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 론

3. 굿 디자인의 조건

[그림 2-7] 1세대 아이팟

Rams)는 자사를 위해 굿 디자인의 조건을 제시 하였는데(Kotler, 2000). 첫째, 좋은 디자인은 혁신적이다. 둘째, 좋은 디자인은 제품의 효용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좋은 디자인은 심미적이다. 넷째, 좋은 디자인은 제품의 논리적 구조를 나타내 주며, 제품 의 형태가 기능을 따라간다(석예지, 2018). 1999년 미국 산업디자이너협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디자인이 성공적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3가지 측정요소 는 고객만족도, 판매신장률, 제품의 성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석예지, 2018; 정경 원, 2014; 이주향, 2011).

이에 기업에서 굿 디자인의 결과론적인 조건으로 디자인의 결과물은 첫 번째로 소 비자의 욕구를 선두에 두어야하며 두 번째로 계획에 대비 이윤창출을 달성해야 하며 세 번째로 제안된 디자인 결과물은 상품 기획서를 근간으로 해야 하며 네 번째로 제 안된 디자인 결과물은 조직의 역량에 적합하여야 한다(Kotler, 2000). 이것을 정리하 면 굿 디자인의 4대 조건은 소비자 욕구 만족, 이윤창출, 상품 기획서에 근간, 조직 역량에 적합이라고 할 수 있겠다. 삼성경제연구소의《굿 디자인의 조건과 기업의 대 응, 2005. 8》보고서에서도 굿 디자인의 조건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로, 독창성(look different)을 강조했다. 사람들은 독창적인 제품에 관심을 끌게 되며 이를 소유함으로써 남들과의 차별화된 개성을 표현하고자 한다(SERI, 2017).

톰 피터스(Tom Peters)는 그의 책에서 진열대의 상품이 팔리기 위해서는 0.6초의 짧 은 시간 내에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하였고 미국의 저널리스트인 폴 쿤켈(Paul Kunkel)은 디자인은 최고보다도 First(창조자)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유 치영, 2012). 또한, 선진기업들도 독창성을 강조하였는데 소니(Sony)의 “기존의 것 을 거부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독창성"에 걸맞은 사례는 인공지능 강아지 아 이보(AIBO) 이다. 1999년에 개발된 세계 최초의 애완용 로봇이며 카메라, 음성인식,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배우는 최첨단 기술을 응용하여 상용화시켰다(최인혁, 2018).

100∼200만 원의 가까운 비싼 가격 때문에 적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2006년도에 생 산이 판매 중단됐지만 소니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라 할 수 있겠다(SERI, 2017; 최인혁, 2018).

둘째는, 육감 만족(feel good)에 대해서이다. 애플의 “Think Different” 광고 캠페 인은 1998년 판매된 아이맥 컴퓨터 탄생에서부터 시작한다. 기존의 베이지색의 모니 터에서 컴퓨터, 모니터, 키보드가 일체형인 본다이 블루(Bondai Blue)의 반투명 컴퓨

터를 출시함으로써 최초의 파격적인 컴퓨터 디자인을 선보였다(SERI, 2017). 또한, 기계 느낌이 가까운 컴퓨터를 컬러풀하고 친근하게 디자인하여 소비자에게 쉽게 다 가갈 수 있도록 하여 퍼스널 컴퓨터 시장에도 큰 영향을 끼쳐 첫해 200만대를 판매 하였다(SERI, 2017).

일본의 무인양품(MUJI)은 제품디자이너인 나오토 후카사와(Naoto Fukasawa)를 통 해서 새로운 디자인을 많이 제시하였다(SERI, 2017). 행동 유도성의 디자인 철학을 통하여서 환풍기를 모티브로 하여 오디오는 바닥에 놓아야 한다는 기존관념에서 탈 피하여 사람들이 선을 잡아당기고 싶은 충동을 자극한 CD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감성 에 호소하는 디자인을 하고 있다(SERI, 2017).

[그림 2-8] 기업의 독창적 디자인 사례

셋째는, 사용자 편의성(easy to use)을 언급했다. 소비자는 쉽고 안전하고 편리하 게 디자인 제품에서 만족감을 느끼고 해당 기업을 신뢰한다(신강원, 2018). 인간공학 적 디자인으로 유명한 국내의 듀오백 의자는 타제품 대비 높은 가격에도 국내 의자 시장 점유율 1위를 고수하였다(신강원, 2018).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소비자들에게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는 제품 및 사용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이라고 한다. 2004년에 히트를 기록한 일본의 마 쓰시타 경사형 세탁기는 장애인과 노년층 등 신체적 불편이 있는 소비자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제작된 유니버설 디자인의 대표적 사례이다(한송 이, 2018).

이 제품은 일본의 굿 디자인상을 시상하기도 하였다. 또한, 2013년에 제작된 The Bradely라는 시계가 있다. 일반인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모두를 위한 디

자인으로 미국인에게 영웅으로 추앙되는 'Brad Snider'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유정석, 2009). 손목시계의 전면에 분을 표시하는 부분을 돌출시킴으로써 어두운 곳 에서도 감각으로 알 수 있는 디자인이다(한송이, 2018; 유정석, 2009).

[그림 2-9]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

넷째는, 정체성(identity)이다. 정체성은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이다. 디자인의 정체 성이 확립되면 소비자는 기업의 이미지나 브랜드에 맞춰서 식별하여 소비할 수 있 다. 국내의 LG전자도 2000년대 초반에 CIPD(Corporate Identity for Product Design)를 정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SERI, 2018). 그 결과로 일본의 가전 회사를 넘어 세계적인 일류기업으로 가는데 초석이 되었다(SERI, 2018) 오토데 스크(autodesk)에서 발간한 ‘Imagine Design Create’ 문헌에서 디자인의 본질이 되 는 요소를 10가지로 나누었다(SERI, 2018). 10가지 요소를 보면 명사로서의 디자인 에 대한 5가지 감정, 지속가능, 성장, 기능, 심미성이고 동사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5 가지 스파크, 프로세스, 연장, 경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