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행본
경찰청, 『경찰청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백서』, 서울, 경찰청: 2007 김태룡 외, 『새한국정부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4, pp. 180-181.
데이비드 메이슨, 김승완 역, 『유럽사(A history of modern Europe)』, 서울: 사월의 책, 2012
디디에 오타비아니, 심세광 역, 『미셸 푸코의 휴머니즘』, 파주: 열린책 들, 2010
미셸 푸코,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 서울: 도서출판 나 남, 2016a
---, 이규현 역, 성의 역사1: 지식의 의지 , 서울: 도서출판 나남, 2016b
---, 심세광·전혜리·조성은 역,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년) , 서울: 도서출판 난장, 2016c
---, 박정자 역, 『비정상인들 : 1974-1975,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의 강의』, 서울: 동문선, 2001
사공일, 『천 개의 권력과 일상』, 부산: 산지니, 2014
사카이 다카시, 오하나 역, 통치성과 '자유' : 신자유주의 권력의 계보 학 , 서울: 그린비, 2011
신현기 외, 『경찰학사전』, 파주: 법문사, 2012 오생근, 『미셸 푸코와 현대성』, 파주: 나남, 2013 이영남, 『경찰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2014
이영림 외, 『근대 유럽의 형성 : 16-18세기』, 서울: 까치글방, 2011 이윤정, 『한국경찰사 : 근현대편』, 서울: 소명, 2015
정윤석, 『철학사상 제 2권 제4호』, 서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3
조르조 아감벤, 김영훈 역, 『벌거벗음』, 고양: 인간사랑, 2014
질 들뢰즈, 박정태 역, 『(생성과 창조의 철학사)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서울: 이학사, 2007
---, 권영숙·조형근 공역, 푸코 , 서울: 중원문화, 2010
콜린 고든 외 엮음, 심성보 외 역, 『푸코 효과: 통치성에 관한 연구』, 서울: 도서출판 난장, 2016
폴 아자르, 조한경 역, 『유럽 의식의 위기』, 서울: 지만지, 2008 하상군 외, 『경찰학개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3
허남오, 『한국경찰제도사』, 서울: 동도원, 1998
후쿠이 노리히코, 송태욱 역, 『유럽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했는가?』 : 세상을 바꾼 400년의 시간, 서울: 다른세상, 2013
Jerome H. Skolnick, David H. Bayley, 『지역사회경찰활동론 : 각국의 이슈 및 현황』, 서울, 집문당; 2001
2) 논문
강지은, “공생발전을 위한 경찰의 임무- 프랑스 행정경찰법제와 그 시사 점”, 법학논고, Vol. 42, (2013)
권창국, “"형사절차의 경찰화현상" : 경찰의 예방적 수사활동에 대한 형 사법적 통제에 관한 고찰”, 공공정책연구, Vol. 27, No. 1, (2010) 김동복·김성환, “적극적 시민참여활동을 위한 Third Party Policing의 도
입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0, No. 12, (2010)
김보환, “한국경찰의 패러다임 변화와 역사기록의 쟁점 및 과제”, 한국경 찰학회보, Vol.11, (2006)
김상구·조현빈, “한국 경찰활동의 다변화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Vol.14, (2007)
김재봉, “우범자 관찰보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형사정책, Vol. 10, (1998)
김진혁, “한국경찰체제의 역사적 특성”, 법학연구, Vol. 20, (2005)
김창문, "한국경찰학의 이론적 고찰", 법학연구, Vol. 21, (2006)
서정범, “행정경찰에의 초대- 경찰작용의 Paradigm Shift", 경찰학연구, Vol. 12, No. 4, (2012)
안현수, “푸코의 권력이론의 양상과 “주체”의 문제”, 동서철학연구, Vol.72, (2014)
오승규, “프랑스 행정경찰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시사점”, 경찰법연구, Vol. 14, No. 1, (2016)
이문수, “서양 근대 행정개념의 기원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아렌트, 푸 코, 아감벤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Vol. 19, No. 3, (2013)
이성용, “강력범죄예방을 위한 경찰활동의 쟁점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보, Vol. 18, No. 3, (2009)
이송호·김석범, “정부수립 후 한국경찰의 업무변화 분석”, 경찰학연구, Vol. 9(1), (2009)
이영섭, “경찰에 대한 협력을 이끄는 요소들의 정치체계에 따른 차이점 에 대한 연구 - 정당성 이론을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Vol. 17 No. 2, (2017)
정진환, “(축하회고문)30년 전 나의 박사학위 논문과 경찰대학 설치법”, 한국시큐리티정책학회보, 창간호, (2009)
---, 한국경찰 교육제도의 발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 교 대학원, (1979)
전용찬, 경찰의 정치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이론과 역사적 사례,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2006최정운, “푸코의 눈 : 현상학 비판과 고고학의 출발”, 한국정치학회보, Vol. 29, No. 4, (1996)
---, “푸코를 위하여 :지식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 철학사상, 1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