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요지도는 작전 필요에 따라 특정 지역의 자연지리 조건과 사회적 요소 및 작전 행동에 대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평가한 군사자 료이다. 이는 지형, 기상, 경제 조건, 사회 상황 등의 자료를 제공하고 특히 전쟁 준비, 군사 훈련, 모의 작전 계획을 제공하는데도 사용한다.
따라서 병요지지도는 이러한 작전에 필요한 정보 자료를 규정된 부호 나 간단한 문자로 지도상에 표기한 특수 군용지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병요지도를 일본은 1872년부터 프랑스의 도움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의 병요지도 제작은 청일전 쟁 러일전쟁 전후로 확대되었고,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투 지 역 확대와 소위 ‘대동아공영권’이 주창되면서 각종 척도의 병요지도를 제작하게 되었다.
일본이 제작한 병요지도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본고에서는 특히 1934년에 설립된 관동군측량대가 1942년에 제판한 만주 지역 등지의 군사극비(군사비밀) 20만분의 1 병요지도를 중심으로 지도의 내력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를 2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관동군 사령부하의 관동군측량대가 군사적 특수 목적을 위해 제작하였던 군사 극비 병요지도의 존재와 그 의미를 밝혀냈다는 점이 다. 군사 극비라는 지도의 특성상 그 존재가 널리 알려질 수 없었고,
40) 몽고인이 있는 곳이면 반드시 오보가 있고 오보가 있는 곳이면 반드시 몽고 인이 있다. 滿洲第439部隊陸軍技師 瀨川秋男, 硏究蒐錄地圖, 部外秘, 陸地測 量部, 1944년 9월, p.22.
또한 미국의 일본 점령 정책으로 탈취하여 미국 군사 관련 기관에 소 장되어 있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미 의회도서관에 이관되었고, 그 지도가 일반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현 재까지도 정리되지 않은 채 보관된 자료가 많은 것으로 보아 향후 이 관련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현황에서 선구 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가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하였다.
둘째, 본고에서 검토한 만주 지역 병요지도의 존재가 확인됨으로써 일본이 소위 ‘대동아공영권’을 부르짖으며 동남아도 세력을 확대할 뿐 만 아니라 미국과의 전쟁에서 매우 분주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을 상대로 한 또 다른 전쟁 준비라는 실체가 드러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가 확대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즉, 태평양전쟁 시기 일본의 세계 장악 구상이 어떠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본고에서 분석한 자료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관 련된 구체적인 연구가 심화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Meaning of Manchuria Military Maps Managed by the Guandong Army
Headquarters
:The history and meaning of 1: 200.000 scale secret military maps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Park, Sun Young
Using newly found secret military maps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this paper will trace Japanese Guandong army’s efforts to produce and utilize knowledge of military secret maps, especially on the borders between Manchuria and the Soviet Union in early 1940’s. Military maps were managed by the Guandong army headquarters through the Guandong surveyor which was established in 1934.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comes to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will discuss how the Japanese top secret military maps were collect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even though the Japanese military headquaters ordered that all the secret military maps be destroyed in 1945. Who captured these maps and what was the usage of maps for US military?
This paper reveals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top secret military maps managed by the Guandong army headquaters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