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84(3), 191-199.
doi:10.1016/j.jhin.2013.01.014
McGuckin, M., Waterman, R., Storr, I. J., Bowler, I. C., Ashby, M., Topley, K., & Porten, L. (2001). Evaluation of a patient-empowering hand hygiene programme in the UK.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48(3), 222-227. doi:10.1053/jhin.2001.0983
Min, S. H. (2019). The Intention of Nurses and Patient Families to Participate in the Hand Hygiene Promotion Activities of Health Car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Seoul.
Nguyen, K. V., Nguyen, P. T., & Jones, S. L. (2008). Effectiveness of an alcohol-based hand hygiene programme in reducing nosocomial infections in the Urology Ward of Binh Dan Hospital, Vietnam.
Tropical Medicine and International Health, 13(10), 1297-1302.
doi:10.1111/j.1365-3156.2008.02141.x
Pada, S. K., Ding, Y., Ling, M. L., Hsu, L. Y., Earnest, A., Lee, T. E., et al.
(2011). Economic and clinical impact of nosocomial met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Singapore: a matched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8(1), 36-40.
doi:10.1016/j.jhin.2010.10.016
Pan, S. C., Tien, K. L., Hung, I. C., Lin, Y. J., Yang, Y. L., Yang, M. C., et al. (2013). Patient empowerment in a hand hygiene program: differing points of view between patients/family members and health care workers in Asian cultur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1(11), 979-983. doi:10.1016/j.ajic.2013.02.008
Picheansathian, W., Pearson, A., & Suchaxaya, P. (2008). The effectiveness of a promotion programme 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nosocomial infection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ter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4), 315-321. doi:10.1111/j.1440-172X.2008.00699.x Randle, J., Clarke, M., & Storr, J. (2006). Hand hygiene compliance in
healthcare worker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4(3), 205-209.
doi:10.1016/j.jhin.2006.06.008
Sande-Meijide, M., Lorenzo-Gonzalez, M., Mori-Gamarra, F., Cortes-Gago, I., Gonzalez-Vazquez, A., Moure-Rodriguez, L., & Herranz-Urbasos, M.
(2018).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atients and health care workers toward patient empowerment in promoting hand hygien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doi:10.1016/j.ajic.2018.07.002
Stewardson, A. J., Sax, H., Gayet-Ageron, A., Touveneau, S., Longtin, Y., Zingg, W., & Pittet, D. (2016). Enhanced performance feedback and patient participation to improve hand hygiene compliance of health-care workers in the setting of established multimodal promotion: a single-centre,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16(12), 1345-1355. doi:10.1016/s1473-3099(16)30256-0
World Health Organiztion. (2009). WHO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Retrieved from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4102/9789241597906_eng.
pdf;jsessionid=5588B24E1B602F6290CB15998B4D790F?sequence=1
Wu, K. S., Lee, S. S., Chen, J. K., Tsai, H. C., Li, C. H., Chao, H. L., et al.
(2013). Hand hygiene among patients: attitudes, perceptions,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1(4), 327-331. doi:10.1016/j.ajic.2012.03.033
연구과제명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 조사
연구책임자: (성명) 곽지은 (소속) 단국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 (연락처) 010-2440-2901 연구담당자: (성명) 곽지은 (소속) 단국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 (연락처) 010-2440-2901 연구대상자의 권익에 대한 문의처 단국대학교병원
임상연구보호센터 (연락처) 041-550-7494
본 연구는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 조사 연구입니다.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손위생 증진을 위한 전략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마련에 도움 이 되고자 합니다.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시면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특성 및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설문 조사는 모두 4페이지로 구성되어 있고 설문 작성에는 약 5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동의서
관찰 연구(설문조사, 전향적 연구) 동의서
* 만일 본 연구에 문의사항이 있으시거나, 위험이나 불편 또는 손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연구책임자 또는 연구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연구의 목적
2. 연구 참여 기간, 절차 및 방법
3. 예상되는 위험 및 이득
본 연구의 참여로 귀하에게 예상되는 직접적인 위험도, 참여로 인한 이득도 없습니다. 본 연 구 결과는 학술 논문으로 출판될 수 있으며, 연구 결과가 미래에 로열티와 같은 상품적 가 치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미래의 이득이 귀하에게 직접적으로 제공
되지 않습니다.
연구 참여에 감사의 뜻으로 2,000원 상당의 여행용 칫솔세트가 제공됩니다.
귀하의 자료는 향후의 다른 연구에서도 사용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귀하의 자료를 향후의 다른 연구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 다.
□ 향후의 모든 다른 연구에, 귀하의 자료를 제공하여 연구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 단국대병원의 연구자에게만 동의합니다.
□ 본 연구의 연구자에게만 동의합니다.
□ 동의하지 않습니다.
본 연구에 참여할 지 여부는 전적으로 귀하의 선택에 의한 것이며 참여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혀 불이익은 없습니다. 또한 참여에 동의한 이후에도 동의 철회를 원할 경우 조사된 자료 를 폐기하도록 요청하실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미 연구에 사용된 정보와 자원을 제외
하고 모든 자료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폐기됩니다.
만약 귀하가 본 연구에 참여하신다면 본 연구에서는 귀하의 개인정보(성명과 같은 개인 식 별정보 및 건강에 관한 정보 등)를 수집하게 됩니다.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는 관련 법규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되며 연구에 관련된 담당자만이 수집된 자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수 집된 개인정보 중 개인식별정보는 연구에 직접 이용되거나 필요한 정보가 아니며 연구로 인 해 획득되는 임상 자료와 귀하를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귀하의 개인정보는 연구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사용하게 되며 수집된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적절히 관 리됩니다.
연구과제명 손위생 증진 활동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 조사
설명문을 설명한 사람
연구와의 관계 성명 서명 서명일
□ 책임연구자
□ 공동연구자
4. 연구참여에 따른 손실에 대한 보상
5. 개인 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
6. 자유의사에 의한 연구 참여 및 동의 철회
7. 개인정보 보호
□ 연구담당자
설명문을 들은 사람
시험대상자와의
관계 성명 서명 서명일
□ 본인
□ 대리인 (관계: )
□ 참관인
□ 기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철인 또는 인장이 된 설명문 및 동의서만 유효합니다.
연구 설명문
안녕하십니까?
저는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 감염관리 석사과정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손위생 증진을 위한 전략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손위생 수행 증진에 있어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함입니다. 평소에 본인이 생각하는 바를 솔직하게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은 총 5장이며 답변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은 5분 이내입니다.
이 연구에 대해 질문이 있는 경우, 연구자 (곽지은 H.P. 010-2440-2901 / E-mail:
[email protected])에게 연락하실 수 있습니다. 귀중한 시간을 내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연구자 곽지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 부록 2. 설문지
☞ 손위생이란 환자와 접촉하기 전/후 알코올을 묻혀 손을 문질러 씻거나 물로 세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귀하의 의견에 가장 가까운 답에 표시하세요.
1.
환자와 접촉하기 전/후, 의료종사자의 손위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의료관련감염은 병원 및 기타 의료 시설에서 감염이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당신은 의료관련감염이 입원한 환자들에게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까?
3.
손위생이 의료관련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4.
병원의 의료종사자들이 손위생을 충실히 준수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5.
당신은 의료종사자의 손위생 준수를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① 전적으로 반대
② 반대
③ 중립(찬성도 반대도 아님)
④ 찬성
⑤ 전적으로 찬성
6.
의료종사자들이 왜 손위생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중응답가능)① 너무 바빠서
② 귀찮아서
③ 잊어버려서
④ 동기부여가 되지 않아서
⑤ 손을 자주 씻은 경우, 피부 손상 때문에
⑥ 손 위생의 효과를 의심해서
⑦ 기타( )
☞ 환자 참여는 세계보건기구 손위생 지침의 권고사항 중 하나입니다.
7.
환자나 가족으로부터 손위생을 수행해 달라고 요청받은 적이 있습니까?① 예 (만약 “예”라면, 몇 번이나 요청 받았습니까? ( ) )
② 아 니 오
8.
의료종사자들의 손 위생 개선을 위해 환자 참여를 채택할 경우, 어떤 방법을 선호하십니까? (한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의료종사자들이 손 위생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
① 환자가 직접 의료종사자에게 손위생 수행을 요청
② 의료종사자가 환자의 병실에 들어오면 환자가 의료종사자에게 손 세정제를 제공
③ 입원한 환자에 의한 손위생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
④ 퇴원하는 환자에 의한 손위생 평가
⑤ 환자 참여 방법 원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