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해외 브랜드
3.3. 고급성, 실용성-만족도
모형
비표준화 계 수
표 준 화 계
수 t 유 의
확률
B에 대한
95.0% 신뢰구간
공선성 통계 량
B 표준화
오류 베타 하한 상한 공차 VIF
1
(상수) .562 .216 2.601 .010 .136 .987
전통성 .076 .053 .084 1.445 .150 -.028 .180 .635 1.574
권위성 .417 .059 .424 7.085 .000 .301 .533 .594 1.684
유 행 추 구
성. .084 .057 .088 1.478 .141 -.028 .196 .598 1.672
독창성 .207 .048 .241 4.291 .000 .112 .303 .675 1.482
쾌락추구성 .072 .046 .084 1.558 .121 -.019 .164 .738 1.356 a. 종속변수: 실용성
예측값:(상수),전통성, 권위성, 유행추구성, 독창성, 쾌락추구성 R²:0.525. 수정R²:0.514, 유의화물:0.000,F값:49.441
<표10>브랜드 특성이 실용성에 대한 분석 결과
***P<0.01 **P<0.05 *P<0.1
모
형 R R 제 곱
수정된 R 제곱
추 정 값 의 표준오차
통계량 변화량 R 제곱 변 화량
F 변 화량
자 유 도1
자 유 도2
유 의 확 률 F 변화량 1 .602a .362 .356 .90209 .362 6 4 . 4
26 2 227 .000 a. 예측자: (상수), 고급성, 실용성
b. 종속변수: 만족도
모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1
회귀 104.857 2 52.428 64.426 .000b 잔차 184.726 227 .814
전체 289.583 229 a. 종속변수: 만족도
b. 예측자: (상수), 고급성, 실용성
알 수 있다. 한편,R제곱의 변화량에 대한 F변화량 값이 64.426이며 이때 유의확률 F변화량값이 0.00이므로 유의수준 0.05에서 볼 때 R제곱의 변화 량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달리 표현하면, 종속 변수에 대한 설명력이 투입된 독립변수의 수에 따라 더 높아짐을 알 수 있 다.
<표 11>고급성과 실용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표 12>회귀식에 의해 설명된 부분(S.S.R)은 104.857이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S.S.E)은 184.726이다. 이 값들을 자유도로 나눈 평균제곱은 52.428 와 0.814으로 설명된 부분이 크다. 두 값이 비를 나타낸 것이 F통계량으로 64.426이고 자유도가(2,227)인 F분포를 참고로 할 때, R 제곱이 0혹은 기 울기가 모두 0이라는 귀무가설은 유의수준 0.05에서 볼 때 기각됨을 알 수 있다.
<표 12>고급성과 실용성이 만족도에 대한 분석
<표 13>중국 소비자의 명품브랜드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보면, R2가 0.362로 표본회선에 적합하고 F값이 64.426로 설명력이 있다고 할 수 있 으며, 모든 요인들의 분석결과 유의성은 있으나 베타값과 t값에 따라 가설 검증을 보면 다음과 같다.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 준 화 계수
t
유 의 확률
B에 대한 95.0%
신뢰구간
공선성 통계 량
B
표 준 화
오류 베타 하한 상한 공차 VIF
1 (상수) .809 .262 3.092 .002 .293 1.324
고급성 .486 .066 .449 7.332 .000 .355 .616 .748 1.337
살용성 .275 .072 .234 3.811 .000 .133 .417 .748 1.337
a. 종속변수: 만족도
예측값:(상수),고급성, 실용성
R²:0.362. 수정R²:0.356, 유의화물:0.002,F값:64.426
첫째, “브랜드 고급성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분석 결 과 유의성이 0.000로 p<0.01에서 유의하기 때문에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브랜드 실용성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분석 결 과 유의성이 0.000로 p<0.01에서 유의하기 때문에 가설은 채택되었다.
<표 13>고급성과 실용성이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
***P<0.01 **P<0.05*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