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 위험에 ․․․․․․․]
[1] 자연재해 관련 위험 - (1) 홍수 및 태풍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VULNERAB2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자연재해 관련 위험2: 급격한 기후변동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83 6.4 6.4
상당히 취약하다 2 256 19.8 19.8
다소 취약하다 3 478 36.9 36.9
중립 4 303 23.4 23.4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47 11.4 11.4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8 1.4 1.4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6 0.5 0.5
DK/Refusal 8 3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3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자연재해 관련 위험3: 황사 및 가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75 5.8 5.8
상당히 취약하다 2 217 16.8 16.8
다소 취약하다 3 502 38.8 38.8
중립 4 297 23.0 23.0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71 13.2 13.2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27 2.1 2.1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3 0.2 0.2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4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자연재해 관련 위험4: 지진 및 쓰나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39 10.7 10.7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1] 자연재해 관련 위험 - (4) 지진 및 쓰나미(지진해일)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1] 자연재해 관련 위험 - (2) 급격한 기후변동(지구온난화)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1] 자연재해 관련 위험 - (3) 황사 및 가뭄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상당히 취약하다 2 239 18.5 18.5
다소 취약하다 3 332 25.7 25.7
중립 4 301 23.3 23.3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218 16.8 16.8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55 4.3 4.3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8 0.6 0.6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5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건강 관련 위험1: 전염병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49 3.8 3.8
상당히 취약하다 2 152 11.7 11.7
다소 취약하다 3 387 29.9 29.9
중립 4 343 26.5 26.5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288 22.3 22.3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62 4.8 4.8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11 0.9 0.9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6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건강 관련 위험2: 먹거리 위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86 6.6 6.6
상당히 취약하다 2 235 18.2 18.2
다소 취약하다 3 470 36.3 36.3
중립 4 276 21.3 21.3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86 14.4 14.4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29 2.2 2.2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10 0.8 0.8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2] 건강 관련 위험 - (5) 전염병(신종플루, 결핵, 조류독감 등)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2] 건강 관련 위험 - (6) 먹거리 위험(유전자변형식품, 식중독, 잔류농약, 환경호르몬, 원산지
위조 등)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VULNERAB7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건강 관련 위험3: 정신건강 위해요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17 9.0 9.0
상당히 취약하다 2 303 23.4 23.4
다소 취약하다 3 508 39.3 39.3
중립 4 217 16.8 16.8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23 9.5 9.5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7 1.3 1.3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7 0.5 0.5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8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건강 관련 위험4: 성인병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71 5.5 5.5
상당히 취약하다 2 227 17.5 17.5
다소 취약하다 3 466 36.0 36.0
중립 4 307 23.7 23.7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82 14.1 14.1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30 2.3 2.3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9 0.7 0.7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9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생애주기 관련 위험1: 노후 불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53 11.8 11.8
상당히 취약하다 2 347 26.8 26.8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2] 건강 관련 위험 - (7) 정신건강 위해요소(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등)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2] 건강 관련 위험 - (8)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치매 등)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3] 생애주기 관련 위험 - (9) 노후 불안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다소 취약하다 3 492 38.0 38.0
중립 4 192 14.8 14.8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90 7.0 7.0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1 0.9 0.9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7 0.5 0.5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0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생애주기 관련 위험2: 가족 해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07 8.3 8.3
상당히 취약하다 2 323 25.0 25.0
다소 취약하다 3 485 37.5 37.5
중립 4 267 20.6 20.6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93 7.2 7.2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9 0.7 0.7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8 0.6 0.6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1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생애주기 관련 위험3: 저출산으로 인한 사회문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68 13.0 13.0
상당히 취약하다 2 355 27.4 27.4
다소 취약하다 3 471 36.4 36.4
중립 4 199 15.4 15.4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80 6.2 6.2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3 1.0 1.0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6 0.5 0.5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3] 생애주기 관련 위험 - (10) 가족 해체(이혼, 가족부양기능의 약화 등)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3] 생애주기 관련 위험 - (11) 저출산으로 인한 사회문제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VULNERAB12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생애주기 관련 위험4: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84 14.2 14.2
상당히 취약하다 2 365 28.2 28.2
다소 취약하다 3 467 36.1 36.1
중립 4 183 14.1 14.1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80 6.2 6.2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9 0.7 0.7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3 0.2 0.2
DK/Refusal 8 3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3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사회생활 관련 위험1: 사생활 침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05 8.1 8.1
상당히 취약하다 2 238 18.4 18.4
다소 취약하다 3 469 36.2 36.2
중립 4 319 24.7 24.7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24 9.6 9.6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27 2.1 2.1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9 0.7 0.7
DK/Refusal 8 3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4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사회생활 관련 위험2: 폭력범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205 15.8 15.8
상당히 취약하다 2 398 30.8 30.8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3] 생애주기 관련 위험 - (12)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4] 사회생활 관련 위험 - (13) 사생활 침해(CCTV, 도청, 몰래카메라 등에 의한)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4] 사회생활 관련 위험 - (14) 폭력범죄(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폭력, 강도, 살인 등)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다소 취약하다 3 424 32.8 32.8
중립 4 158 12.2 12.2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83 6.4 6.4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6 1.2 1.2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7 0.5 0.5
DK/Refusal 8 3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5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사회생활 관련 위험3: 인적재난 및 산업재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89 6.9 6.9
상당히 취약하다 2 262 20.2 20.2
다소 취약하다 3 445 34.4 34.4
중립 4 342 26.4 26.4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35 10.4 10.4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6 1.2 1.2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3 0.2 0.2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6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사회생활 관련 위험4: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의 위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92 7.1 7.1
상당히 취약하다 2 256 19.8 19.8
다소 취약하다 3 403 31.1 31.1
중립 4 333 25.7 25.7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158 12.2 12.2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38 2.9 2.9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12 0.9 0.9
DK/Refusal 8 2 0.2 0.2
1,294
100.0 100.0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4] 사회생활 관련 위험 - (16)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위험(유전자 복제, 컴퓨터 바이러 스, 온라인상의 개인정보 유출 등)
71. 귀하가 보시기에 현재 한국사회는 아래의 각 위험에 어느 정도 취약하거나 혹은 취약하지 않 다고 보시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사회는 ◌◌ 위험에 ․․․․․․․]
[4] 사회생활 관련 위험 - (15) 인적재난 및 산업재해(교통사고, 가스폭발, 화학물질 유출 등)
한국종합사회조사, 2013
VULNERAB17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경제생활 관련 위험1: 실업 및 빈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57 12.1 12.1
상당히 취약하다 2 353 27.3 27.3
다소 취약하다 3 478 36.9 36.9
중립 4 211 16.3 16.3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76 5.9 5.9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1 0.9 0.9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5 0.4 0.4
DK/Refusal 8 3 0.2 0.2
1,294
100.0 100.0
VULNERAB18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경제생활 관련 위험2: 주택 및 전세가격 불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50 11.6 11.6
상당히 취약하다 2 360 27.8 27.8
다소 취약하다 3 469 36.2 36.2
중립 4 233 18.0 18.0
별로 취약하지 않다 5 63 4.9 4.9
거의 취약하지 않다 6 11 0.9 0.9
전혀 취약하지 않다 7 4 0.3 0.3
DK/Refusal 8 4 0.3 0.3
1,294
100.0 100.0
VULNERAB19 [한국사회의 취약 정도] 경제생활 관련 위험3: 금융불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적으로 취약하다 1 122 9.4 9.4
상당히 취약하다 2 300 23.2 23.2