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간적 대상

Dalam dokumen 서울시 에너지 정책과 전략... (Halaman 45-50)

출발지

이동경로

도착지

15

교통수요관리 전략 구성

2. 에너지 저소비형 도시구축을 위한 교통시책

16

에너지 저감을 위한 시책과 비용-효과성

•Car-Pooling (전용차로 지정 등)

•Driving ban (2부제)

•Telecommuting

•Compressed work week

•Ecodriving

•Car-pooling (홍보중심)

•Speed limits

•Driving ban (10부제)

•Telecommuting (기반시설 건설 포함)

•Transit

(요금할인, 운행빈도 증가)

Effectiveness

Cost

MODERATE HIGH VERY LOW LOW

MODERATE

SMALL LARGE VERY LARGE

출처: IEA, Saving Oil in a Hurry, 2005.

3. 시책별 기대 효과

17

주차장 공급관리: 주차상한제

• 주차상한제로 인한 서울시 도심 주차수요는 약 2.9%, 서울시 도심 관련 승용차 통행으로 인한 1일 유류소비량은 약 1.0% 감소하는 것 으로 분석됨

3. 시책별 기대 효과

18

녹색교통 활성화 (단거리 통행)

5km 이하 23.4%

서울시 승용차 수단 통행거리 분포 (2006년 기준)

주) 2006 수도권가구통행실태조사 결과 이용 산출 5km 이하 승용차 통행의 평균이동거리3.3km

• 서울시 승용차 단거리 통행(5km

이하)의 50%를 녹색교통수단으로

전환시킬 경우, 5.8%의 유류소비

절감효과 기대

3. 시책별 기대 효과

19

승용차요일제

• 승용차요일제로 인한 연간 유류소비량은 100만대 참여 및 모두 준수 시 승용차요일제 시행전과 비교하여 약 9.3% 줄어들 것으로 예상

3. 시책별 기대 효과

20

도시고속도로 혼잡해소

• 서울시 도시고속도로의 혼잡해소를 통해 도시고속도로 구간 속도를

50kph 이상 유지할 경우, 현재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부문 유류소비량

의 약 6.95% 절감

3. 시책별 기대 효과

21

• 현재 서울시 관련 통행의 승용차 수단 분담율은 26.3%로, 이 분담 율을 1% 줄였을 경우, 유류 절감량은 4.86%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 승용차 수단분담율 감소

3. 시책별 기대 효과

22

• 현재의 주차상한제 실시에 따라 연료소비는 14,462L/일 (2.6천만 원/일) 감소된 것으로 추정

• 서울시내부 단거리 (5km 이하) 승용차 통행의 50%를 녹색교통수 단으로 전환시킬 경우 343,668L/일 (6.3억원/일)의 유류소비 절 감

• 승용차요일제를 통해 100만대가 참여하고 준수할 경우 승용차 부문 에서 412,963L/일 (7.5억원/일)의 유류소비 절감

• 현재의 서울시 관련 통행의 승용차분담율 26%를 20%로 줄일 경우 유류소비량 1,965,011L/일 (35.8억원/일) 감소

* 휘발유 가격 환산기준 2008년 5월 2째주 휘발유 가격 1,819원/L

승용차 통행 감축에 따른 유류소비 감소효과

4. 정책방향

23

지속적이고 강력한 교통수요관리 정책 추진

• 승용차 분담율을 현재의 26.3%에서 20%로 줄여야 (24% 교통량 감축) 승용차 부문 유류소모량을 약 30%

가량 감축 가능 기존의

기존의 교통수요관리 교통수요관리 정책의 정책의 강도로는 강도로는 획기적인

획기적인 에너지 에너지 저소비형 저소비형 교통체계 교통체계 구축 구축 미흡 미흡

서울시

서울시 통행패턴 통행패턴 및 및 운전자 운전자 행태를 행태를 고려하여

고려하여 효율적인 효율적인 교통수요관리 교통수요관리 전략 전략 발굴 발굴

• 통행패턴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연구기반 필요

• 승용차 이용자의 통행수단 전환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혹은 페널티 발굴

영국 Norwich Union사의

“Pay As You Drive”™

2003년부터 2년간 5,000대의 차량을 대상 으로 시범사업 우선 실시

(참여자 중 90%가 PAYD 보험제도에 찬성)

기본요금 + 월단위 운행거리 비례 요금

운행구간(도로유형, 제한속도, 차선수), 운행시간 및 운행거리에 따른 차별요율 적용

4. 정책방향

24

교통자원의 효율적 이용 유도

• 이용자 부담 원칙 적용 - 승용차 이용이 유발하는

사회적 비용을 가장 공평 하게 회수할 수 있는 수단 - 정책사례: 혼잡통행료,

통행거리기반 자동차보험, 통행거리기반 자동차세 - 수익금을 대중교통부문에

재투자

비첨두시간

(오전6시~저녁11시) 첨두시간

(저녁11시~오전6시) 단위거리당

요율

3.39p (매월 처음100마일

무료) £1

주) 첨두/비첨두 시간 구분은 사고발생 가능성 수준을 토대로 설정

교통관련

교통관련 제도의 제도의 개편 개편 요구 요구

Dalam dokumen 서울시 에너지 정책과 전략... (Halaman 45-5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