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군수지원함의 운용 및 제원

1. 서 론

2.3 군수지원함의 운용 및 제원

2.3.1 개요

본 논문에서는 함정의 연간 연료 소비량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하 여 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 중인 군수지원함의 제원을 참고하였다.

군수지원함은 해군 함대가 오랜 기간 동안 작전을 수행할 때 연료유, 윤활유, 청수 등을 해상에서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작전 기간이 길 때 해상 보급 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때 보급이 필요한 함정에 근접하여 대상 함정이 필요로 하는 군수 물품을 보급 및 지원하는 것이 군수지원함이다[9,17].

군수 지원에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육상의 기지에 부대가 직 접 접근하여 필요한 지원을 받는 것을 ‘육상 근접 지원’이라고 하고, 해상에 서 군수지원함이 대상 함정에 접근하여 군수 보급 및 지원을 수행하는 방법을

‘해상 기동 군수 지원’이라고 한다. 육상 근접 지원 같은 경우 작전에 투입 될 군수지원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이점을 갖지만, 육상에 있는 기지에서만 보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상에서 작전 중인 함정도

서 설명한 것처럼 함대의 지속적인 작전 및 임무 수행을 위하여 해상에서의 군 수 지원을 위한 전력을 양성하였으며, 이런 운용 현황은 대양해군으로의 발전 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해군에게 많은 것을 시사한다[17]. Fig. 12는 해상 기동 군수 지원 중인 HMAS Sirius를 보여주고 있다.

Fig. 12 Replenishment of HMAS Sirius [16]

2.3.2 국내·외 운용 현황 및 제원

현재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AOE 천지급 함정 3 척을 군수지원함으로 운용하 고 있다. 1991 년에 AOE-57 천지함을 시작으로, 1997 년에 AOE-58 대청함, 1998 년에 AOE-59 화천함이 순서대로 건조되었다. 배수량은 경하 약 4,200 ton, 만재 약 9,113 ton이며, 추진기관으로 디젤 엔진 2 대가 2 개의 축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항속 거리(한 번 보급 받은 상태에서 운항할 수 있는 가장 먼 거리)는 약 8,300 km이며, 최고 속력과 순항 속력은 각각 20 knot, 15 knot로 설계되었다.

Table 7, 8은 국내·외 해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여러 군수지원함의 제원을 나 타내고 있다.

Name AOE-57 Chun-ji

AOE-58 Dae-cheong

AOE-59 Hwa-cheon

Figure

Commission 1991 1997 1998

Propulsion system

CODAD (COmbined Diesel And Diesel) Diesel engine × 2 EA / Shaf t× 2 EA

6,400 HP (approx. 4,800 kW) each Displacement

(ton) 4,200 (light) / 9,113 (full)

Speed 20 knot (max.) / 15 knot (cruising)

Length 136 m

Beam 17.8 m

Draught 6.5 m

Range 8,300 km / 4,500 nm

Table 7 AOE chun-ji class combat support ships of ROK Navy [8,9]

Propulsion system

Name

(Type) Operator Displacement (ton)

Max. speed (knots)

Engines &

Generator

단순 연결 or CODAD

Fort Victoria (Replenishment

oiler)

UK 32,800 20 2 Shaft

DE × 1EA Berlin

(Replenishment oiler)

Germany 20,240 20 2 Shaft

DE × 2 EA Durance

(Replenishment oiler)

France 17,800 19 2 Shaft

DE × 2 EA Karel Doorman

(Support ship) Netherlands 28,250 18 2 Shaft

Diesel-electric

Towada

(Support ship) Japan 15,000 22 2 Shaft

DE × 2 EA Hwa-cheon

(Support ship) Korea 9,110 20 2 Shaft

DE × 2 EA Etna

(Auxiliary ship) Italy 13,400 18 2 Shaft

DE × 2 EA

Table 8 Propulsion system of naval support vessels [8]

Table 7,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만재 배수톤수와 최고 속력, 축과 추진기관 의 개수 등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추진체계는 대부분 디젤 엔진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기계 추진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추세에도 변화가 생기 고 있어 함정의 정숙성 및 연료의 효율 향상 등을 위하여 디젤 발전기를 이용 하여 전동기로 추진하는 복합 추진체계를 탑재하는 군수지원함도 건조되고 있 다.

제 3 장 함정의 추진체계 구성 및 평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