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편 남북환경공동체의 형성이 좀더 실천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무 엇보다 남북관계에서 환경분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야 한다. 통일 이후 독일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야중의 하나가 환 경문제라는 사실22)에서 뿐만 아니라, 통일의 궁극적인 목적이 한반도 주민과 그 후세들, 우리 민족의 인간다운 삶의 실현에 있으며, 그것의 바탕이 환경조건의 개선에 있음이 통일로 향하는 도정에 동참하려는 모든 이에게 깊숙이 인식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먼저 우리에게 구조적으로 내재한 환경문제의 해결에 힘을 기울여야 하며, 대외적으로는 지역적‧지구적 환경협력의 촉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특히 환경보호와 관련 한 선진기술과 재원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 개발도상국인 북한과 중국, 선진국으로의 진입문턱에 서 있는 한국 등 국가적 다양성을 지닌 동북 아지역에서 한국은 역내 환경협력을 위한 중간자, 조정자적 역할을 담 당하여야 하며, 그러한 도정에 북한의 동참을 유도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남북환경공동체의 궁극적인 실현, 한반도 환경의 궁 극적인 질적 개선은 남북간에 정치‧군사적 긴장관계가 존재하는 한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대립이 지속되는 한 비생태적인 군사분야에 대한 인적, 물적 가치의 배분은 계속될 것이 며, 환경오염‧파괴가 심화되고 환경개선을 위한 인적‧물적 투자여력은 감소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실현할 수 있는 한반도의 환경개선이 경제개선은 물론 정치‧군사적 개선과 맞물려 있 으며, 환경운동이 평화운동과 직접적 상관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인식 22) 독일은 통일 이후 구 동독지역의 환경정화를 위해 약 1백조원을 투입 하였다. 조승국, “독일 환경통합의 사례와 교훈,” 국회환경경제연구회·

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북한 인프라구축을 위한 남북 환경·에너지 경 협방안」(2000), pp. 7~13 참조.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반도 환경이 전면적으로 개선되기 위한 우선적 인 전제는 한반도 냉전구조가 해체되어 평화공존의 남북관계가 형성 되어 군비통제‧군비축소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이, 남북경제공동체 형성을 통한 경제적 번영을 위한 노력이, 한반도 삶의 터전의 질적 개선을 추 구하는 남북환경공동체 형성을 위한 노력이 독립적으로가 아니라 동 시적․총체적으로 경주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단행본

손기웅. 「남북한 환경분야 교류‧협력방안: 양자적‧다자적 차원」.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6.

______. 「북한 환경개선 지원방안: 농업 및 에너지효율성 개선 관련」.

서울: 통일연구원, 1997.

______. 「비무장지대내 유엔환경기구 유치 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0.

외교통상부. 「기후변화협약 제4차 당사국 총회 참가보고서」. 서울: 외 교통상부 국제경제국, 1998.

전학문. 「유기질폐기물의 발효처리와 퇴비화」. 서울: 아카데미서적, 1994.

한국개발연구원. 「민족경제공동체 형성 종합계획(기본계획): 최종보고 서」.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999.

한국원자력문화재단‧매일경제신문사. 「지구온난화문제에 관한 심포지 움 논문집」, 1998.

Taylor, Michael. Community, Anarchy and Liber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2. 논 문

곽승준. “남북한 환경협력 및 재원조달방안.” 국회환경경제연구회·고려 대학교 경제연구소. 「북한 인프라구축을 위한 남북 환경에너지 경협방안」, 2000.

김정훈. “21세기 남북한 환경공동체 건설의 방향성.”(한국정책학회 동

계학술회의 발표논문, 2000).

______. “남북한 환경공동체와 자원순환관리.”(환경부 에코-2프로젝트 재활용산업팀회의 발제논문, 2001).

김창길. “가축분뇨처리의 경제성분석.” 「농촌경제」, 22권 3호(1999).

변병설. “국토환경보전을 위한 환경법제 정비방안.”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친 환경적 국토관리 입법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발표문집」, 2000.

______. “통일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전략.”(통일연구원 초청간담회 발제문, 2001).

손기웅. “북한 환경문화 연구: 환경정책과 환경실태분석을 중심으로.” 민족통일 연구원. 「통일과 북한 사회문화 下」.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5.

______. “북한 에너지효율성 및 환경개선 지원방안.” 「입법조사연구」, 251호(1998).

______. “남북환경협력의 의의와 추진 기본방향.” 환경운동연합. 「남북 환경공동체 형성을 위한 정책토론회 발표문집」, 2000.

______. “베를린선언의 의의와 과제.” 통일연구원. 「베를린선언과 남북 관계」. 서울: 통일연구원, 2001.

손기웅‧박영호. “남북경제공동체 의의‧개념 및 향후 추진방안: 남북 국 책연구기관간 협력방안을 중심으로.” 남북경제공동체 협의 준 비위원회. 「남북경제공동체 건설 방안」(남북경제공동체 건설을 위한 심포지움, 2000).

조승국. “독일 환경통합의 사례와 교훈.” 국회환경경제연구회·고려대학 교 경제연구소. 「북한 인프라구축을 위한 남북 환경·에너지 경 협방안」, 2000.

Dalam dokumen “남북환경공동체” 형성 방안 (Halaman 8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