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첫째,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은 사전 사후- 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특히 의사소통능력 검사 하위 영역에, 서 경청 과 타인관점이해 영역의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 ‘ ’ , ‘정보수집 과 자기드러내’ ‘ 기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토의와 토론 과정을 거치도록 모둠으로’ . 구성된 STEAM 프로그램은 실생활 문제에 대한 최상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선택 하기 위해서 상대방의 의견을 주의 깊게 듣고 중요한 의미를 재확인하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도록 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과 더불어 배려하는 자세에도 긍정 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둘째, STEAM 프로그램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확산적· 창의적으로 사고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유의미 하게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p<.01). 예비 과학교사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인 을 정확하게 분석하였고 계획을 실행으로 옮기는데 절차에 맞게 수행하였으며 모 둠원 사이 피드백을 통해 제시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였다 문제를 해결하. 는 데 있어서 주어진 문제 상황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였고 문제 해결의 필요성 을 직접 느낌으로써 예비 과학교사들은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게 되었고 문제해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 및 느낀 점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이슈 및 문제로 구성된 실생활과 연관된 수업 내용은 호, 기심과 동기 유발을 일으켰고 과학을 기반으로 기술 공학 예술 수학과 연관시킨, , , , 프로그램이 흥미를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냈다 예비 과학교

STEAM .

사들은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 설계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의견의 공유 통합, , 합의 과정을 거치며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언급하였고 STEAM 프로그램이 소통 방 법과 소통의 기능 및 역할을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성적 체. 험 단계에서는 직접 제작하고 산출물을 만들어 본다는 수업에 임하는데 앞서서 설

렘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체적인 활동 후에도 즐거움을 느꼈다고 응답함으로써 과 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의 적용은 과학과 관련된 타교과에도 흥미를 일으키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판단된다 새로운 문제에 대한 도전 단계에 대한 질문에는 유사한. 문제 상황에도 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다고 응답하였고 예비 과학교사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자신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제언 2.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의 창의적인 사고와 발상을 유도하기 위해, STEAM 프로 그램의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는 기존의 지식과 상황제시에 주어진 자료만을 가지 고 재료를 선택하여 설계 및 제작하도록 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전공분야 또는. 관심 있는 교과에는 지식의 연관성을 나타내며 정보 활용에 어려움이 없었지만 이, 외의 다른 학문과 연결시키는 과정에서는 관련 지식이 부족하여 창의적인 의사소 통과 고정관념적 사고를 극복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다. STEAM 프로그램을 고안 하고 적용시키고자 할 때는 재료의 역할과 사용법 및 제공되는 정보와 자료를 다 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정보 및 자료 수집시간을 제공할 필요 가 있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직접 만든 산출물과 결과물을 확인하고 평가하는데 객, 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에도 평가방법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고 문제해결능력 검, 사에도 유의미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 시 학습자, 의 합의에 의해 평가방법을 선정한다면 평가하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에게 과학이 기반이 되는, STEAM 프로그램 을 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STEAM을 통해 의 사소통능력을 살펴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예비 과학교사 이외에도 초 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같은 여러 대상에게 과학 교과 이외의 학문이 기반이, , 되는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하게 살펴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기술 융합인재교육· (STEAM) 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

보고 교육과학기술부. .

강인애 김희주 김다미, , (2012).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STEAM 프로 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 사례연구 중등. 교육연구, 60(4), 1105-1568.

강주희 주은정 장신호, , (2013).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과학 기반 STEAM 수업이 초등 학생들의 과학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연구. , 32(4), 593-606.

강창익 강경희 이상칠, , (2013).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 37(2), 338-347.

강호감 김태훈, (2014).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STEAM) . , 24(6), 1025-1038.

권순범 남동수 이태욱, , (2012). STEAM 기반 통합교과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 성에 미치는 영향 학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17(2), 79-86.

권혁수 박경숙, (2009). 공학적 디자인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촉진자 과학교육: , , , . 연구지, 33(2), 207-219.

김권숙 최선영, (2012). 과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 31(2), 216-226.

김덕호 홍승호, (2015).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프로 그램이 학업 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 . 연구, 46(4), 1-25.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 ,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2(2), 388-401.

김왕동 (2011).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제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STEAM).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현안보고서, OR-2011-4.

김인섭 김준철, (2014). STEAM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기부가 고등학생의 흥미 자기효, 능감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효과 기초과학연구. , 25, 1-19.

김정효 (2012).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이 미술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

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 RRC-2012-8.

김지원 원효헌, (2014).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창의성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 평가연구, 27(4), 965-985.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1(2), 124-139.

김진수 (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 학회지, 7(3), 1-29.

김진영 주희영 이길재, , (2013). 생명과학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 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학회지. , 41(4), 531-543.

김혜경 (2014). 이공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비평문학‘ ’ . , (54), 121-147.

노상우 안동순, (2012). 학문 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 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 10(1), 67-88.

류제정 이길재, (2013). 뇌 기반 STEAM 교수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와 초등- 일반학생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연구. , 32(1), 36-46.

문용린 최인수 곽윤정 이현주, , , (2010). 창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 . 의재단 정책연구 2009-019.

박선주 (2013). 스토리라인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17(4), 487-496.

박성진 유병길, (2013). 과학 기반 STEAM에 의한 빛 단원 학습이 과학 학습 동기' ' , 흥미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연구. , 32(3), 225-238.

박애리나 김용권, (2014).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 33(3), 439-452.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백윤수, , , , , , , (2012). STEAM 교육의 구 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2(4), 533-557.

박혜원 신영준,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학회지. , 40(1), 132-146.

배덕현 김방희 김진수, , (2014). 스마트교육 기반의 교량모형만들기 STEAM 프로그램 이 흥미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4(1), 158-176.

배진호 윤봉희 김진수, ,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연구. , 32(4), 557-566.

배진호, 소금현, 윤봉희, 김진수, 한국인, 김성길, 이경래, 이종화, 오동주, 김해진 융합인재교육 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창의적 사고와 정서지능 (2014). (STEAM)

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연구. , 33(4), 762-772.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 , , , , , , (2011). 우리 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4), 149-171.

손연아 (2012).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수업 분석과 피드백 –영화와 연극 접 목 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생물교육학회지, 40(4), 475-493.

손준호 김종희 김영곤, , (2014). 천문 STEAM 프로그램에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 35(7), 572-584.

신희선 (2011).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논단, 10(3), 137-169.

신희선 (2009). 사회적 갈등해결을 위한 의사소통기술 개발 사고와표현. , 2(1), 111-153.

양지혜 홍승호, (2014). 생물 사이의 에너지 흐름을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생물교육학회지. , 42(3), 249-265.

유지원 류다현 이미나, , (2015).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문제해결역량 의사소통역량, ,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교육과학연구. , 46(2), 31-56.

윤마병 홍재영, (2012). 고등학교 융합과학(STEAM) 실험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과학- 캠프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 36(2), 263-278.

윤성희 (2014).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를 위한 융합인재교육 STEAM 교수 학습 프로그· 램 개발 및 적용 학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

윤정교 김방희 김진수, , (2013). T-STEAM 프로그램이 기술교과의 흥미도와 학업성취 도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 29(3), 157-175.

이경진 김경자, (2013). 통합교육과정 접근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 계획안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 19(2), 281-306.

이동원 최유현 박수진 정정숙, , , (2013). 주제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6(1), 195-212.

이명숙 김미숙 문은식, , (2013).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 12(3), 75-94.

이미정 (2014). 의사소통 심화 과정으로서의 토론 수업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 8(6), 559-583.

이상균 김순식, (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 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6(3), 261-270.

이석재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국가정책연구. , .

이성희 (2012). STEAM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 향 환경교육. , 25(1), 66-76.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 - CHOSUN (Halaman 77-8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