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에서는 RF/DC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유리기판에 AZO와 Ag를 이용한 다층 박막을 증착하고, Ag 박막의 두께 및 위치에 따른 AZO/Ag 박막과 AZO/Ag/AZO 박막의 각각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변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1) 상온에서 증착된 AZO/Ag 적층 박막은 Ag 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하게 전하농도가 증가하고 비저항이 감소하였다. Ag 두께가 15 nm 일 때 표면거칠기는 가장 낮았고, Ag 의 두께가 10nm 일 때, 투과도는 가장 높았다. Ag 완충층의 두께 가 15 nm 되면서 완충층의 결정화에 의한 AZO 박막의 평탄화 향상으로 표면거칠 기가 감소하였다. 이를 토대로 Figure of merit 수치를 비교한 결과 100 nm 두께 를 갖는 단일 AZO 박막은 2.30 × 10-4 Ω-1 을 나타내었으며, AZO 100 nm/Ag 10 nm 적층구조를 갖는 박막이 1.25 × 10-2 Ω-1 수치를 나타내어 보다 높은 전기 적, 광학적 물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2) 상온에서 증착된 AZO/Ag/AZO 다층 박막의 경우, Ag 층의 두께에 따라 전하 농도 및 비저항이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구조적으로 Ag 중간층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른 상대적 결정립이 성장하여 상부 AZO 박막의 결정화에 기여하였다. 표면거칠 기는 Ag 중간층의 두께가 15nm 되면서 중간층의 결정화에 의한 AZO 박막의 평탄 화 향상으로 표면거칠기가 감소하였으며, 가시광 영역의 투과도의 경우 Ag 중간층 의 Anti-reflection 코팅의 효과로 광 투과도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 결 과로 단일 AZO 박막과 AZO/Ag/AZO 다층박막과의 전기적, 광학적 물성 비교를 위 해 Figure of merit 수치를 비교한 결과, Ag 중간층이 15 nm 일 때 가장 높은 7.20 × 10-2 Ω-1 값을 나타내었다.

AZO 박막에 적절한 Ag 두께와 위치변화는 따른 박막의 표면 특성 및 전기적, 광 학적 물성 향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Ag 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기적 특성이 동일하게 증가하였으나, Ag 층이 중간층으로 역할을 할 때 더 좋은 광학적 특성을 보임에 따라 Ag 층이 중간층일 때 더 좋은 물성 향상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물성향상을 위한 TCO 재료들의 열처리 제어 문제 해결을 위해 금속 박막 층의 적층공정으로 ITO 대체 재료 및 좋은 물성을 갖는 전극에 대한 공정 개 발을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H. L. Hartnagle, A. L. Dawar, A. K. Jain, C. Jagadish, Semi. Trans. Thin Films,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Bristol and Philadelphia (1995)

[2] Y. Yang, X.W. Sun, B.J. Chen, C.X. Xu, T.P. Chen, C.Q. Sun, B.K. Tay and Z. Sun, Thin Solid Films. 510, 1-2 (2006)

[3] A. Mondal, N. Mukherjee, S. K. Bhar, Materials Letters. 60, 13-14 (2006)

[4] T. Minami, S.Ida, T. Miyata, Thin Solid Films. 416, 1-2 (2002) [5] J. Zhao, Z. Yang, S. Han, L. Ye, S. Xie, Displays. 22, 3 (2001)

[6] M. Chen, Z. L. Pei, C. Sun, J. Gong, R.F. Huang, L. S. Wen, Mat. Sci.

and Eng. B85, 212 (2001)

[7] T. Minami, H. Sato, H. Nanto, S. Takata, Jpn. J. Appl. Phys. 24, L781 (1985)

[8] M. Hiramatsu, K. Imaeda, N. Horio, T Goto, J. Vac. Sci. Technol. A 16, 669 (1998)

[9] M. Liu, A. H. Kitai, P. Mascher, J. Lumin. 54, 35 (1992)

[10] M. Faland, P. Karlsson, C. Chartoln, Thin Solid Films. 392 (2001)

[11] B. S. Kim, M.P. Hong, Y. W. Lee, I. N. Kang, S. W. Koo, J. K. Park, K.

H. Jung, Information Display 3, 3 (2002)

[12] D. Kim : Appl. Sur. Sci., 256 (2010) 1774

[13] S. B. Heo, J. Y. Chun, Y. J. Lee, H. M. Lee and D. Kim : J. Kor. Soc.

Heat Treat., 25 (2012) 134

[14] S. Song, T. Tang, J. Liu, Y. Xin, Y. Li, S. Han, Appl. Surf. Sci., 257 (2011) 7061

[15] G. Rupprecht, Z. Phys. 139 (1954) 504.

[16] C. Tang, Appli. Phys. Lett. 48 (1986) 183

[17] Y. Hashimoto, M. Hamagaki, T. Sakakibara, Jpn. J. Apple. Phys. 40 (2001) 4720

[18] P. F. Carcia, R. S. McLean, M. H. Reilly, M. K. Crawford, E. N.

Blanchard, A. Z. Kattamis, and S. Wagner, J. Appl. Phys. 102, 074512 (2007) [19] J. S. Park, J. K. Jeong, Y. G. Mo, H. D. Kim, and C. J. Kim, Appl.

Phys. Lett. 93, 93 (2008)

[20] S. Frernandez, A. Martinez-Steele, J. J. Gandia, and F. B. Naranjo, Thin Solid Films 517, 3152 (2009)

[21] M. Fahland, P. Karlsson, C. Charton, Thin Solid Films., 392 (2001) 334.

[23] F. Brown and J.A. Davis, Can. J. Phys., 41 (1963) 844

[24] T.M. Buck, "Methods of Surface Analysis", A.W. Czandern ed.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The Netherlands., Chapter 3 (1975) 75

[25] T. M. Barnes, J. D. Bergeson, R. C. Tenent, B. A. Larsen, G. Teeter, K. M. Jones, J. L. Blackburn, J. Lagemaat, Appl. Phys. Lett., 96 (2010) 243309

[26] G. Fanchini, S. Miller, B. B. Parekh, M. Chhowalla, Nano Lett., 8 (2008) 2176

[27] D. B. Fraser and H. D Cook, J. Electrochem. Soc., 119, 1368 (1972).

[28] G. Haacke, J. Appl. Phys., 47 (1976) 4086.

[29] P. A. Iles and S. I. Soclof, Precessing of the 12th IEEE Photoroltaic Conference, Norvember, 978 (1976)

[30] S. Kim and D. Kim : Ceram. Int. 41 (2015) 277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