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직후 중국정부는 경제문제를 총괄적으로 다루기 위한 기구로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를 설립하였다. 이 위원회 는 1949년 설립되어 1954년 해체될 때까지 중국의 초기 경제정책 수 립과 집행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위원회의 위원 구성은 毛澤東의 신민주주의론과 연합정부론에 입각하여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49년 당시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는 주임 陳雲과 부주임 薄一波, 馬寅初 등 53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위원회 구성은 2명의 위원이 후에 추가되었지만 1954년까지 대체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정무원 재 정경제위원회의 위원을 연령 별로 보면 30대가 2명(3.7%), 40대가 24 명(45.28%), 50대가 17명(32%), 60대가 7명(13.2%), 70대가 3명(5.6%) 으로 40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50대였다. 40대와 50대를 합하면 41명으로 77%를 차지하고 있었다.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의 성원 가운데 공산당과 중앙인민정부 政務 院의 관료는 주임인 陳雲 등 29명으로 전체의 54.7%를 차지하고 있었 고, 지방 대군구의 재정경제위원회를 대표해서 동북재경위원회의 부주 94) 毛澤東, 對中財委關于全國進出口會議情況摘報的批語 (1950.8.7), 中共中央文
獻硏究室, 建國以來毛澤東文稿 1 (北京: 中央文獻出版社, 1990), p.460.
95) 劉少奇同志在 中國共産黨第一次全國組織工作會議上的報告 (1951.3.28), 中國 人民解放軍國防大學黨史建政工敎硏室, 앞의 책, p.268.
임 李富春, 서북재경위원회 주임 賈拓夫, 화중재경위원회 주임 鄧子灰, 화동재경위원회 부주임 曾山 등이 참여하여 중앙과 지방의 관료를 합 하면 32명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있었다. 정무원 재정경제위원 회에는 14명의 기업가가 참여하여 26.4%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외에 국민정부 자원위원회에서 활동했던 錢昌照 등과 馬寅初, 千家駒 등의 대학교수 등 다수의 민주당파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53명의 위원 가운데 中國共産黨員은 26명으로 49%를 차지하고 있었 다.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 성원의 절반 정도인 비공산계열 위원 가운 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당파는 민주건국회로 11명으로 20.7%를 차지하고 있다. 재정경제위원회에 참여한 기업가들 가운데 다수가 민 주건국회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이외에 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 3명, 구 국회 2명, 구삼학사 1명, 농공민주당 1명, 중국국민당민주촉진회 1명, 기타 7명 등이다. 이러한 구성을 보면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는 공산 당원이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민주건국회 등 민주당파와 무당파 인 사들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중국정부는 산업이 집중되어 있던 상해 등의 대도시를 접수하 게 되었고 신속한 경제 회복을 위해서는 국민당지역에서 활동하던 기 업인의 도움이 필요했다. 또한 중국공산당은 도시를 통치해 본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초기에 이들의 도움이 중요했다.
재정경제위원회는 경제 전문가로 전 국민정부 자원위원회 위원 錢 昌照, 미국 콜럼비아대학 경제학박사인 馬寅初와 대학교수 千家駒를 위원으로 임명했고, 임업 전문가인 梁希, 화학자이며 기업가인 候德榜 등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했다. 이러한 위원 임명은 중국공산당의 부족한 경험을 보완하고 재정경제위원회의 전문성을 높여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 위원 가운데 60%는 1949년 9월 개최된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회의에 참석한 인물들이었다. 또한 정무원 재 정경제위원회에는 공산당 인사와 비 공산당계 인사들이 비슷한 숫자로 참여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직구성은 중일전쟁시기
中國共産黨의 항일근거지에서 실시한 3․3제의 유산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중국공산당의 중앙과 지방 경제관료 위주로 구성되었던 중앙재정 경제위원회가 1949년 건국 이후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로 변화하면서 주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참여했던 민주당파와 기업인 등이 합류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의 구성이 공산당과 민주당파, 무당파 를 포괄하고 있었지만 공산당의 통제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1949 년 9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공동강령 에는 공산당의 지도가 명문화 되지는 않았지만 신민주주의체제에서도 국가기구와 사회에 대한 통제 가 강화되고 있었다. 공산당이 국가의 정치원칙과 방향을 실질적으로 결정하고 있었고, 당간부가 재정경제위원회의 중요 직책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산당은 교육과 지도를 통해서 국가기관과 사회에 당의 방침을 관철시킬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의 결정도 중공중앙의 비준을 거쳐야 했으며 점차 공산당의 지도가 강화 되어 갔다.
이러한 공산당의 지도는 정책의 추진력을 높이는 등의 장점도 있었 지만 여러 당파의 전문가들이 수립한 정책에 과도하게 개입하여 경제 의 현실을 도외시한 정책이 추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1950년대 중국의 경제정책이 비교적 온건한 신민주주의에서 급진적인 사회주의화로 변화하게 된 것은 공산당의 지도 속에서 경제의 현실을 중시하는 경제 관료의 입지가 줄어든 것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Personnel Composition of the Financial and Economic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Kim, Ji Hoon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established financial and economic commission under the administrative council as organization to have overall administration of economy matters.
Composed based on new democratism and federal government principal, this council exerted influence in establishing and executing the economy policies of China until its dissolution in 1954.
The financial and economic commission of administrative council was composed of 53 personnel including chair Chen Yun, vice chair Bo Yibo, and Ma Yinchu etc.
Among the members of administrative council's finance and economic commission, officers of communist party and central people's government administrative council consisting of 29 persons, occupied 54.7% of all, and if officers of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are included, that number amounts to 32 persons, occupying 60% of all. Administrative council's f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