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내외 기술동향 분석 시사점

2.3. 종합분석

2.3.2 국내외 기술동향 분석 시사점

1)

콘텐츠 기술동향 분석 시사점

차별화된 콘셉의 랜드마크 구축 및 방문객 동향, 니즈(Needs) 반영 필요

-

수중 관광 시설은 호텔, 레스토랑, 잠수함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고 있음.

-

보다 개인화된, 차별화된 컨셉의 공간들이 늘어나고 있음. 연인, 가족 중심 의 바다 속 체험 및 여가 공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

랑독 루시옹은 스포츠 시설, 요트정박시설, 휴게・편의시설 등 변화하는 관광 객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설을 순차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설계 시부 터 고려하여 적용함.

-

라 그랑모트와 온타리오 플레이스와 같이 공간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시설 조성을 위해 건축디자인 또는 프로그램 등에 차별화된 이색 콘셉을 도입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공간의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함.

-

관광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역동적인 체험 요소를 곳곳에 배치하여 시선과 흥미를 유도하고 다양한 계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용객 니즈

(Needs)를 수용한 레저,

문화, 쇼핑 등의 어뮤즈먼트적인 요소를 도입함.

-

차별화된 디자인이 가미된 수중 건축, 조경 랜드마크 시설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관광객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인지시키며 다양한 콘텐츠 도입을 통해 신규 방문 수요 창출 및 체류활성화를 도모해야 함.

-

개인과 연인 그리고 가족의 여가 및 체험 중심의 수중 공간의 개발이 필요함.

2)

특허 기술 분석 시사점

첨단공연시스템 기술의 산업분야 특성과 특허동향 결과의 부합 정도

-

수중관광 인프라 기술은 수중 이동체, 수중 구조물, 수중 안전관리 등의 기 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국과 미국은 최근 세계시장에 따른 산업적/기술적/

시장적/경제적 이슈가 있으며, 최근 분석구간에서 한국 및 미국 출원이 증가

한 양상이 산업적/기술적/시장적/경제적 사안과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해당 기술의 향후 성장 추이

-

수중관광 인프라 기술의 성장단계는 최근까지 성숙기 진입 단계 형태가 나 타나 이후 구간에서 쇠퇴기 단계로 들어설 가능성이 있음.

해당 기술 기획의 적절성

-

수중관광 인프라 기술은 성장기 말기 혹은 성숙기 초기 단계인 것으로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해당 기술에 대한 시장성이 낮아지고 장벽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함. 해당 기술에 신규 아이디어 및 최신 트 렌드를 반영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장벽이 되는 특허기술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함.

정량적 요소 기준 해당 기술을 주도하는 국가 및 기관/기업

-

수중관광 인프라 기술과 관련하여 일본 국적 기업인 MITSUI E&S HOLDINGS

CO LTD,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IHI CORP, TOSHIBA CORP

유럽 기업인

Technip France, Single Buoy Moorings Inc, ATLAS

ELEKTRONIK GMBH, WFS Technologies Ltd.

등이 최다수의 특허를 보유하

고 있어, 해당 기술은 다출원 기준으로 일본 및 유럽 해당 국가 및 기업이 본 기술에 대해 특허 정량적으로 주도하고 있다고 판단됨.

정량적 요소 기준 국내 기관/기업의 기술 수준

-

수중관광 인프라 기술 관련하여 타 국적 기업 대비 국내 기관/기업의 특허 기술은 정량적으로도 건수가 적으며 자국에 치중되어 출원하고 있어, 해외 로의 진출이 활발하지 못한 실정임. 그러나 타 기술분야 대비 산업계 기업 의 출원이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수중관광인프라 기술의 시장성 및 상업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음.

보유 특허기술에 대한 심층분석이 요구되는 기관/기업

-

국가별 주요 출원인은 출원건수의 정량적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한 것이며, 출원인별 보유한 특허기술의 본 친환경 수중관광인프라 기반 기술 개발 과 제 기술과의 유사성 및 심층분석 등에 대한 정성적인 기준 및 판단 결과는 정량적 기준과 다를 수 있음. 그러나 정성적 심층 분석의 대상이 되는 출원 기관 및 기업을 선정할 시, 다출원인 순위 및 자국 외 출원 현황, 최근 출원 증가율 등의 정량적 결과는 효과적으로 참조될 수 있는 바, 국내에 다수의 특허를 출원한 일본의

MITSUI E&S HOLDINGS CO LTD,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자국 외 특허를 출원한 유럽의

Technip France,

Single Buoy Moorings Inc.

등이 보유한 특허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

-

각 기술 분야에서의 해당 기술의 사용을 위한 방어적 목적으로 출원이 활발 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출원활동을 진행하거나, 주요 경쟁사의 최근 기술의 분석을 통해 출원 방향 또는 연구 방향의 설정을 통해 출원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음.

-

공백기술의 확인을 통해, 공백기술 분야에 대한 특허를 출원함으로써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방안을 이룰 수 있으나, 공백기술 분야의 시장성에 대한 추가 분석을 통해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

-

세부기술별 특허동향에서, 수중구조물 기술(AB) 분야의 특허출원은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해당 기술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연구를 통한 특허출원을 수행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선도적 지위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제3장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전략

3.1 SWOT 분석

3.2 비전 및 목표

3.3 연구개발과제 구성

제3장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전략

3.1 SWOT 분석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