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156쪽│
01 엽록체 02이산화 탄소
03이산화 탄소, 산소 04포도당, 산소
05설탕, 체관 06이산화 탄소 07호흡
08이산화 탄소 09항상 10 광합성, 호흡
11 산소, 이산화 탄소12 합성, 분해
01
A는 물, B는 이산화 탄소, C는 포도당, D는 산소, E는 녹 말이다. 식물의 호흡에 필요한 기체는 산소이다.02
알루미늄박으로 가리지 않은 부분에서만 빛을 받아 광합성 이 일어나 녹말이 만들어져 청람색을 나타낸다.03
시험관B에서는 검정말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 을 하므로BTB용액이 파란색으로 변한다.04
광합성에 이산화 탄소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05
광합성에 의해 처음으로 생성되는 물질은 포도당이다.06
이산화 탄소의 농도와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어느 한계 이상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된다.│157~160쪽│
01 ② 02⑤ 03② 04④ 05⑤ 06①
07② 08⑤ 09⑤ 10 ② 11 ② 12 ②
13 ④ 14② 15 ② 16 ② 17 ⑤ 18④
19⑤ 20⑤
│서술형 문제│21~23 해설 참조
01
지나, 울타리 조직, 해면 조직, 공변세포에서 광합성이 일어 난다.│스토리텔링 서술형 문제│
잘 나오는 유형1
배점 평가 기준
틀리게 설명한 학생을 고르고, 옳게 고쳐 서술한 경우 틀리게 설명한 학생은 맞았으나 옳게 고치지 못한 경우 100%
30%
과 학 07
검정말과 전등 사이를 가깝게 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여발생하는 기포 수가 증가한다.
08
BTB용액과 광합성량은 관계없다.09
엽록체가 청람색으로 변한 것으로 보아 광합성은 엽록체에 서 일어나며, 광합성 결과 녹말이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11
A는 이산화 탄소, B는 포도당이다. 광합성 결과 생성된 포 도당은 녹말로 바뀌어 엽록체에 잠시 저장된다.12
광합성 결과 발생하는 기체는 산소이다.13
광합성은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활발하게 일어나 다가 어느 한계 이상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된다.14
광합성 결과 호흡에 필요한 산소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15
A는 이산화 탄소, B는 산소이다. 낮에는 광합성이 호흡보 다 활발하게 일어나 이산화 탄소를 흡수한다.16
호흡은 밤낮 구분없이 항상 일어난다.17
B, C, E는 호흡이 일어나BTB용액이 노란색으로 변하고, D에서는 검정말의 광합성으로 이산화 탄소가 소모되어 BTB용액이 파란색으로 변한다.18
시험관D에서는 물풀의 광합성으로 이산화 탄소가 소모되 므로BTB용액이 파란색으로 변한다.19
시험관C에서는 빛이 없어 물풀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호흡만 하므로BTB용액이 노란색으로 변함없다.20
맑은 날 아침과 저녁에는 빛이 약해 호흡량과 광합성량이 같다.21
⑴ ㈎ ⑵ 광합성에는 빛이 필요하다. 광합성 결과 녹말이 생 성된다.│서술형 문제│
배점
문항 평가 기준
㈎`를 옳게 고른 경우
광합성에 관한 사실2가지를 모두 옳게 서술한 경우
⑴
⑵ 30%
70%
22
⑴ 검정말의 광합성에 의해BTB용액의 이산화 탄소의 양 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⑵ 빛이 없어 검정말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호흡만 일어나므로BTB용액의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23
빛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광합성량은 증가하지만 일정 세기 이상에서는 광합성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배점 평가 기준
빛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다가 일정하게 유지 된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빛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고만 서술한 경우
100%
50%
배점
문항 평가 기준
색깔이 변한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색깔이 변하지 않은 이유를 옳게 서술한 경우
⑴
⑵ 50%
50%
01
광합성 결과 만들어진 유기 양분은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02
에탄올에 넣어 물중탕하면 엽록체의 엽록소가 제거된다.03
광합성에 빛이 필요하며, 광합성 결과 녹말이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04
시험관B에서는 검정말의 광합성으로 이산화 탄소가 소모 되어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지지 않는다.05
기포는 검정말의 광합성 결과 생성된 산소이다.06
광합성량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한다.07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포도당은 녹말의 형태로 낮 동안 잎 의 엽록체에 저장되어 있다가 밤이 되면 물에 잘 녹는 설탕 의 형태로 전환되어 체관을 통해 운반된다.08
식물의 호흡 결과 이산화 탄소가 발생한다.09
낮에는 광합성량이 호흡량보다 많아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 고, 산소를 방출한다.10
생물이 호흡을 하면 이산화 탄소가 방출되어BTB용액이 노란색으로 변하고, 광합성을 하면 이산화 탄소가 소모되 어BTB용액이 파란색으로 변한다.11
광합성은 빛이 있는 낮에 엽록체가 있는 세포에서만 일어 나고, 호흡은 살아 있는 세포에서 항상 일어난다.│161~163쪽│
01 ④ 02④ 03①, ④04② 05① 06③
07⑤ 08② 09② 10③, ⑤11 ④
│스토리텔링 서술형 문제│01~04해설 참조
01
식물의 광합성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02
⑴ 일조량(빛의 세기) ⑵ 식물은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광합 성량이 증가하므로 햇빛이 잘 비치지 않으면 광합성량이 감소 하기 때문이다.03
⑴ 체관 ⑵ 잎에서 만들어진 양분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 므로 껍질을 벗겨낸 윗부분에 크고 양분이 많은 열매가 열린다.│스토리텔링 서술형 문제│
잘 나오는 유형1
잘 나오는 유형2
잘 나오는 유형3
04
밤에는 빛이 없어 식물이 광합성을 하지 않고 호흡만 하므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방출하기 때문이다.잘 나오는 유형4 배점 평가 기준
식물의 광합성 결과 산소가 발생한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그 외의 경우
100%
0%
배점
문항 평가 기준
일조량을 옳게 쓴 경우
빛이 잘 비치지 않으면 광합성량이 감소함을 옳게 서 술한 경우
⑴
⑵ 30%
70%
배점
문항 평가 기준 체관을 옳게 쓴 경우
양분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해 벗겨낸 윗부분에 크고 좋은 열매가 맺힌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⑴
⑵ 30%
70%
배점 평가 기준
밤에는 식물이 호흡만 하므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방출한다고 옳게 서술한 경우
밤에는 식물이 호흡만 한다고 서술한 경우 100%
60%
│166~169쪽│
➊회
01 ⑤ 02⑤ 03④ 04④ 05③ 06③
07③ 08② 09④ 10② 11 ⑤ 12 ②
13 ② 14④ 15 ③ 16⑤ 17 ① 18②
19④ 20② 21 ④ 22④
23힘의 작용점 2430 N, ← 25해설 참조
01
힘을 받은 물체는 모양이나 운동 상태가 변하므로, 속력과 운 동 방향이 일정한운동을 하는물체에 작용하는힘은0이다.02
힘을 나타낼 때 힘의 크기, 힘의 방향, 힘의 작용점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①은 힘의 방향이, ②는 힘의 크기가, ③은 힘의 크기와 방향이, ④는 힘의 방향이 포함되지 않았다.03
지구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인 중력은 지구 중심을 향해 작용한다.04
물체와6 kg의 분동이 평형을 이루므로 물체의 질량은 6 kg이고, 물체의 무게=(6_9.8)N=58.8 N이다. 달에 서의 질량은 지구에서와 같으므로6 kg이고, 무게는 지구에서의;6!;배가 되므로9.8 N이다.
05
전기력과 자기력은 물체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게 작용한다.06
서로 다른 두 물체를 마찰하면 두 물체는 전기를 띠기 때문 에 두 물체 사이에는 전기력이 작용한다.07
마주보는 두 자석의 극이 다르면 인력이 작용하고, 같으면 척력이 작용한다.따라서B와C는 서로 다른 극이다.08
수평면에 놓인 물체에 힘이 작용했지만 움직이지 않는 경 우 물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작용한 힘의 크기와 같다. 마찰력의 방향은 작용한 힘의 방향과 반대이다.09
용수철의 늘어난 길이는 용수철에 매단 물체의 무게에 비 례한다. 1 cm: 6 N=2 cm: x, x=12 N10
두 경우 고무줄이 늘어난 길이가 같으므로A와B가 고무 줄에 작용한 힘의 합력은C가 고무줄에 작용한 힘과 같다.A와B의 합력의 크기는2 N이므로, C가 작용하는 고무줄 을 당기는 힘의 크기도2 N이다.
11
두 힘의 합력의 크기=6 N+3 N=9 N이며, 방향은 오른 쪽이다.12
나란하지 않게 작용하는 두 힘의 합력은 두 힘의 화살표를 이웃한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을 그려 구한다.│주관식 & 서술형 문제│
13
사과에는 저울이 사과를 떠받치는 힘과 중력이 평형을 이 룬다. 앉은뱅이저울은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이므로 달에서 측정하면 지구에서의;6!;배가 된다.14
위치를 나타낼 때 기준점 및 기준점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 를 포함해야한다.15
등속 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의 속력은 일정하므로 이동 거 리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시간`-`이동 거리 그래프는 기울기가 일정한 직선 모양으로 나타난다.16
속력= = = =90 km/h17
60타점 찍는 데1초가 걸리므로6타점 찍는 데 걸리는 시 간은0.1초이고, 18타점 찍는 데 걸리는 시간은0.3초이다.평균 속력= =120 cm/s=1.2 m/s
18
실을 갑자기 당기면 추가 계속 정지하려는 관성 때문에B 부분이 끊어진다. 이불을 막대기로 치거나 버스가 급출발 하면, 물체가 계속 정지하려는 관성 때문에 이불의 먼지가 떨어지고 버스 승객이 뒤쪽으로 쏠린다.19
평균 속력= =15 m/s이므로, 2~4초 동안의 이동 거리=15 m/s_2 s=30 m이다.20
물체에 작용한 알짜힘의 크기가 같을 때 속력 변화는 질량 에 반비례한다.21
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는 알짜힘이 원의 중심 방향으 로 공의 운동 방향과 수직하게 작용하며, 알짜힘이 없어지 면 공은 그 지점에서의 운동 방향 쪽으로 날아간다.22
공의 운동 방향과 중력의 방향이 나란하지 않으므로 공은 속력과 운동 방향이 동시에 변하는 포물선 운동을 한다. 최 고점에서 공은 수평 방향의 속력만 있어 속력이 최소이다.10 m/s+20 m/s 2 36 cm
0.3 s
1.5 km 1.5 km
1분 이동 거리
시간
│주관식 & 서술형 문제│
23
물체에 같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을 작용하였더라도 힘의 작용점이 다르면 힘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24
탄성력의 크기는 용수철에 작용한 힘의 크기와 같으므로 30 N이고, 탄성력의 방향은 작용한 힘과 반대 방향이다.25
⑴ ㉠:㈏, ㈐ ㉡:㈑⑵ ㈎, 물체의 운동 방향과 비스듬하게 알짜힘이 작용하였기 때문 이다. 진자 운동, 포물선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